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자동차

속보

더보기

'하이브리드 명가' 토요타-렉서스...전기차 출시도 '시동'

기사입력 : 2021년07월25일 13:11

최종수정 : 2021년07월25일 13:11

토요타, 렉서스 '하이브리드차' 꾸준한 인기
다양한 차종에 효율성↑...소비자 선택권도 넓어
렉서스 전기차 'UX300e' 내년 상반기 출격 준비

[서울=뉴스핌] 조정한 기자 = '하이브리드(HEV) 명가'인 토요타·렉서스를 찾는 소비자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 주행거리가 걱정인 전기자동차 대신 다양한 차종에 경제성도 뛰어난 하이브리드차를 구매하는 셈인데, 이 같은 경쟁력을 바탕으로 전기차 출시에도 시동을 걸고 있어 관심이 쏠린다.

25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토요타·렉서스의 판매량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토요타는 지난해 1월부터 6월까지 총 2804대를 팔았지만 올해 같은 기간 14.7% 증가한 3217대를 판매했다. 렉서스는 지난해 같은 기간 3597대를 팔았으나, 올해 35.3% 증가한 4868대를 팔아치웠다. 판매를 견인한 건 당연 하이브리드차다. 토요타는 전체 판매량의 88%, 렉서스는 전체 판매량의 91.1%가 하이브리드차로 집계됐다.

토요타 뉴 시에나 [사진=토요타]

◆ 토요타, 해치백부터 세단까지 차종 다양

토요타의 인기 비결은 탁월한 연비와 경제성 그리고 다양한 차종으로 분석된다. 무엇보다 ▲해치백에서 세단, 스포츠유틸리티차(SUV)까지 다양한 라인업을 고를 수 있다는 점 ▲판매와 애프터서비스(A/S) 모두 하이브리드차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췄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토요타코리아는 ▲4세대 완전 변경 미니밴 모델인 뉴 시에나 하이브리드 ▲중형 세단 캠리 하이브리드 ▲중형 SUV RAV4 하이브리드 ▲풀사이즈 세단 아발론 하이브리드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넓고 안전한 이동수단에 대한 욕구가 커지면서 뉴 시에나 하이브리드 구매를 고려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3000만~4000만원대인 기아 쏘렌토·카니발 하이브리드 형제가 꾸준히 경쟁자로 언급되고 있지만, 시에나의 승차감이 탁월하다는 평가 때문이다.

시에나는 미니밴으로써 SUV보다 크고 2열 공간을 충분히 확장할 수 있다는 게 대표적인 장점이다. 슈퍼 롱 슬라이드 레일을 적용해 624mm 범위에서 시트를 전후로 이동할 수 있어 아이들이 다리를 쭉 뻗어도 1열 뒷좌석을 차지 않는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킥 센서가 적용된 핸즈프리 파워 슬라이딩 도어와 파워 백 도어가 기본으로 적용돼 주차된 옆 차량을 찍는 '문콕'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도 인기 요인이다.

지난 5월 부분 변경 모델로 출시된 '2022년형 뉴 캠리' 또한 효율적인 연비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모델이 전체 4개 모델 중 3개(XSE, XLE, LE)이며, 총출력 211마력의 2.5L 다이내믹 포스 엔진과 전기모터가 탑재돼 있다. 공인 복합연비는 17.1Km/L로 높지만, 가격은 개별소비세 3.5%를 적용할 경우 3000만원대 중반부터 시작해 가성비도 갖췄다.

◆ 렉서스, 탁월한 내구성에 인기...ES300h 2022년형 출격 대기

렉서스는 토요타보다 가격은 높지만 탁월한 내구성으로 고급형 하이브리드차를 원하는 소비자들 사이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

주력 차종인 ES300h는 6000만원대 가격이 형성돼 있으나 메르세데스 벤츠와 같은 승차감을 누리고 싶은 구매자들 사이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해당 모델은 올해 상반기 국내서 2519대가 팔렸고, 지난해엔 총 5732대가 팔렸다.

인기에 힘입어 올 하반기엔 ES300h의 2022년형 모델을 선보일 예정이다. 일본에서 지난 4월 공개된 바에 따르면, 전면 그릴 디자인이 변경됐고 안전 및 편의 사항이 업그레이드된 것으로 알려졌다.

렉서스 전기차 UX300e [사진=렉서스]

◆ 렉서스 전기차 내년 출시..."인프라 구축 총력"

하이브리드차의 경쟁력은 향후 전기차 라인에서도 이어질 전망이다. 토요타는 앞서 오는 2025년까지 15종의 전기차 모델을 선보이겠다고 밝혔으며, 현재 판매 중인 순수 전기차는 4종이다. 향후 전기차 모델 중 7개는 '토요타BZ'라는 새로운 브랜드로 출시될 예정이나 국내 출시 일정은 미정이다.

이에 따라 국내에 먼저 선보이는 전기차는 렉서스의 UX300e 모델이 될 것으로 보인다. 내년 상반기 출격을 앞둔 가운데, 환경부에 배출 가스 및 소음 인증을 완료한 상태다. 1회 주행거리는 WLTP 기준 367Km이며, 54.4kWh급 리튬이온배터리가 탑재돼 있다.

토요타 관계자는 "렉서스 UX300e 모델이 내년 상반기 출시를 앞두고 있다. 토요타는 지난 4월 상하이 모터쇼에서 EV 시리즈 '토요타 bz'의 첫 번째 차량인 'bZ4X' 컨셉카를 공개했으며, 양산형 차종 출시는 각 나라별로 순차적으로 진행될 것"이라며 "전기차 출시를 앞두고 전국 렉서스 전시장과 서비스 센터를 위주로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전기차 전용 플랫폼은 본사에서 개발하고 있다"면서 "향후 다양한 전기차 모델을 국내 소비자들에게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giveit90@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사진
이완규 법제처장, 내란방조 피의자 신분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해 12월 이 처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한 차례 불러 조사했다. 이 처장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대통령 안가(안전가옥)에서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과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과 회동을 가졌다. 이후 휴대전화까지 교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단체는 이 처장을 내란방조 등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완규 법제처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소요사태 관련 긴급현안질의에서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2025.01.20 pangbin@newspim.com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도 이 처장에 대한 내란방조·증거인멸 혐의 고발장을 접수하고 피의자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1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이 처장은 당시 안가 회동에 대해 "저녁을 먹는 자리였다"며 "어쨌든 그 자리에 간 게 잘못이다. 죄송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날 이 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헌법재판관 지명을 통한 헌법기관 구성권은 대통령 고유권한으로 대통령 궐위 상태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권한대행이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통령에게 부여된 고유 권한을 행사하려고 드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20:2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