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중국 기업, 미국 압박에도 자금조달 위해 '미국 IPO' 추진

기사입력 : 2020년08월13일 13:39

최종수정 : 2020년08월13일 13:39

미국 증시, 상장 조건 및 자금 조달에 유리
과학기술·바이오테크 관련 기업 대다수
자금난 겪는 부실기업, 미국 증시 매력 강해
홍콩·커촹반으로 재상장 중국 기업 증가 전망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미국 증권 당국이 자국의 회계 기준을 따르지 않는 중국 기업의 미국 증시 퇴출 방침을 밝히며 중국 기업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나섰지만, 중국 기업의 미국 상장은 지속되는 분위기다.

최근 미국 증시에 상장한 중국 기업의 대다수는 바이오테크 관련 기업으로 촨치바이오(傳奇生物∙Legend Biotech), 란스의학(燃石醫學∙Burning Rock), 판성쯔(泛生子∙GENETRON HEALTH) 등이 지난 6월 나스닥에 상장했다. 하지만 최근 미국 증권 당국이 중국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나서면서, 두 달 새 대외적 투자 환경은 급변한 상태다.

중국 유력 경제매체인 디이차이징(第一財經)은 전문가들을 의견을 통해 미국의 압박 속에서도 중국 기업들의 미국 증시 상장이 부단히 이어지고 있는 네 가지 배경을 분석∙소개했다.

그 첫 번째 배경은 미국 증시는 실적이 좋은 기업 또는 규모가 비교적 큰 인터넷 기업을 선호하는 홍콩 시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장 문턱이 낮고 △자금조달이 용이하며 △거래량도 많다는 점에서 일부 중국 기업에게는 접근이 상대적으로 쉬운 시장이라는 점이다.

특히, 자금 사정이 좋지 않은 부실 기업의 경우에는 '자금조달' 통로인 미국 시장의 이 같은 강점이 더욱 매력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최근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기업공개(IPO) 신청서를 제출한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 샤오펑모터스(小鵬汽車)와 중국 온라인 부동산 중개 서비스업체 베이커자오팡(貝殼找房)이 대표적이다.

샤오펑모터스는 이달 8일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 신청을 한 상태로 1억 달러 정도의 자금조달을 목표로 하고 있고, 8월 13일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을 앞둔 베이커자오팡은 최대 23억1500만 달러의 자금 조달에 나설 예정이다.

[뉴욕 신화사 = 뉴스핌 특약]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전경.

두 기업 모두 중국을 대표하는 유니콘(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의 비상장 스타트업)으로 평가를 받고 있지만, 경영 실적 측면에서는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샤오펑 모터스가 제출한 IPO 투자설명서에 다르면 올해 6월 30일 상반기까지 영업수익은 10억 위안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2억3000만 위안을 밑돌았다. 다만 적자 규모는 지난해의 19억2000만 위안에서 8억 위안으로 축소됐다. 2018년~2020년 상반기 샤오펑모터스의 자금 지출 규모는 각각 10억 위안, 21억 위안, 5억 위안이었다. 

샤오펑모터스는 "현재 미국 시장으로 전기차 판매를 하고 있지 않지만, 미중 관세 협상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상태여서 향후 자동차 원자재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리스크도 여전하다"고 우려한 바 있다.

베이커자오팡이 제출한 IPO 투자설명서에 따르면 부동산 거래 규모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반면, 실적 측면에서는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2017부터 2019년까지 각각 5억3800만 위안, 4억2800만 위안, 21억8000만 위안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올해 1분기 순손실액은 12억3000만 위안으로, 이미 지난해 전체 손실액의 절반을 넘어섰다. 다시 말해 현재 자금줄이 막혀 있는 만큼, 상장을 통한 자금조달에 기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펑허우캐피털(豐厚資本)의 창업파트너인 탄췬자오(譚群釗)는 "이들 두 기업은 커촹반 상장 조건에 부합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고, 이에 미국 상장을 결정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평했다.

