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거인의어깨 입시컨설팅] ②2025학년도 의약학계열 입시전략

기사입력 : 2024년01월24일 07:00

최종수정 : 2024년01월24일 07:00

김형일 거인의어깨 대표

'거인의어깨'는 교육 1번지 대치동에서 24년째 입시컨설팅 활동을 하고 있는 입시컨설팅 전문회사입니다. 24년간의 축적된 데이터와 다양한 입시경험을 통해 뉴스핌에 연재하는 '거인의어깨 입시컨설팅'은 김형일대표가 전국 수험생 및 그 학부모님들을 위해 올바른 입시전략을 제시하는 입시칼럼입니다.


올해 2025학년도 입시에서는 아직 발표되지 않은 증원된 의대 정원을 제외하고, 전년도에 발표한 각 대학들의 전형계획안에 따르면 정원내로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수의대 5개 의약학계열에서 선발하는 총인원은 6,393명이고, 수시에서 3,925명, 정시에서 2,468명을 각각 선발한다.

요즈음 입시에서 가장 화두가 되는 의약학계열 진학을 증원된 의대 정원의 각 대학별 수시, 정시 선발인원은 추후 최종 수시 모집요강, 정시 모집요강을 통해 대학별로 정확히 파악하기로 하고 현재까지 발표된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수의대 5개 의약학계열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의대 모집인원은 전국 39개 의대에서 정원내 일반전형 기준으로 총 2,935명을 선발하는데, 수시에서 1,842명, 정시에서 1,093명을 선발한다. 추후 발표되는 의대 증원인원을 각 대학별로 반드시 체크해 보아야 한다.

치대 모집인원은 전국 11개 치대에서 정원내 일반전형기준으로 총 615명을 선발하는데, 수시에서 358명, 정시에서 257명을 선발한다.

한의대 모집인원은 전국 12개 한의대에서 정원내 일반전형기준으로 총 700명을 선발하는데, 수시에서 463명, 정시에서 237명을 선발한다.

약대 모집인원은 전국 37개 약대에서 정원내 일반전형기준으로 총 1,657명을 선발하는데, 수시에서 961명, 정시에서 696명을 선발한다.

수의대 모집인원은 전국 10개 수의대에서 정원내 일반전형기준으로 총 486명을 선발하는데, 수시에서 301명, 정시에서 185명을 선발한다.

김형일 거인의어깨 대표.


◆ 의대 입시전략 =서울소재 9개 의대는 올해 정원내 일반전형기준으로 총 846명을 선발하는데, 수시에서 478명, 정시에서 368명을 선발한다. 수시 478명을 전형별로 분석해보면 학생부교과전형 65명, 학생부종합전형 356명, 논술전형 57명을 각각 선발한다. 서울소재 9개 의대는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상당히 많은 인원을 선발하니 서울소재 9개 의대 진학을 꿈꾸는 수험생은 학생부관리도 잘 준비해야 한다.

지방소재 30개 의대는 올해 정원내 일반전형기준으로 총 2,089명을 선발하는데, 수시에서 1,364명, 정시에서 725명을 선발한다. 수시 1,364명을 전형별로 분석해보면 학생부교과전형 812명, 학생부종합전형 500명, 논술전형 52명을 각각 선발한다. 지방소재 30개 의대는 수시 학생부교과전형으로 상당히 많은 인원을 선발하니 지방소재 30개 의대 진학을 꿈꾸는 수험생은 학생부 내신성적 관리도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올해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없는 의대는 '가톨릭대 가톨릭지도자추천 2명, 강원대 미래인재Ⅱ 9명, 건양대 일반-면접 5명, 지역-면접 10명, 경희대 네오르네상스 29명, 고려대 계열적합 15명, 서울대 일반전형 49명, 성균관대 탐구형 25명, 중앙대 융합형 10명, 탐구형 15명, 순천향대 종합-일반 12명, 종합-지역 18명, 인하대 미래인재 16명, 충북대 종합Ⅰ 4명, 한양대 종합 30명'이고, 나머지 수시 전형들은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있으니 대학별로 자세히 체크해봐야 한다.

