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숙혜의 월가 이야기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연초 전세계 인류를 공포에 몰아넣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가 지구촌 경제를 대공황에 빠뜨릴 것이라는 경고가 고개를 들었다.
미국을 필두로 지구촌 경제가 침체에 빠져들고 있다는 데 시장 전문가들은 이견을 보이지 않는 상황. 더 나아가 이번 사태가 단기적인 경기 하강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인 불황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문제는 바이러스가 진화된 이후에도 경제적인 충격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경제 석학들은 실물경기와 금융시장의 V자 반등을 기대하기 어렵고, 이른바 '셧다운'된 경제가 위기 이전으로 복귀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고객 한 명 없는 미국 뉴욕주 뉴욕 맨해튼의 애플 매장. [사진=로이터 뉴스핌 |
23일(현지시각) 주요 외신에 따르면 정책자들과 시장 전문가들의 비관론이 날로 수위를 더하고 있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 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2분기 미국 실업률이 30%까지 치솟는 한편 셧다운 충격에 GDP가 50% 급감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과거 대공황 당시 실업률은 25%까지 뛰었다. 이를 감안할 때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충격의 규모가 과거 최악의 위기보다 클 것이라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이코노미스트를 지낸 캘리포니아 대학의 머리 옵스펠드 교수와 케빈 하셋 전 백악관 경제 자문관, 앨런 블라인더 전 연방준비제도(Fed) 부의장 등 석학들은 연이어 지구촌 경제의 대공황을 경고하고 있다.
이보다 투자자들은 더욱 두렵게 하는 것은 불황의 장기화 가능성이다. 바이러스 소멸 시점을 누구도 예측하기 힘든 가운데 이를 극복한 이후에도 경제적 충격이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골드만 삭스는 1800년 이후 27건의 베어마켓을 연구한 결과 뉴욕증시가 평균 30% 폭락한 한편 이전 고점을 회복하기까지 60개월이 걸린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극심한 경제 불균형과 금융시장 버블이 동반된 이른바 구조적 베어마켓의 경우 주가가 평균 57% 내리 꽂혔고, 회복 기간은 111개월에 달했다.
단순히 금리인상에 따른 충격이나 기업 이익 둔화에서 비롯된 순환적 베어마켓의 경우 주가가 31% 밀렸고, 회복 기간이 50개월로 비교적 짧았다.
이 밖에 국제 유가의 일시적인 급등과 같은 이벤트성 베어마켓에서는 주가가 29% 하락했고, 15개월 이내에 이전 고점을 회복했다.
하지만 이번 사태는 이벤트성이나 순환적 베어마켓이 아니라 구조적인 위기에 해당한다는 것이 골드만 삭스의 진단이다.
골드만은 보고서에서 "이번 위기는 과거 흡사한 전례를 찾기 어려운 새로운 국면"이라며 "경제 펀더멘털과 금융시장에 영속적인 충격을 일으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도이체방크의 앨런 러스킨 전략가는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터뷰에서 "실물경기와 금융시장의 소위 V자 반등은 불가능하다"며 "바닥을 예측하기 힘든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기업 이익 침체와 대규모 실직 사태에 따른 실물경기 한파는 물론이고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의 직간접적인 유동성 공급이 궁극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부추겨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블룸버그의 톰 올리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지구촌 경제의 마이너스 0.2% 성장을 예상한 한편 주요국의 대응이 경기 하강 속도에 비해 불충분하고, 시기적으로도 지나치게 늦다고 지적했다.
하버드 대학의 세프리 프란켈 교수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전세계 경제가 바이러스 확산으로인해 치명타를 맞았다"며 "실물경기가 장기간 불황의 늪을 빠져나오지 못하는 시나리오가 확실시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연준은 무제한 자산 매입과 기업 및 가계에 신용을 공급하기로 결정, 금융시장 패닉에 공격적인 행보를 취했다.
higrace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