다음으로, 일부 중국 기업의 경우 투자자들의 압박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됐다. 특히, 달러자금 투자자들이라면 해외시장 상장을 요구할 가능성이 크고, 이에 기업들은 미국 또는 홍콩 시장의 두 선택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다른 각도에서 투자자 구성의 강점을 앞세워 미국 상장을 선택한 기업들도 있다. 앞서 언급한 샤오펑모터스와 베이커자오팡의 경우 배후에는 알리바바와 텐센트라는 거물 인터넷 기업들이 투자자로 자리잡고 있다. 이는 이들 두 기업의 미국 증시 상장에 있어 큰 이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치밍벤처파트너스(啟明創投∙Qiming Venture Partners)의 한 관계자는 "거물 인터넷 기업을 등에 업은 두 기업은 미국 상장에 있어 큰 이점을 갖고 있고, 특히 베이커자오팡의 경우 미국의 유명 유명 벤처캐피탈(VC)인 세쿼이어캐피탈과 중국 힐하우스 캐피탈 그룹의 투자도 받고 있는 만큼 큰 강점을 보유한 셈"이라고 평했다.

아울러, 미국 시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점유율이 거의 없고 미국 기업들의 시장 파이를 잠식할 가능성이 없는 기업의 경우 미국의 관리감독 압력이 비교적 제한적일 수 있는 만큼, 이 또한 일부 기업이 미국 상장을 결정하는 이유 중 하나가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마지막으로, 장기적으로 홍콩이나 커촹반(科創板·스타마켓, 중국 상하이증권거래소에 운영 중인 과학기술주 중심의 시장)으로의 재상장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점도 미국 상장의 배경 중 하나로 제시됐다. 일부 홍콩 또는 커촹반 증시로의 상장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기업들은 우선 문턱이 비교적 낮은 미국 증시에 상장한 이후, 다시 홍콩과 A주(중국 본토 증시에 상장된 주식) 시장으로 재진입 하는 방법을 선택한다는 설명이다.

미국 알스톤앤버드(Alston & Bird LLP) 법무법인의 한 관계자는 "향후 중국 기업은 미국 시장에서 주로 회계심사 기준에 따른 압력을 크게 받게 될 것이며, 이에 미국 상장의 열기가 더욱 시들해지고 홍콩과 커촹반으로 발길을 돌리는 중국 기업들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론카인베스트먼트의 브래드 론카(Brad Loncar) 대표는 "현재 상업 환경과 시장 정서가 미국 시장 상장을 앞둔 중국 기업에게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다"면서 "많은 기업들이 미국을 우회해 홍콩 또는 커촹반 상장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커촹반 출범은 적절한 시기에 이뤄졌으며, 그렇지 않았다면 상장을 계획하는 중국 기업들이 큰 어려움에 직면하게 됐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론카 대표는 "과학기술과 바이오테크는 중국 시장에서 강력한 수요를 나타낼 것이고, 중국 증시의 밸류에이션이 미국에 비해 더 높은 만큼, 비용에 상관 없이 미국 상장을 포기하고 중국 시장으로 회귀하는 해당 업종의 기업들이 속속 생겨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최근 미국 당국은 뉴욕증시와 나스닥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로 하여금 미국 상장기업회계감독위원회(PCAOB)에 회계 감사 자료를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2022년 1월 1일까지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상장을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그 동안 미국은 2013년 중국과 체결한 양해각서를 근거로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이 회계 감사를 더욱 유연하게 받을 여지를 제공해 왔다. PCAOB가 필요로 하는 중국 기업의 회계감사 자료를 중국의 규제기관인 증권감독관리위원회(CSRC)로부터 건네 받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중국 기업들은 그간 미국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면서도 관행적으로 미국의 회계 기준을 따르지 않아도 됐고, 비교적 쉽게 미국 자본시장에 접근할 수 있었다. 

