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A주 버팀목 '국가자본' 증시서 발빼기?...당국 "사실 아냐"

기사입력 : 2022년04월27일 17:25

최종수정 : 2022년04월27일 17:25

상하이종합지수 20% ↓, '국가자본' 주식 처분설 확산
당국 관계자 "소문, 사실과 엄중히 달라"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중국 증시가 27일 급반등했다. 상하이종합지수가 2% 이상 올랐고, 선전성분지수는 4% 이상, 촹예반지수는 5% 이상 급등했다. 투심 회복이 증시 반등의 '관건'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었던 가운데 중국 증시의 '구원투수'라 불리는 국가자본이 또 한 번 영향력을 발휘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래픽=텐센트 증권] 상하이종합지수 27일 주가 추이

중국 증시는 연초부터 하락세를 이어 왔다. 상하이종합지수의 경우 연초 3632.33포인트에서 직전 거래일인 26일 2886.43포인트까지 20% 주저앉았다. 중국 증시가 바닥을 모르고 추락하는 상황에서 시장에는 국가자금이 증시에서 '발을 뺐다'는 소문까지 확산했다. 국가자본이 지난 1분기 주식을 대량 매도하면서 보유 중인 주식의 시가 총액이 지난해 말 3조 2000억위안에서 올해 3월 말 600억 위안까지 급감했다는 내용이었다.

중국은 증시가 대폭락할 때 마다 이른바 '궈자두이(國家隊)'를 투입해 주식을 대량 매입함으로써 증시를 떠받쳐 왔다. 국가대표를 의미하는 '궈자두이'에는 중국증권금융주식유한회사(증금공사)와 중앙회금공사(중앙회금), 외환관리국 산하 투자 플랫폼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장기 투자 전략을 구사하면서 중국 증시 투자자들에게 '진정제' '길라잡이' 역할을 한다.

그러나 최근 중국 당국 관계자로부터 '궈자두이'의 증시 철수 소문은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이 전해졌고, 이것이 투심 회복을 견인하면서 27일 증시 반등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실제로 중국 증시 전문 매체인 정취안스바오(證券時報)는 중국 증권 당국 관계자 발언을 인용, "'궈자두이'의 1분기 주식 대량 매도설은 사실과 엄중히 다르다. '궈자두이'의 보유 주식 규모는 안정적이고 주식을 처분하지 않았다"며 "상장사의 올해 1분기 보고서가 전부 공개되지 않은 상황에서 '궈자두이'의 보유 주식 및 처분 주식 데이터에 편차가 존재한다"고 27일 보도했다.

이달 25일 기준 A주 상장사 중 지난해 보고서를 발표한 상장사는 3593개인 반면 1분기 보고서를 발표한 상장사는 1193개에 불과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궈자두이'의 1분기 보유 주식 변동 상황을 지금으로서는 정확히 파악하기 힘들다는 설명이다.

상하이 소재 증권사 애널리스트 역시 디이차이징(第一財經)과의 인터뷰에서 "아직 많은 상장사들이 올해 1분기 보고서를 공개하지 않아 '궈자두이' 자금 현황을 파악하기 어렵다"며 "보유 주식 규모에의 변동 여부를 지금으로서는 판단하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궈자두이'가 집중 포진해 있는 저(底) 밸류에이션의 블루칩, 금융주들이 1분기 보고서를 발표하지 않았다"며 "'궈자두이'의 투자 스타일은 안정적이다. 버블이 나타났거나 밸류에이션에 변동이 생긴 종목 비중을 줄이는 것은 정상적인 현상"이라고도 덧붙였다.

한편 중국 금융 데이터 제공 플랫폼인 둥팡차이푸(東方財富) 자료에 따르면 26일까지 2022년 1분기 보고서를 발표한 상장사 중 60여 개 상장사의 10대 주주 리스트에 '궈자두이' 이름이 등장했다. 증금공사가 10대 주주에 포함된 상장사가 25개, 중앙회금이 포함된 상장사는 30개였다.

