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현대HCN에 딜라이브까지...점유율 41.4% 압도적 1위 노린다
LGU+·SKB는 딜라이브 부채규모에 부담느껴 입찰 포기한 듯
[서울=뉴스핌] 나은경 기자 = KT가 딜라이브 매각 예비입찰에 단독입찰하면서 유료방송 1위 '굳히기'에 나섰다.
KT가 인수합병(M&A)을 위한 정부 심사 단계에 있는 현대HCN에 이어 딜라이브 M&A까지 성공하게 될 경우 유료방송 시장 점유율은 40%를 넘어 2위와의 격차를 공고히 할 수 있게 된다.
9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KT는 최근 딜라이브 채권단이 진행한 예비입찰에 인수의향서를 제출했다. 인수가격으로 제시한 금액은 7500억원대로 알려졌다.
![]() |
공개입찰 형식으로 진행했던 현대HCN과 달리 애초 수의계약 형태로 딜을 진행하던 딜라이브는 원매자 이탈을 막기 위해 협상 과정을 입찰형식으로 바꾼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작 입찰 진행 후 LG유플러스와 SK브로드밴드는 입찰 과정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KT 단독입찰 형태가 됐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딜라이브의 경우 부채규모만 1조원에 달하기 때문에 만약 알려진대로 7500억원에 매각이 된다면 인수자가 떠 안아야 하는 금액은 2조원 규모가 된다"며 "LG유플러스와 SK브로드밴드 쪽에서는 딜라이브의 매력도가 낮다고 보고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6일에는 KT의 자회사 KT스카이라이프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공정거래위원회에 현대HCN M&A 관련 인가·변경승인을 신청하기도 했다. 만약 KT가 딜라이브를 인수하게 되면 KT스카이라이프와 현대HCN을 포함해 가입자 수 기준 유료방송시장 점유율은 41.45%로 압도적인 1위가 된다. 이는 2위인 LG유플러스+LG헬로비전(24.91%)과 16.54%포인트 차이로, 만약 LG유플러스가 현재 매물로 나온 CMB(4.58%)를 인수한다고 해도 따라잡기 어려운 수치다.
유료방송업계 관계자는 "최근 유료방송 M&A에 대한 정부의 지원사격도 이뤄지고 있고, 현대HCN와 계약도 진행하면서 지금이 시장점유율 1위를 굳힐 좋은 시점이라고 본 것 같다"고 설명했다.
nanan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