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2018 중국 결산] 10대 키워드로 되짚어보는 2018년 중국 <上>

기사입력 : 2018년12월21일 17:40

최종수정 : 2018년12월21일 17:45

[서울=뉴스핌] 이미래 기자 = 2018년 중국은 말그대로 다사다난(多事多難)한 한 해였다. 중국 사회는 개혁개방 40주년과 미중 무역전쟁, 급격한 경기둔화, 백신 스캔들 등 다양한 사건과 사고가 겹치면서 바쁜 한해를 보냈다. 유력 인터넷 매체인 허쉰왕(和訊網)이 선정한 10대 핵심 키워드를 통해 2018년 한해 중국 사회의 이모저모를 살펴본다.  

개혁개방 40주년

개혁개방 40주년 [사진=허쉰왕]

1978년 12월 18일 당시 부총리였던 덩샤오핑(鄧小平)이 공산당 11기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11기 3중전회)에서 개혁개방 노선을 천명했다. 그로부터 딱 40년이 지난 2018년, 개혁개방의 성과는 중국의 경제 문화 산업은 물론 국민의 삶까지 바꿔놓았다.

1978년 3679억 위안에 불과했던 중국의 국내총생산(GDP)가 지난해 82조7000억 위안으로 증가했다. 1인당GDP 역시 385위안에서 5만9660위안(2017년)으로 증가해, 연평균 약 9.5% 성장했다. 외환보유액은 1978년 162억 달러에서 2017년 3조1399억 달러로, 193배 급증했다.

지난 40년간 중국의 사회소비재 매출규모는 229배, 요식업 매출은 792배 늘어났다. 1978년에서 2017년까지 중국의 국내 여행 소비규모는 45배, 여행 횟수는 10배 확대됐다.

1978년 개혁개방 당시 인구 100명당 0.38대에 그쳤던 전화기 보급률은 2017년 102.5대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1분당 전기 사용량은 48만 도(度, Kw/h)에서 1200만 도로, 약 25배 늘어났다.

뿐만 아니라 빈곤 인구수는 1978년 7억7039만 명에서 2017년 3046만 명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7억 명이 넘는 인구가 탈(脫)빈곤에 성공한 것이다.

허쉰왕은 “가난한 농업국가였던 중국이 40년 만에 세계를 주도하는 주요 2개국(G2)으로 성장했다”며 “중국이 이룬 기적이다”고 평가했다. 베이징(北京) 국가박물관(國家博物館)에 마련된 ‘개혁개방 40주년 전시회’를 방문한 관람객은 “조국이 이룬 성과가 자랑스럽다”며 엄지손가락을 치켜들었다.

미중 무역갈등

미중 무역갈등 [사진=허쉰왕]

올해 중국 경제 성장 둔화의 가장 큰 요인은 3월 발발한 미중 무역전쟁이었다. 무역에서 시작된 양국의 마찰은 금융 군사 경제 등 분야로 확전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초반에만 해도 G2인 양국이 조기에 타협점을 찾을 것이란 긍정론이 우세했다. 그러나 맞불 관세가 잇따르면서 양국의 마찰은 심화됐다. 지금까지 미국이 2500억달러, 중국이 1100억 달러 규모의 수입품에 각각 관세를 부과했다.

2018년 12월 1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아르헨티나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무역협상을 재개하기로 했다. 우선 양국은 내년 1월 1일부터 3개월간 추가 보복관세 부과 없이 협상을 지속한다는데 합의해 시간을 벌었다.