올해 논술전형으로 의대를 선발하는 대학은 '가톨릭대 19명, 경북대 7명, 경희대 15명, 부산대 15명, 성균관대 5명, 아주대 10명, 연세대(미래) 15명, 인하대 5명, 중앙대 18명'이다. 내신성적이 좋지 않지만 의대 진학을 꿈꾸는 수험생들은 적극 노려야 하는 전형으로 치열한 논술경합이 이루어질 것이 예상되나, 각 대학별로 제시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꼼꼼히 체크해 보고, 각 대학별 논술공부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수능성적은 전국 39개 의대 중 2023학년도 수능백분위 70% Cut이 가장 낮은 의대가 95.33%이었음을 인식하고, 점점 치열해지는 의대 선호도를 고려할 때, 수능 목표성적을 좀 더 상향해서 정해야 할 적이며, 6월 이후에 발표되는 전년도 2024학년도 전국 39개 의대 합격 수능성적을 통해 목표를 좀 더 수정해서 높여야 할 것이다.

11일 오후 서울 동작구 숭실대학교 한경직기념관에서 열린 서울시교육청 주최 '2024 대입 정시모집 대비 설명회'에서 수험생이 대입 지원전략 자료집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뉴스핌 DB]


◆ 치대 입시전략 =전국 11개 치대에서 정원내 일반전형기준으로 총 615명을 선발하는데, 수시에서 358명, 정시에서 257명을 선발한다. 수시 358명을 전형별로 분석해보면 학생부교과전형 137명, 학생부종합전형 197명, 논술전형 24명을 각각 선발한다.

올해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없는 치대는 '경북대 지역-학교장추천 3명, 경희대 네오르네상스 21명, 서울대 일반전형 25명, 연세대 논술 10명'이고, 나머지 수시 전형들은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있다.

올해 논술전형으로 의대를 선발하는 대학은 '경북대 3명, 경희대 11명, 연세대 10명' 등 3개 대학이고, 모두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있다.

수능성적은 전국 11개 치대 중 2023학년도 수능백분위 70% Cut이 가장 낮은 치대가 일반 95.75%, 지역 95.20%이었음을 인식하고, 그 이상의 수능성적을 향해 노력해야 한다. 6월 이후에 발표되는 전년도 2024학년도 전국 11개 치대 합격 수능성적을 다시 한 번 체크해보고 수능 목표를 수정해야 한다.

종로학원 주최 정시지원 입시설명회가 10일 서울 종로구 성균관대학교에서 열렸다. [사진=뉴스핌 DB]


◆ 한의대 입시전략 =전국 12개 한의대에서 정원내 일반전형기준으로 총 700명을 선발하는데, 수시에서 463명, 정시에서 237명을 선발한다. 수시 463명을 전형별로 분석해보면 학생부교과전형 230명, 학생부종합전형 207명, 논술전형 26명을 각각 선발한다.

올해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없는 한의대는 '경희대 네오르네상스 31명, 동의대 학교생활우수자 9명'으로 2개 대학 2개 전형이고, 나머지 대학, 수시 전형들은 모두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있다.

올해 논술전형으로 한의대를 선발하는 대학은 '경희대 인문 5명, 자연 16명, 부산대 지역 5명' 등 2개 대학에서 선발하고, 수능최저학력기준으로는 '경희대-인문'은 '국어, 수학, 영어, 사/과탐(2) 중 3개 영역 등급 합 4 이내, 한국사 5등급 이내', '경희대-자연'은 '국어, 수학(미적분/기하), 영어, 사/과탐(2) 중 3개 영역 등급 합 4 이내, 한국사 5등급 이내', '부산대-지역'은 '국어, 영어, 수학(미적분/기하), 과탐(2) 영역 중 수학 포함 3개 영역 등급 합 4 이내, 한국사 4등급 이내'이다.

수능성적은 전국 12개 한의대 중 2023학년도 수능백분위 70% Cut이 가장 낮은 한의대가 인문 96.50%, 자연 96.83%이었음을 인식하고, 수능성적을 그 이상으로 높이는데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6월 이후에 발표되는 전년도 2024학년도 전국 12개 한의대 합격 수능성적을 다시 한 번 체크해보고 좀 더 구체적 수능 목표를 가져야 한다.

