의대생 "정부·의료계 불신이 근본적 원인"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정부의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 '동결'에도 의대생의 복귀가 요원한 가운데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2일 '의학교육위원회'를 구성해 의학 교육 발전을 위한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이 부총리는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의대교육 정상화를 위한 의과대학 학생 간담회'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 |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2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의대생과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에 대한 간담회에 참석했다/제공=교육부 |
이 부총리는 "의학교육의 질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학생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해 왔다"며 "2024·25학번을 분리교육하고, 24학번이 먼저 졸업할 수 있는 다양한 모델을 이미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정부의 의대 증원 2000명 확정에 따라 의대생이 집단으로 휴학하면서 2024학번 의대생과 올해 입학한 2025학번 의대생이 동시에 수업을 들어야 하는 현실적 문제가 발생했다.
이와 관련해 이 부총리는 "학교별로 학생 여러분의 의견과 교육여건에 따라 여러 모델 중 하나를 선택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운영할 것"이라며 "적합한 교육모델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교육 과정을 구성 중"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부총리는 "본과 3·4학년의 임상실습도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지역 의료원과의 연계를 통한 임상실습기관 확대 방안도 함께 마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24학번과 25학번의 개별 교육 과정에 따른 졸업 후 의사 국가시험과 전공의 정원배정, 전공의 모집일정 및 향후 전문의 자격시험 일정 유연화는 이미 복지부와 협의를 마쳤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 앞서 한 의대생이 정부 측에 보낸 편지를 최안나 대학의료정책학교 교장이 전달했다. 의대생 A씨는 "오랫동안 쌓여온 정부와 의료계 불신이 근본적 원인"이라며 "출발점이 정원 3058명 '동결'이다"고 지적했다.
또 "저희를 가르칠 교수님도 수업들을 강의실도 카데바도 실습 병상도 없는 학교에서 제대로 교육받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의학교육 정책의 결정에 교육부가 우리(의대생)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우리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는 구조 만들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