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월 달 궤도 관측 위성 발사 수준
2030년 달 탐사 역시 구체적 방안 없어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화성 탐사 시대에 중국이 가세하면서 미·중간 우주 산업 경쟁이 본격화되는 모습이다. 우리나라 역시 우주개발 사업에 뛰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오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발사체로 오는 10월에 로켓을 쏘아올릴 예정이다. 다만, 여전히 우주 산업에서는 한참 뒤처진다. 2030년 달 탐사 계획은 있으나 구체적인 실행계획은 없기 때문이다.
지난 15일(현지시간) 중국 탐사선 톈원(天問) 1호가 화성 최대 평원지대인 유토피아 평원에 무사히 착륙했다. 이번 화성 착륙 성공으로 중국은 미국의 독무대였던 화성을 통해 새로운 우주 산업 경쟁에 나서게 됐다.
앞서 미국은 1965년 마리너 탐사선을 화성에 보낸 이후 20여 차례에 걸쳐 탐사 임무를 마쳤다. 9번이나 화성 착륙을 성공한 바 있다. 지난해 7월 30일에도 탐사선을 발사, 지난 2월 화성에 도달해 곧장 5번째 화성 탐사로봇인 퍼서비어런스를 착륙시키기도 했다.
미국과 중국의 우주개발 사업이 급속도로 확장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역시 지구 밖 탐사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2030년 달 착륙을 통한 탐사를 목표로 1단계 달 탐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향후 달 착륙 성공을 전제로 한 예상도. [자료=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1.05.18 biggerthanseoul@newspim.com |
정부는 오는 2030년에 달 착륙을 목표로 달 탐사 프로젝트를 전개하고 있다.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진행중인 달 탐사 1단계 사업은 내년 8월 위성을 발사해 3개월 뒤인 12월에 달 지상에서 100km 상공 궤도에 도착, 1년동안 관측한 뒤 귀환하는 프로젝트다. 당초 총 1978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었으나 288억원을 추가해 모두 2266억원의 재원이 마련됐다.
이후 2단계 달 사업이 2030년께 달에 착륙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2단계 달 사업에 대한 청사진이 그려지지 않았다는 데 있다. 2단계 사업에는 기술력을 높인 누리호 발사체를 이용해야 하나, 현재로서는 누리호 발사체 역시 오는 10월 발사 결과를 봐야 한다.
현재 정부가 마련해놓은 심우주 탐사 정책이 공허하다는 비난을 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가장 높은 인공위성 정지궤도인 고도 3만6000km 밖의 우주를 일반적으로 심우주로 일컫지만, 당장의 기술력으로는 탐사까지는 불가능하기만 하다.
여기에 지난해 12월 한국과학기술원, 항우연, 한국천문연구원이 '심우주탐사 분야의 연구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으나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찾지 못한 상태다.
그나마 중국의 화성 착륙 성공 등 이슈로 18일 3개 기관은 부랴부랴 심우주 탐사 간담회를 열고 '심우주탐사 연구연합회' 발족을 논의하는 정도다.
이날 항우연은 우주탐사와 관련된 기술현황을 공유했으며, 천문연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 등과의 국제협력을 통한 대형 우주탐사 임무 참여 계획을 소개하기도 했다. 한국과기원도 우리별 1호 위성을 독자 기술로 귀환시키는 계획과 지구 주변 방사선대(반앨런대) 탐사 계획을 공유했다.
그렇더라도 또다른 문제는 우리나라 우주개발 정책과 실행 과정에서의 사실상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구심점이 약하다는 데 있다.
우주산업계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우주 정책은 나사처럼 구심점이 확고하지 않다보니 실행력이 떨어지는 면이 있다"며 "현재에도 항우연은 우주 발사체, 천문연은 소행성 탐사 및 관측장비, 다른 출연연 등은 관련 기술에 따라 개별적으로 추진되는 데 이를 제대로 총괄하는 컨트롤타워가 제대로 발동하지 않은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우주개발 정책에 대한 전폭적인 예산 지원 역시 턱없이 부족하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해당 업계에서는 국내 우주산업 예산은 미국이 투입하는 예산의 100분의 1 수준이라고 지적하기도 한다.
용홍택 과기부 1차관은 "올해 10월 누리호 발사 이후 우리나라 우주개발 역량을 더욱 높이기 위해 우주탐사 계획을 포함한 우주개발 고도화의 준비와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며 "올해 하반기에 수립하는 '국가 우주탐사 로드맵'과 연계해 정부정책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