[서울=뉴스핌] 이호형 기자 = 1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A홀에서 열린 2024학년도 정시 대학입학정보박람회에서 우송대학교가 상담 부스를 운영하고 있다.2023.12.14 leemario@newspim.com


◆ 약대 입시전략= 전국 37개 약대에서 정원내 일반전형기준으로 총 1,657명을 선발하는데, 수시에서 961명, 정시에서 696명을 선발한다. 수시 463명을 전형별로 분석해보면 학생부교과전형 483명, 학생부종합전형 388명, 논술전형 90명을 각각 선발한다.

올해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없는 약대는 '강원대 미래인재Ⅱ 9명, 경희대 네오르네상스 10명, 덕성여대 덕성인재Ⅱ(면접형) 20명, 동국대 학교장추천 4명, DoDream 11명, 서울대 일반전형 29명, 성균관대 탐구형 30명, 숙명여대 숙명인재(면접형) 20명, 연세대 논술 5명, 중앙대 융합형 18명, 탐구형 18명, 제주대 종합일반 4명, 충북대 학생부종합1 3명, 한양대(Erica) 종합 12명'으로 총 193명을 선발하니, 수능성적이 불안한 약대 진학을 희망하는 수험생들은 적극 공략해야 한다.

올해 논술전형으로 약대를 선발하는 대학은 '가톨릭대 8명, 경희대 7명, 고려대(세종) 일반 5명, 지역 5명, 동국대 5명, 부산대 지역 10명, 성균관대 5명, 숙명여대 4명, 아주대 5명, 연세대 5명, 이화여대 5명, 중앙대 26명'임으로 대학별 수능최저학력기준을 꼼꼼히 체크해야 한다.

수능성적은 전국 37개 약대 중 2023학년도 수능백분위 70% Cut이 가장 낮은 약대가 90.33%이었고, 그 다음이 94.17%임을 고려할 때, 적어도 95% 이상을 목표로 해야 할 것이며, 6월 이후에 발표되는 전년도 2024학년도 전국 37개 약대 합격 수능성적을 다시 한 번 체크해봐야 한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18일 오전 서울 광진구 건국대학교에서 2024학년도 수시모집 논술고사를 마친 수험생들이 학교를 나서고 있다. 2023.11.18 pangbin@newspim.com


◆ 수의대 입시전략 =전국 10개 수의대에서 정원내 일반전형기준으로 총 486명을 선발하는데, 수시에서 301명, 정시에서 185명을 선발한다. 수시 301명을 전형별로 분석해보면 학생부교과전형 199명, 학생부종합전형 86명, 논술전형 16명을 각각 선발한다.

올해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없는 수의대는 '건국대 지역균형 5명, 자기추천 5명, 경상국립대 종합일반 5명, 종합지역 3명, 서울대 일반전형 17명, 제주대 종합일반 2명, 충북대 학생부종합1 8명'이고, 나머지 대학, 수시 전형들은 모두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있다.

올해 논술전형으로 수의대를 선발하는 대학은 '건국대 6명, 경북대 3명' 등 2개 대학에서 선발하고, 수능최저학력기준으로는 '건국대'는 '국어, 수학, 영어, 사/과탐(1) 중 3개 영역 등급 합 4 이내, 한국사 5등급 이내', '경북대'는 '국어, 수학(미적분/기하), 영어 중 상위 2개 등급과 과탐(2) 등급 합 5 이내'이다.

