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산업 자동차

속보

더보기

11월 車판매 수출서 희비…현대차·기아·GM '씽씽' 르노·KG '브레이크'

기사입력 : 2023년12월01일 17:32

최종수정 : 2023년12월01일 17:32

기아 쏘렌토, 9364대로 2달 연속 베스트셀링카
르노·KG는 내수·수출 모두 판매량 감소

[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11월 국내 완성차 5개사의 실적은 수출에서 갈렸다.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늘어난 현대자동차, 기아, 제너럴모터스(GM) 한국사업장은 전체 판매량도 늘었지만 수출은 물론 내수 판매도 부진했던 르노코리아자동차와 KG 모빌리티(KGM)은 판매량이 줄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11월 한 달 동안 국내 7만2058대, 해외 29만3518대 등 전 세계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한 총 36만5576대를 판매했다. 국내 판매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3%, 해외 판매는 2.1% 증가했다.

더 뉴 쏘렌토 [사진= 기아]

11월 한 달 동안 내수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차량은 포터로 9255대다. 승용과 RV 중에서는 싼타페가 8780대로 가장 많이 판매됐다.

세단은 그랜저 7980대, 아반떼가 5828대, 쏘나타 4895대 등 총 1만9321대를 팔았다.

RV는 싼타페 외에도 팰리세이드 3157대, 투싼 3205대, 코나 3209대, 캐스퍼 5701대 등 총 2만6783대 판매됐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G80 3023대, GV80 3874대, GV70 2910대 등 총 1만889대가 팔렸다.

기아는 11월 국내 5만22대, 해외 20만9637대, 특수 568대 등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26만227대를(도매 판매 기준) 판매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는 3.6% 감소, 해외는 3.0% 증가(특수 판매 제외)한 수치다.

지난달 내수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린 기아 차량은 쏘렌토로 9364대가 판매됐다. 승용은 레이 4587대, K5 3783대, K8 2799대, 모닝 2111대 등 총 1만4944대가 판매됐다.

RV는 쏘렌토를 비롯해 스포티지 5982대, 카니발 5857대, 셀토스 4446대, 니로 1661대 등 총 2만9094대가 판매됐다. 상용은 봉고Ⅲ가 5855대 팔리는 등 버스를 합쳐 총 5984대가 판매됐다.

기아의 11월 해외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한 20만9637대를 기록했다.

차종별 해외 실적은 스포티지가 4만1218대 팔리며 해외 최다 판매 모델이 됐고 셀토스가 2만9437대, K3(포르테)가 1만9436대로 뒤를 이었다.

[사진= GM]

지엠 한국사업장은 11월 한 달 동안 총 4만7104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기 대비 106.1% 증가했다. 해외 판매는 111.9%, 내수 판매는 46.6% 증가한 수치다.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파생모델 포함)는 11월 한 달 동안 총 2만5826대가 해외 시장에 판매되며 실적을 견인, 출시 이후 최대 월 해외 판매량을 기록했다.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파생모델 포함)도 11월 한 달 동안 해외시장에서 총 1만8262대 판매됐다.

르노코리아와 KG 모빌리티는 내수와 수출에서 모두 부진하며 전년 동기 대비 판매량이 줄었다.

르노코리아는 11월 내수 시장에서 총 1875대 판매, 수출 2648대를 판매해 한 달 동안 총 4523대를 판매했다. 내수는 전년 동기 대비 66.2%, 수출은 77.5% 감소했다. 특히 르노코리아의 올해 11월까지의 누계 수출은 7만7015대로 전년 동기 11만586대에 비교해 30.4% 감소했다.

KG 모빌리티(KGM)는 11월 내수 5050대, 수출 1950대를 포함해 총 7000대를 판매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37.6% 감소한 수치다.

KGM의 11월 내수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21.4%, 수출은 59.4% 줄었다. 다만 신차인 토레스 EVX은 본격적으로 출고를 시작하며 1667대로 11월 한 달 간 내수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KGM 모델이 됐다.

