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성과 경제효과 대립 속 노력
33년간 936억 원 지원·경제효과
[하동=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 하동군은 정부의 탈석탄 기조에 맞춰 추진한 LNG복합발전소 건립이 지난 27일 기후에너지환경부 전기위원회 심의를 통과하며 최종 승인됐다고 28일 밝혔다.
군은 당초 대송산업단지 내 발전소 유치를 추진했으나, 지난해 7월 산업통상자원부 경제자유구역위원회가 해당 단지 개발계획을 보류하면서 무산 위기를 겪었다.
![]() |
| 정부의 탈석탄 기조에 발맞춰 폐쇄 예정인 하동화력발전소 2·3호기를 대신할 LNG 복합발전소가 기후에너지환경부 전기위원회에서 최종 승인됐다. 사진 하동군청 전경 [사진=뉴스핌DB] 2023.11.08 |
이에 군은 한국남부발전과 협의해 건립 위치를 전원개발구역인 하동화력본부 부지로 변경해 재추진에 나섰다.
군은 LNG복합발전소 유치를 위해 부군수를 위원장으로 한 화력 폐쇄 대응 TF 운영, 국회의원 및 인근 지자체 협조 요청, 주민설명회 개최, 산업통상자원부 방문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주재 석탄발전전환협의체에 참석해 승인 요청과 함께 정의로운 전환특별지구 지정 및 관련 법 제정도 건의했다. 지난 17일에는 한국남부발전과 상생 협약을 체결하고 화력발전소 폐쇄에 따른 지역경제 충격 완화를 위한 대응 기반을 마련했다.
군에 따르면 LNG복합발전소 건립은 향후 33년간 936억 원 규모의 각종 지원금과 함께 지역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인구 유입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하승철 하동군수는 "석탄화력 폐쇄는 불가피한 흐름이지만, 아무런 대안 없이 폐쇄가 이뤄질 경우 지역경제가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며 "LNG복합발전은 친환경성과 효율성을 겸비한 대체 에너지원으로 지역의 산업 기반과 일자리를 유지하는 현실적 해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하동군은 2026년부터 하동화력발전소 1호기 폐쇄를 시작으로 6호기까지 순차적으로 가동을 중단할 예정이다. 군은 LNG복합발전소 유치와 함께 옥종면에 700MW 규모의 양수발전소 공모도 준비 중이며, 탈석탄 이후 지속 가능한 에너지 거점도시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news234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