수능성적은 전국 10개 수의대 중 2023학년도 수능백분위 70% Cut이 가장 낮은 수의대가 94.70%이었음을 인식하고, 수능성적을 그 이상으로 높이는데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6월 이후에 발표되는 전년도 2024학년도 전국 10개 수의대 합격 수능성적을 다시 한 번 체크해보고 좀 더 구체적 수능 목표를 가져야 한다.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여론조사] 민주 47.4%·국민의힘 34.3%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후 더불어민주당(민주당) 지지율은 오르고 국민의힘 지지율은 하락해 양당의 격차는 13.1%포인트(p)로 벌어졌다. 한때 국민의힘 지지율이 높았던 18~29세는 윤 전 대통령 파면 후 민주당 지지로 돌아서는 양상이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8일부터 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10일 발표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율은 47.4%로 직전 조사 대비 0.1%p 상승했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34.3%로 직전 조사 대비 0.5%p 하락했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4.10 ace@newspim.com 조국혁신당은 3.9%에서 4.0%로 0.1%p 상승했다. 개혁신당은 2.0%에서 1.9%로 0.1%p 하락했다. 진보당은 1.2%에서 0.8%로 0.4%p 떨어졌다. 기타 다른 정당은 1.5%에서 3.5%로 2.0%p 올랐다. 지지 정당 없음은 8.7%에서 7.2%로 1.5%p 줄었다. '잘모름'은 0.7%에서 1.0%로 0.3%p 올랐다. 연령 별로 보면 60대와 7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만 18~29세는 민주당 55.8%, 국민의힘 24.2%, 개혁신당 6.5%, 진보당 1.5%, 기타 다른 정당 2.9%, 지지 정당 없음 9.0% 등이다. 30대는 민주당 39.3%, 국민의힘 34.7%, 조국혁신당 4.9%, 개혁신당 3.0%,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9.3%, 지지 정당 없음 7.4% 등이다. 40대는 민주당 60%, 국민의힘 27.4%, 조국혁신당 2.7%, 개혁신당 1.0%, 진보당 0.6%, 기타 다른 정당 1.2%, 지지 정당 없음 6.5%, 잘모름 0.6%다. 50대는 민주당 51.1%, 국민의힘 29.4%, 조국혁신당 7.3%, 개혁신당 0.5%,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1.7%, 지지 정당 없음 8.1%, 잘모름 1.4%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42.3%, 민주당 39.8%, 조국혁신당 7.5%, 개혁신당 0.6%,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2%, 지지 정당 없음 4.3%, 잘모름 2.2%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49.2%, 민주당 36.3%, 개혁신당 0.6%, 기타 다른 정당 4.8%, 지지 정당 없음 7.9%, 잘모름 1.3% 등이다. 지역 별로는 보수 지지자가 많은 영남권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서울은 민주당 46.4%, 국민의힘 34.6%, 조국혁신당 4.7%, 개혁신당 2.7%, 진보당 1.6%,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9%, 잘모름 1.0%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당 48.3%,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4.0%, 지지 정당 없음 7.6%, 잘모름 0.9%다. 대전·충청·세종은 민주당 52.0%, 국민의힘 27.0%, 개혁신당 2.5%, 조국혁신당 1.6%, 기타 다른 정당 4.7%, 지지 정당 없음 12.2%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61.6%, 국민의힘 27.7%, 조국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4.4%, 민주당 37.5%,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1.9%, 진보당 0.6%,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7.8%, 잘모름 1.3%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44.8%, 민주당 36%, 개혁신당 3.1%, 조국혁신당 2.9%, 기타 다른 정당 3.0%, 지지 정당 없음 7.2%, 잘모름 3.0%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2.1%, 국민의힘 23.2%, 조국혁신당 8.4%, 개혁신당 1.2%, 기타 다른 정당 2.2%, 지지 정당 없음 2.9%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6%, 국민의힘 37.1%, 조국혁신당 3.9%, 개혁신당 3.2%,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1.7%, 지지 정당 없음 6.6%, 잘모름 0.6%다. 