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384명 양성, 취업률 81.2% 달성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지난 5년간 '차세대 디스플레이 공정장비소재 전문인력양성사업'을 통해 실무 투입이 가능한 인력을 양성, 중소기업이 직면한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매출을 창출했다고 24일 밝혔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지난 5년간 산업부 지원으로 추진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공정장비소재 전문인력양성사업'의 주요 성과를 이날 발표했다.
협회는 이번 사업을 통해 ▲차세대 공정장비 ▲플렉시블 소재‧부품 ▲스마트 제어 분야 석박사 384명을 양성하고, 이 중 석사 237명을 배출해 취업률 81.2%(1~4차년도 누적), 특히 중소중견기업 취업률 53.7%(1~4차년도 누적)를 달성했다. 협회 측은 "적합한 인력을 채용하기 어려운 디스플레이 업계의 인력난 해소에 일조했다"고 전했다.
![]() |
한국디스플레이협회가 '차세대 디스플레이 공정장비소재 전문인력양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 [사진=한국디스플레이협회] |
디스플레이산업은 2023년 기준, 부족인원이 전년대비 51% 증가한 937명이고, 이중 30인 이하의 중소기업 부족률이 4.16%로 전년(2.1%)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특히 디스플레이 관련 교육을 이수한 전문 인력 수는 최근 3년간 평균 37.5%로 감소(반도체의 10%규모)하며 인력난이 심화됐다.
이에 협회는 즉시 실무 투입이 가능한 인력을 선호하는 업계의 수요를 반영, 소부장 기업 맞춤형 실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관련 중소기업과 함께 5년간 78건의 소규모 '산학프로젝트'를 추진했다. 또 시니어 퇴직인력을 적극 활용해 현장감 있는 멘토링 및 실무 노하우 등을 전수했다.
협회는 이 과정에서 36건의 애로 기술을 해결하고, 약 50억원의 매출을 창출하는 등 소부장 기업의 기술력과 매출 증대를 동시에 이끌었다고 평가했다.
이동욱 한국디스플레이협회 부회장은 "확장현실(XR), 모빌리티, 방산 등 유망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시장의 개화를 준비 중인 디스플레이 산업은 실전형 경험을 갖춘 연구개발(R&D) 인력이 기술 초격차의 핵심"이라며 "반도체 등으로의 인재 쏠림 현상으로 업계의 인력난이 가중되는 상황에서미래 시장을 선도할 인재들이 산학 프로젝트를 직접 주도해 중소기업이 직면한 애로기술을 짧은 기간 안에 해결하고 매출까지 창출한 사례는 매우 의미 있다"고 말했다.
kji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