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대통령 비판 "당연히 (등용) 안되는데 왜 하는지 몰라"
"법안 강행 처리·거부권에 국정 파행, 이제는 조정해야"
"의료대란 더 미룰 수 없어, 이제 나서 대화 판 깔 것"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독립운동가의 후손인 우원식 국회의장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및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등의 역사 발언에 대해 "독립 선열들이 지하에서 통곡하실 것 같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우 의장은 28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독립기념관장이 '1945년 8월 15일에 광복을 한 것이냐'고 물었더니 독립기념관장으로서는 노코멘트라고 했는데 그게 왜 노코멘트인가"라며 "독립기념관장은 독립된 그날을 기념하고 그를 위해 애쓴 사람들을 기념하기 위해 있는 자리 아닌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뉴스핌DB] 우원식 국회의장 |
우 의장은 "그 자리에 있는 사람이 그게 광복이라고 이야기를 못한다면 어떻게 국민의 상식선과 닿나"라며 "그런 이야기를 납득할 수 없다"고 질타했다.
우 의장은 김문수 후보자의 '일제 식민지 시대 우리 국민의 국적은 일본' 발언에 대해서도 "일본 강점으로부터 벗어나 우리의 국권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했고 1945년에 국권을 회복해 1948년에 다시 정부를 세운 것"이라며 "언제 우리가 일본 신민이었나. 1920년에 일본 합병이 합법적이라는 이야기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21세기 대한민국 국민들이 그런 이야기에 현혹될 국민들이 아니다"라며 "(그런 사람들을 등용하는 것이) 당연히 안된다고 생각하는데 왜 이것을 하는지 정말 잘 모르겠다"고 윤석열 대통령에게 고언을 전했다.
광복절 기념식에 불참한 것에 대해서는 "일본의 황국신민이라고 이야기를 한 사람이 독립기념관장이 된 반헌법의 사태에서 광복절 행사의 주체는 광복회이기도 하다"라며 "헌법을 보위할 의무가 있는 국회의장으로서 이건 가면 안되겠다고 생각해서 안 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 의장은 현재 상황을 여야 갈등과 함께 의회와 정부가 가장 날카롭게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때로 규정하면서도 여러 현안에 대해 중재를 통해 적극 나설 뜻을 분명히 했다.
우 의장은 "야당의 의석수가 강행 처리할 충분한 의석수가 되는 상황에서 총선 민의를 대변하려다보니 강행처리하고, 대통령은 거부권을 발동한다"며 "자꾸 법안이 강행 처리되고 거부권이 되니 국정 전체가 파행으로 가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서울=뉴스핌DB] 우원식 국회의장 |
그는 "입법부에서도 국민의 민심이 어디 있는지 봐야 하고, 대통령도 입법권을 존중해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라며 "이제는 살펴보면서 이것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그는 여러 현안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특히 의료 대란에 대해서는 "조금도 미룰 수 없는 대란 수준에 와 있다"라며 "이제 저도 나설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관계인을 만나 판을 만들고 대화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정부와 국회, 이해관계인이 모여 사회적 대화를 할 수 있는 판을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방송4법에 대해서는 범국민협의체를 다시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영방송의 자율화와 공익성, 공정성은 매우 필요한 일로 국민에게 돌려드리는 것"이라며 "방문진 이사를 비롯한 공영방송 이사를 강행 임명했는데 법원의 판단으로 인해 중단됐다. 타력에 의해 중단됐으니 법국민협의라는 논의의 틀을 통해 새로운 방송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에 앞서 "범국민협의체는 정부여당이 참여하겠다는 것을 먼저 해야 한다"라며 "지난번 야당에서는 제 제안을 수용했다. 그래서 동의가 된다면 기구를 어디에 설치하며 누가 참여할 것인지, 기간을 얼마나 할 것인지 등을 논의를 시작해야 하는데 그 깃발을 드는 일을 국회의장이 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역대 국회의장마다 의지를 밝혔지만 현실화하지 못했던 개헌에 대해서는 "어떻게 개헌할 것인가는 이미 정리돼 있다"라며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인데 임기 단축 개헌 이야기가 앞에 나와 있어서 정부여당에서 임기 단축시키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갖고 있어 개헌 이야기를 아예 꺼내지 못하게 한다"고 말했다.
그는 "폭과 시기는 자유롭게 다 열어 이야기하고 합의된 만큼 하는 것으로 하되, 국민투표 시기는 다음 지방선거, 내후년 지방선거에 국민투표를 하자고 했다"며 "합의를 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꼭 제 임기 중에 개헌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생각"이라고 의지를 보였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