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로봇 전문기업 로보티즈는 Physical AI가 적용된 국산 기술 기반의 세미 휴머노이드 'AI Worker'를 21일 공개했다.
실제 작업에 빠르게 투입될 수 있는 최적화 된 로봇으로 해외 AI 기업들의 요구조건을 수렴하여 설계 제작되었으며, 숙련인력의 동작 학습을 통해 고난이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해 기술적 완성도와 실용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다.
'AI Worker'는 로보티즈의 원천기술인 액츄에이터(DYNAMIXEL)와 감속기(DYD) 기술이 적용된 제품으로, 빠르고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한 휠베이스 기반에 휴머노이드의 장점인 양팔 구조를 접목해 작업의 정교함과 속도, 배터리 효율성 등을 동시에 확보했다. 특히 'AI 매니퓰레이터'의 확장 형태로, 리더-팔로우 구조를 통해 인간의 정밀한 동작을 학습하고 이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 |
로보티즈의 작업형 휴머노이드 'AI Worker'. [사진=로보티즈] |
핵심 기술은 'Physical AI' 활용한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과 모방학습(Imitation Learning) 이 가능한 플랫폼 이다. 이는 현장의 숙련인력이 리더암을 통해 동작을 수행하면, 팔로우암이 이를 모방학습하여 데이터를 수집, 이를 기반으로 별도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강화학습을 진행해 완성도를 높이게 된다.
로봇 조작 경험이 없는 사용자도 직관적인 조작만으로 로봇을 운용할 수 있어 접근성이 높으며, 취득한 다양한 학습 데이터를 통해 하네스 작업, 용접, 조립, 검사, 분류 등 숙련도를 필요로 하는 작업도 정교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어 현장의 인력난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로보티즈는 최근 출범한 'K-휴머노이드 연합'의 참여를 통해 로봇 산업 생태계 조성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K-휴머노이드 연합'은 산업부 주도로 국내 로봇 기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주요 로봇 산·학·연이 협력해 결성된 연합체다. 로보티즈는 연합 내 핵심 참여기업으로 국산 기술 기반의 양산형 휴머노이드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DYNAMIXEL)와 감속기(DYD) 등 로봇 양산을 위한 핵심 부품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한 해외 생산 거점 확보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원가경쟁은 물론, 본격적인 국내외 대응을 위한 대량 생산 체계를 갖출 예정이다.
로보티즈 김병수 대표는 "로보티즈의 'AI Worker'는 한국 로봇 산업의 기술 독립성과 산업 확장성을 동시에 보여주는 사례"라며 "앞으로도 국내 기술 혁신을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로봇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로봇 산업 발전을 견인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