여성은 민주당 48.9%, 국민의힘 31.5%,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 0.7%,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5.2%, 지지 정당 없음 7.7%, 잘모름 1.3%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민주당이 국민의힘에 비해 한계허용 오차범위 밖에서 우세한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다"며 "이는 정권 교체를 원하는 국민들의 여론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앞으로의 정치적 변화와 선거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지난 대선 때 '이대남(20대 남성)'과 '이대녀(20대 여성)' 논란이 있었다"며 "이대남들은 국민의힘 지지, 이대녀들은 민주당을 지지하는 추세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5.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4-10 10:00
사진
이재명 47.6% '1강 독주'...2위 김문수 17.9% [서울=뉴스핌] 지혜진 기자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차기 대통령 후보 1강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는 여론조사가 10일 발표됐다. 이 전 대표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 전 대표에 이어 안정적인 2위를 차지한 양상이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 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8~9일 전국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 시스템(ARS) 조사에서 '차기 대통령 후보로 누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느냐'(호명순서는 가나다순)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이재명 47.6% ▲김문수 17.9% ▲한동훈 4.9% ▲홍준표 4.3% ▲오세훈 3.7% ▲김경수=안철수 2.1% ▲김동연 1.9% ▲유승민 1.8% ▲이준석 1.7% ▲원희룡 1.1% ▲우원식 0.8% ▲김두관=김부겸 0.7% 순으로 응답했다. ▲기타 다른 인물 4.3% ▲없음 2.6% ▲잘 모름은 1.8%였다. 성별로는 이 전 대표와 김 전 장관이 각각 1, 2위를 차지했다. 다만 남성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보다 홍준표 대구시장을 선호한 반면 여성은 홍 시장보다 한 전 대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여성에서 가장 낮은 지지도를 얻었다. 남성은 ▲이재명 46.7% ▲김문수 19.7% ▲홍준표 5.2% ▲한동훈 4.3% ▲오세훈 3.5% ▲이준석 3.0% ▲유승민 2.5% ▲김동연 2.2% ▲김경수 1.9% ▲안철수 1.8% ▲원희룡 1.6% ▲김두관=김부겸 0.8% ▲우원식 0.4% 순이었다. 여성은 ▲이재명 48.4% ▲김문수 16.2% ▲한동훈 5.4% ▲오세훈 3.9% ▲홍준표 3.3% ▲안철수 2.5% ▲김경수 2.3% ▲김동연 1.8% ▲우원식 1.3% ▲유승민 1.2% ▲원희룡 0.6% ▲김두관=김부겸 0.5% ▲이준석 0.4% 순이다. 이 전 대표를 가장 선호하는 연령층은 40~50대였다. 반면 가장 선호하지 않는 연령대는 70대 이상과 30대였다. 