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국토교통부가 연내 탄소공간지도 표준모델을 구축하고 정책 활용방안을 마련하는 연구용역을 추진한다.
국토부 청사 |
국토교통부는 도시 및 지역의 공간 단위에서 종합적인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탄소공간지도' 구축·활용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정책간담회를 개최한다고 21일 밝혔다.
탄소공간지도는 탄소의 배출·흡수량 정보를 도시·지역의 공간단위 기반(격자, 행정구역 단위 등)으로 시각화, 지도화한 것으로 탄소중립형 도시계획 수립, 탄소중립도시 조성 등에 활용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말까지 탄소공간지도 표준모델을 구축하고 정책 활용방안을 마련하는 연구용역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내년 상반기 탄소공간지도 서비스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선 건물·수송 부문 에너지 정보를 통해 탄소배출량 데이터를 구축하고 도시 내 공원, 녹지, 유원지 등 토지용도별 공간정보 데이터를 통해 탄소흡수량을 산정해 탄소공간지도의 데이터 모델을 제시한다.
국토이용정보 통합플랫폼(KLIP)의 도시계획 현황 정보,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의 공간별 인구·교통정보 등 기존 정보를 연계해 정기적으로 토지이용 현황, 교통량 변화, 인구변화 등을 반영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탄소공간지도의 정확성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탄소공간지도를 고도화하는 연구개발(R&D)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도시별 탄소중립수준을 파악하고 탄소중립기본법에 따라 탄소중립도시를 선정해서 지원하는데 활용할 방침이다.
각 도시들은 탄소공간지도에 기반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공간구조·교통체계·공원녹지 등에 탄소중립 도시계획 요소를 반영하는데 활용할 계획이다. 탄소배출이 많은 지역은 집중적으로 관리한다.
길병우 국토부 도시정책관은 "탄소공간지도를 기반으로 지역 특성이 반영된 탄소중립형 도시계획을 수립하도록 해 전 국토의 탄소중립 달성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min7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