하지만 같은 날 화대(對) 이란 제재를 위반했다는 혐의로 멍완저우(孟晩舟) 화웨이 CFO가 캐나다에서 체포되면서 미중간의 자존심 싸움이 지속될 것이란 의견이 더욱 우세하다. 비록 멍 CFO는 보석으로 풀려났으나, 영국 호주 등 미국 동맹국들은 화웨이 중싱(ZTE) 등에 대한 견제를 지속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협상이 어떻게 끝나던 간에 미중 무역갈등은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2019년 중국 GDP성장률 역시 6% 초반대가 될 것이란 의견이 우세하다. 2017년 성장률 6.9%보다 크게 둔화될 것이란 분석이다. 또한 미중 갈등 심화로 위안화 값이 하락하면서 외자유출이 확대되고 증시도 하락하면서 투자자들도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올해 위안화 가치는 연초 대비 8% 가량 절하했고, 상하이지수는 23% 넘게 빠졌다.

◆ 불황형 상품호황, 소비 다운그레이드 논란

소비 하락 or 상승 [사진=허쉰왕]

소비 수준 업(Up)그레이드냐 다운(Down)그레이드냐, 소비 수준에 대한 논쟁이 1년 내내 계속됐다.

올해 여름 대표 ‘서민 음식’ 컵라면 자차이(榨菜 중국 전통 장아찌) 맥주의 소비량이 급증한 반면, 대표 ‘고급 음료’ 스타벅스는 하락세를 보였다.

기업별 실적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 대표 라면 브랜드 캉스푸(康師傅)와 퉁이(統壹)의 컵라면 판매량은 동기 대비 각각 8.4% 8.0% 증가했다. 자차이 대표기업 푸링자차이(涪陵榨菜)의 판매량은 34.11% 증가했다.

3 4선 도시 소비자를 겨냥한 공동구매 플랫폼 핀둬둬(拼多多)가 높은 인기를 끌며, 창업 3년 만에 미국 나스닥에 상장하기도 했다.

반면 고가의 대명사 스타벅스의 영업실적은 크게 후퇴했다. 올해 3분기 스타벅스의 중국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 줄어 9년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냈다.

가성비 선호 현상이 뚜렷해지자 다수의 전문가는 “경기 둔화가 가시화 되면서, 불황형 상품 소비가 늘어난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와 함께 소비절벽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이에 가오펑(高峰) 상무부(商務部) 대변인은 “서민음식 매출상승을 소비 수준 하락과 연결 짓는 건 굉장히 편파적인 논조”라고 9월 6일 정례브리핑에서 밝혔다.

사회과학원(社會科學院) 소속 장하오(張昊) 재정경제전략연구원 원장 역시 “올해 상반기 1인당 평균 건강트레이닝 및 여행숙박 지출이 각각 39.3% 37.8% 증가했다”며 “소비구조의 변화일 뿐 경기 둔화로 인한 현상은 아니다”고 주장했다.

웨강아오베이

웨강아오베이 [사진=허쉰왕]

광둥(廣東)성-홍콩-마카오를 아우르는 거대 단일 경제권 ‘웨강아오베이(粵港澳大灣區)’ 프로젝트가 주요 성과를 냈다. 교통 인프라인 광선강(廣深港)고속철과 강주아오대교(港珠澳大橋)가 개통한 것.

지난 9월 23일 광선강고속철이 8년의 공사를 끝내고 정식 개통됐다. 4월 1일 홍콩 지역에서 시범 운행을 시작한지 6개월 만이다. 고속철은 광둥성 광저우(廣州)남(南)역에서 홍콩 웨스트카우룬(西九龍)역까지 약 142km를 잇는다.  2시간 넘게 걸리던 홍콩-광저우 교통 시간은 이 철도 건설로 48분까지 단축됐다.

고속철 개통을 바라보는 부정적 시각도 있다. 홍콩 고속철 역사 내에 홍콩과 중국 본토 출입국 심사대를 함께 설치하는 일지양검(一地兩檢) 협약 때문.

