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욕 억제물질 발견 [사진=영화 `미녀는 괴로워` 포스터] |
식욕억제물질 최초 발견
[뉴스핌=대중문화부] 국내 연구진이 해외 연구진과 공동으로 비만을 치료 식욕 억제 물질을 발견했다.
신체에서 식욕을 조절하는 중추인 뇌 시상하부에 존재하는 새로운 식욕 억제물질과 그 신호전달경로를 세계 최초로 밝혀낸 것.
서울 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김민선 교수, 하머드의대 김영범 교수, 가천대 이길여 암당뇨연구원 이봉희 변경희 교수, 바이오벤처 아디포젠 윤병수 박사는 최근 뇌 시상하부의 클러스테린(아포지단백 J)과 LRP2가 식욕조절의 핵심인자이며, 클러스테린이 LRP2와 렙틴수용체의 상호작용을 유도해 식욕 억제 작용 사실을 규명했다.
지방세포가 분비하는 식욕 억제 호르몬인 렙틴은 시상하부에 비만전달 신호를 보내 음식을 과하게 섭취하면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역할을 한다.
비만 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쥐의 뇌 시상하부에 클러스테린을 주입하자 LRP2와 렙틴수용체의 결합이 일어났고, 식욕 억제 호르몬인 렙틴 신호전달계의 활성화가 유도됐다.
이후 비만 쥐는 음식을 덜 섭취하게 됐고, 복부둘레와 체중이 줄어드는 등 비만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진은 정상 쥐에서 식사 후 또는 렙틴을 투여한 뒤 시상하부의 클러스테린 양이 증가한 반면, 비만 쥐에서는 클러스테린 양이 증가하지 않아 과식증이 나타났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비만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만성질환이지만 효과적인 치료제가 개발 되지 않았다.
이에 김민선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식욕억제 신호전달 경로를 알아낸 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비만을 비롯한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치료제, 식욕억제제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는 보건산업진흥원의 보건의료기술진흥사업과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과학 학술지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최신호에 게재됐다.
[뉴스핌 Newspim] 대중문화부 (newmedi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