지난 3월 말 기준 증금공사가 가장 많은 주식을 보유한 5개 종목은 각각 쯔진쾅예(紫金礦業·601988), 핑안은행(平安銀行·000001), 하이퉁증권(海通證券·600837), 난징은행(南京銀行·601009), 중롄중커(中聯重科·000157)로 나타났고, 중앙회금이 보유한 5대 종목은 둥팡차이푸(東方財富·300059), 닝보은행(甯波銀行·002142), 헝루이제약(恒瑞醫藥·600276), 촨터우에너지(川投能源·600674), 중씽통신(中興通訊·000063)이었다. 

hongwoori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부지법 난동' 4명 오늘 선고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지난 1월 서울서부지법 난동 사태 당시 언론사 취재진을 폭행하거나, 법원에 난입하는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들에 대한 법원의 선고가 16일 내려진다. 서울서부지법 형사합의11부(재판장 김우현)는 이날 오전 10시 우 모 씨 등 4명의 선고기일을 연다. 지난 1월 19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 청사 유리창과 벽면이 파손되어 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 구속영장이 발부되자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서울서부지법에 난입해 유리창을 깨고 집기를 훼손하는 등 난동을 부려 경찰이 강제진압에 나섰다. [사진=뉴스핌 DB] 우 씨는 지난 1월18일 서부지법에서 취재 중이던 MBC 취재진에게 가방을 휘둘러 전치 2주의 상해를 입힌 혐의를 받는다. 남 모 씨와 이 모 씨는 시위대를 법원 밖으로 이동시키려던 경찰을 폭행한 혐의(공무집행방해 등)를 받는다. 안 모 씨는 서부지법 경내에 들어간 혐의(건조물침입)다. 지난 30일 결심공판에서 검찰은 우 씨, 남 씨, 이 씨에게 징역 1년 6개월, 안 씨에게 징역 1년을 구형했다. 피고인들은 모두 죄를 반성하며 선처를 호소했다. 앞서 '서부지법 난동' 첫 판결이 나온 지난 14일, 서부지법 형사6단독 김진성 판사는 특수건조물침입 등 혐의를 받는 김 모 씨와 소 모 씨에게 징역 1년 6개월과 징역 1년을 각각 선고했다. chogiza@newspim.com 2025-05-16 07:26
사진
사직 전공의 복귀 수요조사 마무리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대한수련병원협의회가 정부에 전공의 복귀를 위한 '5월 추가 모집'을 공식 건의할 예정이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공의 수련병원 단체인 대한수련병원협의회는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복귀 희망 여부를 조사한 설문 결과를 마무리했다.  복지부는 지난 7일 이달 중 복귀를 원하는 사진전공의를 대상으로 복귀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공의 수련은 3월과 9월에 각각 상·하반기 일정을 게시한다. 만일 사직전공의가 하반기 모집에 맞춰 복귀하면 다음 해 2월에 실시되는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이에 일부 사직 전공의들이 복귀할 방안을 요구했고, 복지부가 추가 모집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다만 복지부는 복귀 의사가 확인돼야 추가 모집을 검토하겠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정부가 복귀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는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추가 모집을 실시할 예정이다. 사진은 6일 서울시내 한 대학병원의 의료진 모습. 2025.02.06 yooksa@newspim.com 이에 따라 수련병원협의회는 사직 전공의 복귀 의사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 8일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에 참여한 전공의 중 절반가량은 '조건부 복귀'를 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재논의, 제대 후 복귀 보장 등을 조건으로 내세웠다. 아직까지 실제 복귀 의사를 밝힌 사직 전공의는 미미한 수준이다. 앞서 대한의학회가 시행한 설문 조사에서 복귀 의사를 밝힌 사직 전공의는 300명에 불과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수련 병원에서 근무 중인 전공의는 올해 3월 기준 1672명으로 지난해 전공의 집단 사직 이전 1만3531명 대비 12.4% 수준이다. 전공의 사직 이전의 50%(6765명)까지 돌아오려면 최소 5093명이 돌아와야 한다. 익명을 요청한 한 사직 전공의는 "바뀐 게 없는데 복귀하겠느냐"며 "복귀하지 않겠다는 전공의가 대부분"이라고 상황을 설명했다. 한편, 복지부는 의료 단체들의 설문 조사 결과를 받은 후 추가 모집 결정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다만 복귀 마지노선이 5월인 점을 감안해 조속히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오늘 오후 기준 전달 받은 설문 결과는 없다"며 "설문 조사 결과를 받게 되면 검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sdk1991@newspim.com 2025-05-14 17:1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