시민들은 “홍콩에 중국 본토법을 적용한 것”이라며 “1997년 중국 반환 이후 50년 간 홍콩에게 고도의 자치권을 부여한 일국양제(一國兩制)를 위배하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강주아오대교는 10월 23일 정식 개통됐다. 준비부터 공사까지 총 15년 걸렸다. 대교는 홍콩-마카오-주하이(珠海) 지역을 이으며 총 길이 55km에 달한다. 차를 타고 이동하면 홍콩에서 주하이까지 45분이면 주파한다. 기존 육로로는 4시간이 소요됐다.

한편 중국 당국은 광둥성 9개 도시와 홍콩 마카오 경제를 하나로 묶어 2030년까지 세계 최대 경제허브로 키우겠다는 장기 전략을 제시, 이를 적극 추진해왔다.

불량 백신 스캔들

불량 백신 스캔들 [사진=허쉰왕]

7월 15일 중국 식약품감독관리국(SFDA)이 제약회사 '창춘창성(長生) 바이오테크놀로지'(이하 창성)가 광견병 백신인 '베로-셀(Vero-cell)'의 생산기록을 조작하는 등 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을 위반했다고 발표했다.

창성은 중국 2대 인체용 광견병 백신 제약사 중 하나로 지난해에도 품질에 이상이 있는 DPT(디프테리아·백일해·파상풍) 백신 25만여개를 판매해 시민들의 공분을 산 바 있다.

이미 48만 명이 넘는 어린이가 창성의 가짜 백신을 접종한 것으로 나타나 충격은 더욱 확산됐다.

발표 직후 창성의 주가는 5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100억위안(약 1조 원)에 가까운 시가총액이 증발했다. 7월 23일에는 주식거래가 중단됐다.

중국 당국은 사건 이후 해당 백신의 판매중지 및 제품 회수 조치를 지시했다. 리커창(李克強) 국무원 총리도 “국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불법적인 범죄 행위를 법에 따라 엄중하게 처벌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후 창성은 91억 위안(약 1조5000억 원)의 벌금을 징수 당하고, 회장을 비롯한 18명이 체포됐다. 또 감독 소홀을 이유로 SFDA 국장 등 관계자 50여 명이 해임 등 문책을 당했다.

창성의 백신 스캔들은 중국 의약품에 대한 국민의 불신과 공포를 확산 시켰다. 중국 제약업계 전반에 비상이 걸린 건 물론, 글로벌 의약 시장에서 백신 등 의약품 생산·수출을 주도하려던 중국의 야망에도 제동이 걸렸다.

 

