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금융

속보

더보기

수은에도 내년 인사에 女風 불었다

기사입력 : 2013년12월31일 13:52

최종수정 : 2013년12월31일 13:52

조직예산팀장에 여성 최초 이현정 씨

[뉴스핌=노희준 기자] 한국수출입은행(수은) 내년 상반기 정기인사에 여풍이 불었다. 전체 책임자급 승진 대상자 26명 중 절반이 넘는 14명(54%)을 여성직원이 차지한 것이다.

수은 31일 이같은 2014년 상반기 정기인사를 내년 1월 2일자로 단행한다고 밝혔다.

특히 기관 전체의 예산과 부서간 업무조정 등을 책임지는 수은 핵심 직책인 조직예산팀장에는 이현정(43세, 여)씨가 여성 최초로 발탁됐다.

홍콩 현지법인 1명, 국제기구(OECD․ADB) 3명 등 여직원들의 해외진출도 두드러졌다.

김용환 수은 행장은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여성 인력의 역할이 갈수록 강화될 것”이라며 “수은도 남녀가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기반 구축을 통해 여성 인력 활용과 조직 전체 발전을 지속적으로 도모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수출입은행 2014년 상반기 정기인사

 ■ 부서장급

 ○ 승진

 전대금융실장 이태형(李泰炯)

글로벌협력부장정호섭(鄭鎬燮)

정보시스템부장허태영(許泰寧)

구미출장소장조양현(曺輰鉉)

동경사무소장이진균(李辰均)

인사부소속 부장(연수)손영환(孫永煥)

인사부소속 부장(연수)손영수(孫英洙)

인사부소속 부장(연수)박경순(朴敬淳)

 ○ 전보

 총괄사업부장김성택(金成澤)

금융자문부장문준식(文俊植)

정책금융지원센터장이진권(李眞權)

미래산업금융부장김경자(金景子)

발전산업금융부장김용몽(金容蒙)

석유산업금융부장양환준(梁桓準)

중소조선금융실장조영조(趙泳照)

해외투자금융부장김성철(金聖喆)

자원금융부장권우석(權祐奭)

무역금융부장김영수(金榮秀)

아시아부장오은상(吳銀相)

남북협력사업부장오명수(吳明洙)

남북인도협력실장장한섭(張漢燮)

해외경제연구소장임병갑(林秉甲)

국별조사실장김주영(金周永)

산업투자조사실장박동완(朴東完)

비서실장강승중(姜勝中)

인사부(운영지원팀장)김판수(金板洙)

신용평가실장박명하(朴明夏)

시스템개발실장윤길수(尹吉洙)

부산지점장조위택(趙韋澤)

대구지점장이내형(李來炯)

광주지점장임영준(任榮俊)

전주지점장전장수(全漳洙)

대전지점장김희원(金熙元)

수원지점장이한구(李漢九)

원주출장소장이병창(李柄昌)

수은영국은행 사장류순식(柳順植)

성동조선해양 경영관리단장이성준(李成埈)

대선조선 경영관리단장이호영(李虎榮)

 ■ 팀장급

 ○ 승진

 기획부 조직예산팀장이현정(李炫定)

기업구조개선실 기업구조개선팀장안상선(安相善)

경협지원실 사업지원팀장서정화(徐正和)

경협지원실 경협평가팀장위찬정(魏燦正)

청주지점 선임심사역(팀장급)안병호(安炳浩)

뉴욕사무소 선임조사역(팀장급)김상훈(金相勳)

수은인니금융 선임전문역(팀장급)황정욱(黃晸郁)

 ○ 전보

 기획부 대외업무팀장이동훈(李東勳)

금융자문부 금융자문3팀장정두화(鄭斗和)

석유산업금융부 석유산업1팀장박익환(朴益煥)

조선해양금융부 조선해양2팀장이종성(李鍾聖)

조선해양금융부 해운금융팀장정경석(鄭京錫)

해외투자금융부 투자사업금융팀장이재홍(李載鴻)

자원금융부 자원금융1팀장이도형(李道珩)

기업성장지원부 성장기획팀장김상만(金相滿)

무역금융부 무역금융팀장조장래(趙章來)

무역금융부 국제무역팀장이운창(李雲暢)

자금부 조달운용팀장박상우(朴相佑)

자금부 자금결제팀장이경호(李京湖)

국제금융부 외화운용팀장김정훈(金廷勳)

경협기획실 제도기획팀장최정훈(崔正勳)

아시아부 동남아팀장홍순영(洪淳榮)

아시아부 인니·대양주팀장우정현(禹正鉉)

중남미아프리카부 서남아팀장이태용(李泰鏞)

남북협력기획실 정책조사팀장정하경(鄭河璟)

남북협력사업부 경협금융팀장이영태(李永太)

인사부 인사팀장주상진(朱相振)

