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이 모락모락 피는 떡방앗간 풍경 그리워
까치들의 설날보다 우리우리 설날이 행복해야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개인 차이가 있겠지만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라는 인사는 설날에 더 잘 어울린다. 음력으로 섣달그믐밤을 지나 새아침이 밝아야 비로소 한 살 더 먹은 느낌이다. 그 중심에 떡국이 있다. 조선시대 홍석모가 쓴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떡국을 '백탕(白湯)' 혹은 '병탕(餠湯)'이라고 썼다. 겉모양이 희다고 하여 '백탕'이라 했으며, 떡을 넣고 끓인 탕이라 하여 '병탕'이라 했다.
[서울 = 뉴스핌] 고향집에 걸려 있는 박아지. [사진 =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2024.02.07 oks34@newspim.com |
어린 시절 설 명절을 앞둔 동네 떡방앗간은 그야말로 문전성시였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가래떡이 기계에서 쭉쭉 빠져나오면 방앗간 주인이 일정한 크기로 잘라 찬물에 담갔다가 재빨리 꺼내서 함지박에 정렬한다. 어쩌다가 긴 가래떡을 얻는 횡재를 하기도 했다. 쫀득쫀득하고 고소한 가래떡을 오래오래 음미하면서 먹었던 기억이 있다.
[서울=뉴스핌]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귀성행렬. 최지환 기자. choipix16@newspim.com |
설명절을 지내기 위해서 귀성길에 오르는 건 고난의 행군과 다를 바가 없었다. 설날 기차표를 예매하기 위해 서울역 앞에서 밤을 새던 시절이 엊그제 같다. 어느 해엔 귀성표를 구하기 위해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려들어 압사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고향가는 길이 하루반나절이 걸린다 해도 고향집 앞마당에서 자식들을 기다리고 있을 부모님 생각에 고단한 줄 모르고 만원기차에 몸을 실었다.
'매양 추위 속에/ 해는 가고 또 오는 거지만/ 새해는 그런대로 따스하게 맞을 일이다.// 얼음장 밑에서도 고기가 숨쉬고/ 파릇한 미나리 싹이/ 봄날을 꿈꾸듯/ 새해는 참고/ 꿈도 좀 가지고 맞을 일이다.// 오늘 아침/ 따뜻한 한 잔 술과/ 한 그릇 국을 앞에 하였거든/ 그것만으로도 푸지고/ 고마운 것이라 생각하라.// 세상은/ 험난(險難)하고 각박(刻薄)하다지만/ 그러나 세상은 살 만한 곳/ 한 살 나이를 더한 만큼/ 좀 더 착하고 슬기로울 것을 생각하라.// 아무리 매운 추위 속에/ 한 해가 가고/ 또 올지라도/ 어린것들 잇몸에 돋아나는/ 고운 이빨을 보듯/ 새해는 그렇게 맞을 일이다.' - 김종길 '설날 아침에'.
[서울 = 뉴스핌] 고향집 장독대. [사진 =양재명 작가 제공] 2024.02.07 oks34@newspim.com |
수 많은 시인들이 설날 아침을 노래했지만 아직까지 김종길의 그것을 능가하는 따스함을 가진 시는 보기 힘들다. 반칠환은 '새해 첫 기적'이라는 시에서 어떤 경지를 펼쳐 보인다.
황새는 날아서
말은 뛰어서
거북이는 걸어서
달팽이는 기어서
굼벵이는 굴렀는데
한날한시 새해 첫날에 도착했다
바위는 앉은 채로 도착해 있었다
그런 새해 아침에 가족과 친척이 한자리에 모이면 어느새 집안은 맛있는 냄새와 함박웃음소리로 가득 찬다. 그리고 어김없이 생각나는 노래도 있다. '까치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우리 설날은 오늘이래요'라는 동요다. 그러나 언제부턴가 설날 연휴에 고향을 찾기 보다는 해외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이 더 많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설날을 외롭게 보내는 사람들도 차츰 늘어난다.
[서울 = 뉴스핌] 고향집 마당에 걸린 솥에서 떡국이 익고 있다. [사진 = 양재명 작가 제공] 2024.02.07 oks34@newspim.com |
'막차는 좀처럼 오지 않았다/ 대합실 밖에는 밤새 송이눈이 쌓이고/ 흰 보라 수수꽃 눈시린 유리창마다/ 톱밥난로가 지펴지고 있었다/ 그믐처럼 몇은 졸고/ 몇은 감기에 쿨럭이고/ 그리웠던 순간들을 생각하며 나는/ 한줌의 톱밥을 불빛 속에 던져주었다.' -곽재구 '사평역에서' 중에서.
'바람에 날려버린 허무한 맹세였나/ 첫눈이 내리던 날 안동역 앞에서/ 만나자고 약속한 사람/ 새벽부터 오는 눈이 무릎까지 덮는데/ 안 오는 건지 못 오는 건지/ 오지 않는 사람아.'
이제는 유명가수가 된 진성(본명 진성철)이 부른 '안동역에서'의 오지 않는 사람을 기다리는 이가 고향에 계신 부모님이 아니었으면 좋겠다. 고향집에 계신 어머니가 시나 노래 속의 주인공처럼 하염없이 자식을 기다리는 설날은 아무래도 너무 쓸쓸하다.
oks3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