김 전 장관은 60대, 70대 이상에서 20% 넘는 지지율을 보이며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20대(만18세~29세)는 ▲이재명 51.8% ▲김문수 13.1% ▲이준석 5.4% ▲김동연 5.1% ▲홍준표 3.3% ▲오세훈 2.9% ▲유승민 2.7% ▲안철수=한동훈 2.0% ▲김부겸 0.8% ▲김경수 0.7% 로 집계됐다 30대는 ▲이재명 40.7% ▲김문수 15.2% ▲한동훈 7.4% ▲홍준표 6.0% ▲김경수 4.0% ▲유승민 3.2% ▲안철수 3.1% ▲오세훈 2.6% ▲이준석 1.8% ▲원희룡 1.3% ▲김부겸 1.2% ▲김두관 0.5%로 나타났다 40대는 ▲이재명 58.8% ▲김문수 17.3% ▲홍준표 4.1% ▲우원식 2.8% ▲한동훈=안철수 2.3% ▲이준석 1.5% ▲오세훈 1.1% ▲김경수 1.0% ▲김동연=김부겸 0.6% ▲유승민 0.5%로 조사됐다. 50대는 ▲이재명 56.1% ▲김문수 13.3% ▲오세훈=홍준표 4.5% ▲안철수 3.5% ▲한동훈 2.9% ▲유승민 2.2% ▲김동연 1.8% ▲원희룡 1.4% ▲이준석 1.0% ▲김경수 0.9% ▲우원식 0.8% 였다. 60대는 ▲이재명 42.0% ▲김문수 22.5% ▲한동훈 7.6% ▲오세훈=홍준표 5.0% ▲김경수 3.2% ▲유승민 2.2% ▲김동연 1.6% ▲김두관=김부겸=우원식=원희룡 1.1%로 나타났다. 70대 이상은 ▲이재명 32.3% ▲김문수 27.0% ▲오세훈 6.1% ▲한동훈 7.6% ▲김경수 3.3% ▲김동연 2.9% ▲김두관=원희룡 2.7% ▲홍준표 2.6% ▲안철수 1.9% ▲이준석 0.7% ▲김부겸 0.6%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이 전 대표는 호남권에서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였고 뒤이어 강원·제주, 대전·충청·세종에서 과반의 지지율을 나타냈다. 한 전 대표는 부산에서 10.1%로, 두자릿수 지지율을 보였다. 서울은 ▲이재명 46.9% ▲김문수 16.5% ▲한동훈 5.8% ▲홍준표 4.2% ▲유승민 3.3% ▲이준석 3.2% ▲김동연 2.6% ▲오세훈 2.1% ▲안철수 1.7% ▲김경수 1.6% ▲김두관=김부겸=우원식=원희룡 0.5% 경기·인천은 ▲이재명 49.4% ▲김문수 22.4% ▲한동훈 3.5% ▲홍준표 3.4% ▲안철수=오세훈 3.2% ▲김경수 1.8% ▲우원식 1.4% ▲유승민 1.2% ▲김두관=이준석 0.9% ▲김동연=원희룡 0.6%로 집계됐다. 대전·충청·세종은 ▲이재명 51.9% ▲김문수 11.8% ▲김동연 4.7% ▲홍준표 4.2% ▲한동훈 3.9% ▲오세훈 3.6% ▲유승민 3.4% ▲이준석 2.5% ▲우원식 1.8% ▲김경수 1.7% ▲원희룡 0.9% ▲안철수 0.6%였다. 강원·제주는 ▲이재명 55.4% ▲김문수 13.0% ▲한동훈 6.8% ▲김동연 6.2% ▲홍준표 3.7% ▲김경수 2.4% ▲김두관=김부겸 1.8%로 나타났다. 부산·울산·경남은 ▲이재명 40.7% ▲김문수 14.2% ▲한동훈 10.1% ▲오세훈 6.5% ▲홍준표 6.2% ▲김동연 2.8% ▲김경수 1.8% ▲유승민 1.3% ▲원희룡 1.2% ▲안철수=우원식 0.7% ▲김부겸=이준석 0.6%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은 ▲이재명 33.6% ▲김문수 23.5% ▲오세훈 9.5% ▲홍준표 6.9% ▲한동훈 4.9% ▲원희룡 3.0% ▲안철수 2.8% ▲유승민 2.7% ▲김부겸 2.2% ▲이준석 2.1% ▲김경수=김두관 1.0%였다. 광주·전남·전북은 ▲이재명 59.4% ▲김문수 14.6% ▲김경수 6.0% ▲안철수 3.6% ▲이준석=홍준표 2.2% ▲원희룡 2.1% ▲김부겸 2.0% ▲김동연 1.0% ▲김두관 0.9%이다. 지지정당별로는 차이가 극명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은 ▲이재명 87.9% ▲김동연 2.5% ▲김경수 2.4% 순이었고, 조국혁신당은 ▲이재명 64.9% ▲안철수 6.2% ▲김문수 4.8% 순이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김 전 장관을 가장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문수 46.3% ▲한동훈 12.4% ▲홍준표 11.3% 순이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이준석 40.8% ▲유승민 16.2% ▲안철수 14.6% 순이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민의힘은 다가오는 조기 대선은 '이재명과 민주당을 심판하는 선거가 되어야 한다'며 이재명 세력을 막아내는 것이 국가 정상화의 시발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코끼리를 생각하지 마'라고 하면 오히려 코끼리를 생각하게 되는 것처럼 오히려 여론조사 결과는 이재명 전 대표의 주목도를 더 높여서 1강체제를 굳히는 결과가 나왔다"고 분석했다. 이어 "하지만 이 전 대표가 '민주당은 중도보수' 라고 언급한 것처럼 본인 지지층을 넘어서 영남과 중도층 등으로 지지층을 확대해 '이재명 대 反이재명' 구도를 극복해야 하는 것도 숙제"라고 했다. 그러면서 "보수 후보들중에서는 김문수 전 장관이 지지율이 가장 높았지만 지난 조사대비 하락했으며, 다른 보수 후보들 또한 평균 이하로 결과가 나왔다"고 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5.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heyjin@newspim.com 2025-04-10 10: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