이에 미국 시장에서는 중국 기업의 불투명한 회계 처리 방식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끊임없이 제기됐고, 그러한 상황에서 중국판 스타벅스로 불리던 루이싱(瑞幸·Luckin) 커피의 회계 부정 사건이 터지며 더욱 의혹이 불거졌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이정후, MLB 첫 2경기 연속 대포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이정후가 미국 진출 후 처음으로 2경기 연속 홈런포를 쏘아 올렸다. 샌프란시스코는 그동안 이정후가 홈런을 친 6경기(지난해 2경기)에서 100% 승률을 거뒀지만 처음으로 승리 공식이 깨졌다. 이정후는 15일(한국시간) 샌프란시스코 오라클파크에서 열린 애리조나와 홈경기에서 4-8로 추격한 7회 투런 홈런을 날렸다. [샌프란시스코 로이터=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샌프란시스코 이정후가 15일 애리조나와 홈경기에서 7회 2점 홈런을 날린 뒤 맷 윌리엄스 코치의 환영을 받으며 3루 베이스를 돌고 있다. 2025.05.15 zangpabo@newspim.com 전날 애리조나전 8회 3점 홈런에 이어 이틀 연속 아치를 그린 이정후는 시즌 6호 홈런을 기록했다. 그러나 샌프란시스코는 7-8로 아쉽게 졌다. 지난해 데뷔한 이정후가 2경기 연속 홈런을 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달 14일 뉴욕 양키스전에서 연타석 홈런을 쳐 한 경기 홈런 2개를 발사한 적은 있었다. 3번 7회 무사 1루에서 네 번째 타석에 선 이정후는 애리조나 세 번째 투수인 우완 라인 넬슨을 맞아 원볼 투스트라이크에서 4구째 시속 138㎞ 체인지업을 받아쳐 우중간 펜스를 넘겼다. 타구 속도는 시속 164㎞가 나왔고 비거리는 120m였다. 넬슨은 지난해 애리조나에서 선발로 뛰며 10승(6패 평균자책점 4.24)을 기록한 빅리그 4년차 유망주다. 3번 중견수로 출전한 이정후는 1회 3루수 파울 플라이, 3회 3루수 땅볼, 5회 좌익수 뜬공으로 물러났다. 5회 타구는 애리조나 좌익수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가 펜스 앞까지 달려가 잡아내는 호수비가 아니었으면 장타가 됐을 타구였다. 2점 차로 뒤진 9회에는 선두 타자로 나가 좌익수 뜬공으로 아웃됐다. 이날 범타로 물러난 네 타석에선 공이 모두 왼쪽으로 밀렸다. [샌프란시스코 로이터=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애리조나 좌익수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가 15일 샌프란시스코와 원정경기에서 5회 이정후의 깊숙한 타구를 러닝 캐치로 잡아내고 있다. 2025.05.15 zangpabo@newspim.com 5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을 기록한 이정후는 4경기 연속 안타 행진을 벌였지만 시즌 타율은 0.286로 약간 내려갔다. 2경기에서 5타점을 쓸어 담은 이정후의 타점은 29개로 늘어나 윌머 플로레스(33개)에 이어 팀 내 2위를 기록했다. 전날 애리조나를 10-6으로 꺾고 4연패에서 탈출했던 내셔널리그 서부지구 3위 샌프란시스코는 이날 패배로 4위 애리조나에 2경기 차로 쫓기게 됐다. 샌프란시스코는 9회 이정후가 아웃된 뒤 1사 만루 기회를 만들었다. 마이크 여스트렘스키의 삼진 후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의 밀어내기 볼넷으로 1점 차까지 추격했으나 크리스천 코스가 중견수 뜬공으로 잡혀 역전에 실패했다. 샌프란시스코는 하루 휴식 후 17일 애슬레틱스와 홈 3연전을 시작한다. zangpabo@newspim.com 2025-05-15 08:58
사진