인사부 급여복지팀장김호준(金浩峻)

리스크관리부 신용리스크팀장이원형(李原亨)

리스크관리부 여신감리팀장이영섭(李映涉)

신용평가실 신용평가1팀장이형주(李炯周)

시스템개발실 개발운영2팀장유기열(柳基烈)

인천지점 부지점장정현수(鄭賢洙)

자카르타사무소장 엄성용(嚴聖鎔)

다레살람사무소개설준비위원장김창석(金昌錫)

보고타사무소개설준비위원장오정교(吳正敎)

이스탄불사무소개설준비위원장정석찬(鄭錫燦)

마푸토사무소개설준비위원장문재정(文渽晶)

아크라사무소개설준비위원장유정선(兪正善)

수은베트남리스금융회사 부사장이춘재(李春宰)

 



[뉴스핌 Newspim] 노희준 기자 (gurazip@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90m '고도제한' 양천구 울다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고도제한 기준 개정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갑작스러운 고도제한으로 재건축에 큰 제약을 받게 된 서울 양천구 목동 주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반면 그동안 대부분의 면적이 제한을 받던 강서구 주민들은 이번 조치를 환영하면서 서울시와 정부 모두 곤란한 상황에 처한 모습이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공항 고도제한 국제기준 개정안 내용. [그래픽=김아랑 미술기자] ◆ "이제 재건축 막 올랐는데"… 90m 고도제한에 목동 주민들 뿔났다 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오는 4일 ICAO 국제기준 개정안이 발효되면서 이에 따른 수혜 및 피해지역 간 온도차가 극명히 엇갈리고 있다. ICAO는 국제 민간항공 항공기술·운송·시설 등을 관할하는 유엔 산하 전문기구다. 올 4월 ICAO는 2030년 11월 시행을 목표로 고도제한 국제기준 개정안을 시행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현재 일률적으로 제한하고 있는 장애물 표면을 향후에는 침투금지표면과 평가표면으로 이원화하겠다는 것이다. 그동안 공항 주변 지역은 '공항시설법'에 따른 장애물 제한 표면지역으로 설정돼 건축물을 높게 지을 수 없었다. '제한표면'(OLS) 규정에 따라 안전 운항을 위해 항공기 성능이나 비행 절차를 고려하지 않고 건축물 높이를 획일적으로 규제해서다. 활주로 반경 4㎞ 이내 건물은 45m를 초과하지 못해 13층 이상의 아파트를 짓기 어려웠다. 이 때문에 노후 주거지의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에도 걸림돌로 작용했다. 앞으로는 이를 '금지표면'(OFS)과 '평가표면'(OES)으로 이원화한다. 금지표면은 항공 안전에 직접 영향을 주는 절대적 금지구역이다. 평가표면은 건물 높이를 규제한 금지 표면을 축소하고, 항공학적 검토를 거쳐 건축물 높이를 탄력적으로 바꿀 수 있는 곳이다. 공항별 여건에 따라 평가표면을 축소하거나 완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정안상 평가표면은 현행 기준보다 확대된다. 국내에 적용되면 김포공항 반경 약 11∼13㎞ 내가 평가표면으로 분류돼 45·60·90m 등으로 고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원래는 고도제한 대상에 해당되지 않았던 양천구는 영등포, 마포, 부천 등이 평가표면에 포함된다. 고도제한 요건 수정으로 가장 마음이 급해진 건 목동신시가지 소유주들이다. 현재 1~14단지 모두 재건축을 추진 중이다. 사업 속도가 가장 빠른 6단지는 최고 49층, 7단지는 최고 60층을 목표로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최고 층수가 49층이면 높이로는 약 180m이므로 90m 고도제한이 설정되면 설정 범위내 모든 건축물은 30층 이하로만 지어야 한다.   목동 14개 단지 재건축 조합 등으로 구성된 '목동 재건축 연합회'(목재련)은 이달 28일 ICAO 개정안에 대한 반대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상용 목재련 회장은 "항공기술 발전에 따라 규제가 완화될 것으로 기대했으나, 개정안은 주민들의 오랜 염원을 짓밟는 퇴행적 조치"라며 "이는 주민들의 주거환경 개선 기회와 재산권을 사실상 봉쇄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개정안이 현실화되면 목동 재건축 사업의 동력이 상실되고 수도권 전체 도시 재생의 미래를 암울하게 만드는 재앙이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국토부에 김포공항 이전 재검토나 ICAO 개정안에 대한 공식 반대 입장 표명을 요청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개정안 국내 도입 시 항공기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면서도 합리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계획"이라며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하고, 국내공항 여건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 "재산권 행사 좀 하자"는 강서구… 중간에 낀 서울시 '난감' 양천구와 반대로 강서구는 ICAO 개정안에 대한 환영 입장을 보이고 있다. 강서구는 현재 전체 면적의 97.3%가 고도제한 구역으로 설정돼 있다. 관련 규정이 개정되면 절대적 금지표면 대비 조건부 평가에 따라 건물을 높이 올릴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면서 지금보다는 높은 층수로 정비사업이 가능하다. 