KGM 관계자는 "평택공장 조립라인 통합공사에 따른 생산 중단과 소비 심리 위축 등으로 인해 판매가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다"며 "토레스 EVX가 본격적으로 국내외 출고를 시작하며 판매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다양한 마케팅 전략 등 공격적인 내수 시장 대응 물론 글로벌 시장 공략 강화를 통해 판매 물량을 늘려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XM3 [사진= 르노코리아자동차]

origi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강선우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국회에 국방부, 국가보훈부, 통일부, 여성가족부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 송부를 재요청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금주 내에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은 오는 24일 목요일로 요청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레젭 타입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현행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임명동의안 등이 제출된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청문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만약 국회가 이 기간 내에 청문보고서를 송부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은 그로부터 열흘 이내 범위에서 기한을 정해 국회에 송부를 재요청할 수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논문 표절 논란이 불거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명을 철회했으며, 보좌진 '갑질' 등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절차를 이어가기로 했다. 강 후보자와 관련해 야당뿐 아니라 시민사회단체들로부터도 반대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parksj@newspim.com 2025-07-22 15:52
사진
[단독] '근로감독관법' 입법 초읽기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근로감독관 직무·권한·수사권 행사 기준 등 근로감독 업무 전반에 대해 체계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근로감독관법 제정안이 발의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근로감독관 증원 의지를 꾸준히 밝혀왔다. 이 대통령 대선 공약에는 임기 내 근로감독관을 최대 1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이 담겼다. 전문가들은 현행 근로감독에 대한 법적 근거가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과 훈령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한 만큼, 증원에 앞서 법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1일 국회에 따르면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근로감독관법 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이다. 이르면 이번주 발의를 마무리하고 국회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4회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제정안은 근로감독의 내용과 감독관의 책임 및 권한 등을 명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반복 위반 및 중대한 위법행위에 대한 즉각적 수사 착수 기준을 밝히고, 정기·수시·특별감독 유형 구분과 감독결과에 대한 처리기준을 명문화했다. 근로감독행정 정보시스템 및 노동행정포털 구축 등 디지털 행정 기반 마련, 권리구제지원관 도입 등 근로감독 역량 강화를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 근거도 포함했다. 전문가들은 근로감독관 증원, 근로감독권 지방 이양 등 근로감독 관련 대통령 공약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법체계 정비가 먼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현행 법체계를 보면 근로감독관에 대한 법적 근거는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인 '근로감독관 규정'이 가장 상위 법령이고, 그 아래 시행규칙인 '근로감독관증 규칙'과 훈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근로감독 내용과 감독관 권한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감독관 증원 및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 필요성을 반복 강조해 왔다.  이 대통령는 지난 1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과 이를 위한 근로감독관 대폭 증원 등을 지시한데 이어, 지난 17일에는 "산업안전 업무를 담당할 근로감독관을 300명 정도라도 신속하게 충원해 예방적 차원의 현장 점검을 불시에 상시적으로 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구체적 증원 규모까지 언급했다. 이 대통령이 근로감독관 확대를 추진하는데는 근로감독관 인력 부족이 한계치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노동사건은 급격히 증가하는데 반해, 이를 조사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분야를 다루는 근로감독관 수는 2236명으로 지난 2019년 이후 정체 현상이 뚜렷하다.  김근주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근로감독관과 더불어 이들이 2~3년마다 순환 근무하는 노동위원회 조사관의 업무가 증폭하고 있어 인원 확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근로감독) 권한 일부를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등의 논의도 있다"며 "이런 부분이 현행 체제로는 가능하지 않아 법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번 제정안을 두고 "독자적인 근로감독법을 제정한다면 근로감독이라는 행정권한의 위상이 법적으로 확립될 것"이라며 "노동행정의 실행력이 강화될 뿐 아니라 일선 근로감독관의 전문성 제고와 집행의 일관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7-21 18: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