leemr@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딥시크 부당하게 데이터 수집했을 수도"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오픈AI는 중국 딥시크(DeepSeek)가 부당하게 회사의 데이터를 수집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2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오픈AI는 딥시크가 오픈AI 기술로 생성한 데이터를 사용해 자체 시스템에 비슷한 기술을 훈련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AI 업계에서 훈련에 사용되는 디스틸레이션(distillation) 기법은 흔하지만, 오픈AI는 서비스 약관에 같은 시장에서 경쟁할 기술을 만들어내기 위해 오픈AI의 시스템이 생성해 낸 데이터를 사용하지 못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오픈AI의 리즈 부르주아 대변인은 NYT에 보내 이메일에서 "우리는 중국의 조직들이 미국 AI 모델을 복제하기 위해 디스틸레이션으로 알려진 것을 포함한 방법을 사용해 활발히 작업 중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그것을 인지하고 있으며 딥시크가 부적절하게 우리 모델을 디스틸레이션 했다는 징조를 검토하고 있고 더 많은 것을 알게 되면 공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딥시크는 지난주 R1 모델을 내놓으며 전 세계 AI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고 믿어온 실리콘밸리를 충격에 빠뜨렸다. 딥시크는 R1 모델 개발에 단 2개월의 시간과 600만 달러 미만의 자금이 소요됐다고 밝히며 그동안 실리콘밸리의 천문학적인 투자를 무색하게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딥시크의 개발이 긍정적이라면서도 미국 기업들에 경종을 울렸다고 평가했다. 이날 상원 인사청문회에 나선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지명자는 딥시크가 도난당한 미국 기술과 첨단 미국 반도체를 활용해 저렴하게 강력한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었다면서 미국이 AI 분야에서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해 사이버 보안에 대한 미국 표준과 유사하게 글로벌 표준을 창출하기 위한 모델을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픈AI 챗GPT와 딥시크.[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01.28 mj72284@newspim.com mj72284@newspim.com 2025-01-30 03:07
사진
여야, 설 이후 전력망법 등 입법 본격화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설 연휴 이후 국회의 민생 행보에 관심이 집중된다. 우선 여야는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을 포함한 주요 에너지·산업 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위해 협상에 들어갈 예정이다. '12·29 여객기 참사 진상규명과 피해자 및 유가족 피해 구제를 위한 특별위원회(여객기 참사 특위)'와 국정협의회 등도 본격 가동될 전망이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다사다난했던 2024년 갑진년(甲辰年)이 저물고 있다. '푸른 용의 해' 우리는 더 높게 비상하는 한 해가 되길 바랐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4·10 총선 결과로 22대 국회의 '여소야대' 국면부터 이상기후로 인한 농산물 등 물가 상승까지 서민들의 부담은 가중됐다. 초유의 12·3 비상계엄 사태와 이어진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까지 쉴 틈 없는 아픔의 연속이었다. 다가오는 2025년 을사년(乙巳年)은 푸른 뱀의 기운으로 우리 모두가 꺾이지 않고 희망의 한 해가 되길 기대해 본다. 사진은 서울 여의도 서울달에서 바라본 국회 모습. 2024.12.31 mironj19@newspim.com 29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 정책위의장은 지난 22일 국회에서 만나 '첨단산업 에너지 3법(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해상풍력발전 보급 촉진 특별법·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 처리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회동을 마친 뒤 "지난해 11월에 합의했던 법안이 있다"며 "처리하기로 합의했던 법안 63건 중 본회의에서 통과된 게 24건이고, 나머지 법안 39건은 아마 더불어민주당도 합의 처리하는 데 특별한 그것(이견)은 없는 것 같다"고 밝혔다.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은 정부 차원의 개입으로 전력망 구축 사업 인허가 절차를 대폭 개선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해상풍력 특별법은 민간사업자가 주도하던 해상풍력 사업을 정부 주도 방식으로 전환하는 내용이다. 고준위 방폐장법은 원자력 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준위 폐기물(사용후핵연료)을 영구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안을 담고 있다. 다만 에너지 3법과 함께 '미래 먹거리 4법'으로 불리는 반도체산업 특별법은 '주52시간 근무제 예외(화이트칼라 이그젬션) 조항'을 두고 추가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국민의힘은 '반도체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예외 조항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민주당은 다음 달 초 토론회를 열고 최종 입장을 결정할 예정이다. 지난해 12월 29일 무안국제공항에서 일어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관련 국회 특별위원회도 활동을 이어간다. 여객기 참사 특위는 오는 2월 6일 전체회의를 열고 국토교통부·행정안전부·보건복지부 등을 상대로 현안 질의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여야는 국정협의회 가동을 위한 논의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12·3 비상계엄 사태 후 국정 혼란 수습을 위해 마련된 국정협의회는 지난 9일 첫 실무회의를 열고 참석자 및 공식 명칭 등을 확정했다. 협의회 참석자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 민주당 대표 등 4명이다. 그러나 여야가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며 협의회는 사실상 좌초된 상태다. 양당 정책위의장은 지난 22일 국정협의회 실무 협의를 진행했으나, 성과를 얻지 못했다. 여야가 설 이후 본격적인 민생 행보에 나설 경우 협의회 가동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국회-정부-국정협의체 실무협의가 열리고 있다. 이날 실무협의에는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 등이 참석했다. 2025.01.09 pangbin@newspim.com rkgml925@newspim.com 2025-01-29 07: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