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모두가 전력에 굶주렸다..담아야할 19개 종목②

기사입력 : 2024년05월31일 15:04

최종수정 : 2024년05월31일 15:51

"전력망 테마 PNW, ETR, XEL 등 주목"

이 기사는 5월 17일 오후 3시00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오상용 글로벌경제 전문기자 = *①편 기사에서 이어집니다. 

4. 원자력 : URA, CCJ

원자력 발전 부문 역시 `전력 플레이션` 테마의 한 축을 구성한다. 원전은 핵폐기물의 영구적 위험성에도, 전력생산 단계에서 주요 청정 전력원으로 꼽힌다. 여기에 들어가는 우라늄은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제 3의 장기 강세장에 들어섰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기존 원전의 발전용량을 확장하는 `증량(uprate)`기술을 채택하는 것만으로도 약 520만파운드의 우라늄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여기에다 전 세계적으로 현재 60기의 원전이 건설중이며 추가로 425기 건설이 계획 및 추진 단계에 있다. 우라늄 수요가 확대일로에 있다는 이야기다.

반면 더딘 공급 증가세로 향후 10년간 우라늄 시장 수급은 계속 공급부족 상태에 놓일 가능성이 크다. BofA는 우라늄 EFT인 `URA(Global X Uranium ETF = 티커명 : URA)`와 글로벌 우라늄 생산업체인 카메코(CCJ ) 주식을 활용해 해당 테마에 접근하라고 조언했다.

전력 테마 관련 핵발전 유망주 및 ETF [출처 =BofA]

5. 유틸리티 및 공업섹터

전력망 유틸리티의 경우 피너클 웨스트 캐피털(PNW)과 엔터지(ETR), 엑셀에너지(XEL), 퍼블릭 서비스 엔터프라이즈(PEG) 등 4개 종목으로 접근하라고 했다.

애리조나주에 위치한 전력공급업체 PNW는 미국 선벨트 지역을 아우르는 사업망과 늘어나는 데이터 센터의 전력 수요가 최대 매력으로 꼽혔다. 미국 남부(텍사스 루이지애나 등) 지역의 전력발전·공급을 맡고 있는 ETR 역시 데이터 센터 고객 확대에 따른 성장성이 기대됐다.

미국 중서부에 전기와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XEL의 경우 사업 지역내 퇴장하는 석탄 발전소로 인해 5~10기가와트(GW)의 대체 수요가 생겨나 사업 기회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PEG는 데이터 센터와 기술 허브에 유리한 원전 설비를 보유하고 있는 게 강점으로 꼽혔다.

전력 테마 관련 유틸리티 유망주 및 ETF [출처=BofA]

공업쪽에서는 이튼(ETN)과 버티브(VRT), 애스펜테크놀러지(AZPN), GE버노바(GEV), 캐터필러(CAT) 등 전력생산 장비업체와 전력관리 소프트웨어 업체가 이름을 올렸다.

전력관리 솔루션 업체인 ETN은 제조업 리쇼어링 수혜주에 이름을 올리고 있으며 올 들어서는 데이터 센터용 전력관리 솔루션과 전력망 인프라 시장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VRT는 데이터 센터를 위한 열관리 시스템 부문에서 압도적 역량을 자랑한다. 2023년 이후 VRT의 토탈리턴은 600% 넘게 폭증했지만 BofA는 "강한 성장세와 엄청난 수주 잔고로 추가 상승여력이 충분하다"고 밝혔다. AZPN은 디지털 전력망 관리 소프트웨어 사업부의 두드러진 성장세가 강점으로 꼽혔다.

전력 테마 관련 공업 유망주 [출처=BofA]

6. 석유·천연가스

석유와 천연가스 섹터 역시 `전력 플레이션` 테마에서 빼놓을 수 없다.

BofA는 주요 석유 생산주 ETF인 `PXE(Invesco Energy Exploration & Production, ETF : 티커명 : PXE)`와 석유 서비스주 ETF인 `OIH(VanEck Oil Services ETF, 티커명 : OIH)를 추천했다. 천연가스 파이프라인과 저장시설을 운영하는 윌리엄스(WMB)와 에너지 트랜스퍼(ET), 그리고 킨더모건(KMI) 역시 이름을 올렸다.

전력 테마 관련 석유·천연가스 유망주 및 ETF [출처=BofA]

BofA는 "WMB의 경우 신재생 전력 부문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는 중이고, ET는 퍼미언 지역의 가스를 데이터 센터와 연결하는 과정에서 수혜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KMI 역시 테크 기업 신규 고객을 위한 천연 가스관 확대로 혜택을 볼 것이라고 기대했다.

전술한 `전력 밸류체인` 관련 19 종목(+ETF)은 구경제와 신경제의 접점에 위치한다.

최근 펀드매니저들은 구경제 섹터 비중을 2022년 이후 처음으로 확대했지만, 신경제 대비 구경제(에너지, 자원, 공업주) 섹터의 저평가는 여전하다. 이는 큰손들의 비중확대가 당분간 이어질 수 있으며 `전력 밸류체인` 섹터의 추가 상승 여력 또한 남았음을 시사한다.

최근 펀드 매니저들은 2022년 이후 처음으로 구경제 섹터 비중을 늘렸지만 이들 섹터는 여전히 신경제 대비 크게 저평가된 상태다. [사진=BofA]

눈여겨볼 점은 올 들어 전통적인 6대 4 포트폴리오(주식 60%, 국채 40%) 전략보다 원자재 비중을 40%에 두는 포트폴리오 전략(주식 60%, 원자재 40%)이 한층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주식과 채권의 전통적 상관관계(역의 상관관계)가 흐릿해진 가운데 끈적한 인플레이션 환경에서 원자재의 가치가 계속 부각되고 있어서다.  `전력 플레이션` 테마 역시 이러한 큰 흐름과 궤를 같이 한다.

주식 60%, 원자재 40% 비중의 포트폴리오의 성과가 전통적인 6대4(주식 60%, 국채 40%) 포트폴리오를 앞서고 있다.

 

osy75@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