'서부지법 난동' 첫 선고 2명 모두 실형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의 구속영장 발부 전후인 지난 1월 18∼19일, 서부지법에서 발생한 난동 사건으로 구속기소된 95명 중 2명이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았다. 서울서부지법 형사6단독(재판장 김진성)은 14일 오전 특수건조물침입 등의 혐의로 기소된 김 모 씨와 소모 씨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김 모 씨에게 징역 1년 6개월, 소모 씨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 이날 선고는 서부지법 난동 사태 발생 4개월여 만에 나온 첫 선고다.  앞서 검찰은 김씨에게 징역 3년, 소씨에게 징역 2년을 구형했다. 지난 1월19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 청사 유리창과 벽면이 파손되어 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 구속영장이 발부되자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서울서부지법에 난입해 유리창을 깨고 집기를 훼손하는 등 난동을 부려 경찰이 강제진압에 나섰다. [사진=뉴스핌 DB] 선고는 김 씨부터 진행됐다. 재판부는 "이 사건은 특수건조물 침입, 공용 물건 손상, 특수 공무집행 방해"라며 "피고인이 증거에 관해서 자백하고 있고 보관 증거가 있어서 유죄로 인정된다"고 했다. 이어 "이 사건은 다중위력을 보인 범행이고, 범행 대상은 법원"이라며 "피고인을 포함해서 많은 사람들이 하나의 사건에 연관되었고, 당시 발생한 전체 범행의 결과는 참혹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사법부의 영장 발부 여부를 정치적 음모로 해석 규정하고, 그에 대한 즉각적인 응징, 보복을 이뤄야 한다는 집념과 집착이 이뤄낸 범행"이라고 했다. 재판부는 "다만 이 사건은 공동 범행이 아니라 단독 범행이기 때문에 피고인의 행위에 대해서만 평가한다"면서도 "다중의 위력을 보였다는 부분은 범죄사실에 포함되므로 고려한다"고 말했다. 이어 "피고인은 벽돌 등을 던져, 법원 건물 외벽 타일을 깨뜨렸고, 법원 경내로 들어가 침입했다"며 "법원 내부 진입을 막고 있던 경찰관들을 몸으로 밀어 폭행했다"고 했다. 다만 "피고인이 진지한 반성 태도를 보이고, 우발적으로 범행에 이르게 된 점, 초범인 점, 그밖에 양형 제반 사항을 고려해 징역 1년 6개월에 처한다"고 밝혔다. 이어진 소 씨의 선고에서 재판부는 "피고인이 자백하고 있고 보관 증거 있어 유죄"라고 했다. 그러면서 "피고인은 법원 경내로 들어간 다음 당직실 유리창을 통해 건물 1층 로비까지 들어가 침입했다"며 "화분 물받이로 창고 플라스틱 문을 긁히게 하고, 부서진 타일 조각을 던져 법원 건물 외벽 타일을 손괴했다"고 말했다. 다만 "피고인이 진지한 반성으로 보이고, 우발적 범행에 이르게 된 점, 초범인 점, 그밖에 양형 제반 사항을 고려해 징역 1년에 처한다"고 밝혔다. 이번 선고에 앞서 재판부는 "어제 딸에게 산책하며 '아빠가 어려운 사건을 선고한다'고 했더니 '이재명 사건이냐, 윤석열 사건이냐?'고 묻더라"며 "더 어려운 사건이 있겠구나 싶었지만, 결단과 선고 순간에는 어렵고 쉬운 사건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판결문을 머릿속으로 썼다가 지웠다 수없이 반복했다. 오늘 선고를 할지 말지도 많이 고민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오늘 선고가 정답이라고 생각지 않는다. 다만 결정과 결단의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이 선고가 피고인의 남은 인생을 좌우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남은 생은 피고인 본인답게 살아달라"고 당부했다. 또 "이 사건과 같은 날 있던 전체 사건을 포함해 법원, 경찰 모두 피해자라고 생각한다"며 "그날 직접 피해를 본 법원, 경찰 구성원분들과 지금도 피해를 수습할 관계자분들 노고에 감사하다. 기자들을 포함해 지금도 피해를 수습하는 과정인 거 같다"고 덧붙였다. 이어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어려운 시기에 시민들께서 사법부뿐 아니라 경찰, 검찰, 법원 전체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chogiza@newspim.com 2025-05-14 11: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