진교훈 강서구청장은 지난달 고도제한 완화 관련 세미나를 열고 "1958년 김포국제공항 개항 이후 강서구는 도시 발전과 재산권 행사에 심각한 제약을 받아왔다"며 이번 국제기준 개정이 강서구 56만 주민의 염원을 담아 합리적이고 조속하게 추진되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서울 내 자치구가 상반된 처지에 놓이면서 서울시도 향후 정책 방향을 고심하는 모습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30일 목동6단지를 방문해 재건축 속도를 높인다면 ICAO 개정안 적용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목동 재건축 단지가 개정안 시행이 예정된 2030년 안에 사업시행계획인가 단계까지 모두 마친다면 제도 변경 사정권에 들어가지 않을 것이란 주장이다. 오 시장은 "아직 고도제한 개정 관련 세부 내용이 완전히 확정된 것이 아니다"라며 "8월부터 ICAO와 국토부 사이 소통을 통해 최종 규정안 협상까지 1년 정도 더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토부가 재건축이 진행되는 지역의 재산적 피해가 발생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서울시 또한 재건축 추진 단지가 손해 보는 일이 없도록 강력히 건의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전문가 사이에선 고도제한 관련 규정 개정과 재건축 사업 사이 균형점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정비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주택 공급량이 늘어나는 것은 물론 지역 전체의 자산 가치와 지방세수 증가, 인구유입 등에 효과가 있으나 그 과정에서 비행 안전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해선 안 된다는 이유에서다. 김영록 신라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제한된 면적 하에서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저하는 해당 지역 개발의 결정적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장애물제한표면 하에서의 법규상 각종 제한까지 더해지면 지역 노후화의 대표 원인이 될 수 있다"며 "고도완화가 없이 특정 지역 전체의 경제적 이익이 상실된다면 항공항적 검토를 바탕으로 한 고도제한 규정을 손볼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성환 한국항공우주법연구소 대표는 "일본과 대만은 도심에 있는 비행장 주변의 공역을 재설계함으로써 국민의 재산권을 보장하는 동시에 비행안전을 추구하고 있다"며 "항공기와 관제 기술의 급속한 발달을 따라잡지 못하는 구식 정책을 업그레이드해야 할 시점"이라고 제언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 2025-08-01 06:30
사진
'내란 공모' 이상민 前 장관 구속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12·3 비상계엄' 당시 특정 언론사에 대한 단전·단수를 지시한 혐의 등을 받는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이 구속됐다. 서울중앙지법 정재욱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전날 이 전 장관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한 뒤 "죄를 범했다고 인정할 상당한 이유가 있고 증거를 인멸할 염려가 있다"며 1일 영장을 발부했다.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사진=뉴스핌DB] 특검은 지난달 28일 내란중요임무종사,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위증 등 혐의로 이 전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특검은 이 전 장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불법적인 계엄 선포를 사실상 방조하고, 특정 언론사에 대한 단전·단수 지시를 전달해 국민의 생명·안전권을 침해했다고 판단했다. 아울러 특검은 이 전 장관이 행안부 장관으로서 외청 기관장인 소방청장 등에게 의무 없는 단전·단수를 지시한 행위가 직권남용에 해당한다고도 봤다. 특히 이와 관련해 특검은 그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사건 변론기일에 나와 단전·단수를 지시한 적이 없다고 발언한 것을 위증이라고 판단해 이 혐의도 적용했다. 그동안 이 전 장관은 혐의를 전면 부인해 왔다.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단전·단수 등 지시를 받은 적이 없으며, 행안부에는 소방청에 대한 지휘 권한이 없다는 것이 이 전 장관의 주장이었다. 특검은 이 전 장관의 주장을 반박하고 구속 수사 필요성을 주장하기 위해 160장의 파워포인트(PPT)를 준비하고, 앞서선 300여쪽의 의견서를 법원에 제출했다. 특검이 이 전 장관의 신병을 확보하면서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 다른 국무위원들에 대한 수사에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 전 장관 구속은 이른바 '안가(안전 가옥) 회동 의혹' 관련자 중 첫 신병 확보인 만큼, 일각에선 특검이 근시일 내 나머지 안가 회동 멤버에 대해서도 소환조사를 진행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안가 회동 멤버는 이 전 장관과 김주현 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이완규 전 법제처장이다. 이들은 윤 전 대통령의 법률가 출신 최측근으로, 계엄 해제 이후 안가에 모여 계엄 직후 수습 방안을 논의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hyun9@newspim.com 2025-08-01 06:2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