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상용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와 전화 통화에서 '대만 문제와 관련해 중국 지도부를 자극하지 말라'고 조언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현지시간 26일 보도했다.
다카이치 총리의 대만 발언 이후 중일 양국이 충돌을 거듭하는 상황에서 지난 25일 트럼프 대통령과 다카이치 총리는 25분간 전회 회담을 가진 바 있다.
당시 총리는 대만 문제와 관련해서도 트럼프 대통령과 의견을 나눴는지에 대해 언급을 피한 채 "미일간 긴민한 연계(협력)를 확인할 수 있었다. 미일 동맹 강화와 인도태평양 지역이 직면한 정세 등 여러 과제에 대해 폭넓게 의견을 교환했다"라고만 말했다.
이날 WSJ 보도는 중일 충돌을 바라보는 트럼프 대통령의 시선이 이틀전 다카이치 총리의 설명과 비교해 일본 측에 덜 우호적임을, 모처럼 찾아온 미중간 화해무드를 깨뜨리지 않으려 균형을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신문은 일본 당국자와 미국 측 인사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다카이치 총리와 대화에서 대만의 주권 문제와 관련해 베이징(중국 지도부)을 자극하지 말고 발언 수위를 낮출 것을 조언했다며, 트럼프의 조언은 압박이라기보다 미묘한 당부에 해당했다"고 전했다.
다만 다카이치 총리에게 이번 사태의 발단이 된 '대만 유사시 일본 개입을 시사하는' 발언의 철회를 요구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일본 측은 이 메시지를 우려스럽게 받아들였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10월) 말 시진핑 중국 주석과 정상회담 후 어렵게 조성한 미중 긴장 완화 분위기를 대만 문제 때문에 다시 얼어붙게 할 생각은 없다고 신문은 전했다. 당시 미중 정상 회담에서 미국은 중국에 대한 관세 일부를 낮추고 1년간 관세 휴전에 들어가기로 했다. 중국은 희토류 통제를 완화하고 미국산 대두 수입 재개를 약속했다.
백악관은 다카이치 총리와 통화 내용에 대한 WSJ의 질의에 트럼프 명의의 성명을 신문에 전달했다.
해당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 중국의 관계는 매우 좋으며, 이는 우리의 소중한 동맹국 일본에게도 좋은 일이다. 중국과 잘 지내는 것은 중국과 미국 모두에게 이로운 일이다. 시진핑 주석은 대두와 다른 농산물 구매를 상당히 늘릴 것으로 본다. 우리 농민에게 좋은 일은 곧 나(트럼프)에게도 좋은 일이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많은 나라와 훌륭한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 지금 세계는 평화롭다. 그 상태를 유지하자!"라고 덧붙였다.
미국의 이해를 대변한다면 모를까, 그렇지 않으면 다카이치든 누구든 불필요하게 분란을 일으켜 지금의 역내 평화를 깨지 말라는 뉘앙스다.
그간 트럼프 대통령은 방위·안보 분야에서 강경 태세를 취해 온 다카이치를 높이 평가했다. 지난달 일본 방문 중에는 요코스카 해군기지에서 함께 공개 행사를 열어 동맹을 과시하기도 했다.
10월말 미중 정상회담 이후 트럼프의 우선 순위는 일본과 의리보다 중국과의 실리로 옮겨갔다.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선 중국과 관계를 개선해 나가고 있는 민감한 시기에 일본이 중국을 자극해 다시 분위기를 냉각시키는 상황이 불편할 수 있다.
신문은 이번 사안이 미·중 관계의 새로운 현실을 보여준다며 미·중 간 무역긴장 완화와 대만 이슈가 사실상 맞물려 돌아가고 있다고 했다.
이어 전문가 의견을 빌어, 이번 트럼프의 전화 통화 순서(시진핑과 먼저 통화 후 다카이치와 통화)와 대화 시간(중국과 1시간, 일본과 25분)에서도 엿볼 수 있듯 지금의 미국 대통령은 경제적 실리를 위해 동맹국의 민감한 안보 사안을 일부 뒷전으로 미룰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7일 의회 연설에서 대만 유사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가 가능한 '존립 위기 사태'에 해당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중국을 자극했다. 중국 지도부는 다카이치의 발언이 '하나의 중국'이라는 대 원칙을 훼손한 것이라 보고, 보복조치를 단행했다.
최근 다카이치 총리는 "대만 유사시의 구체적인 상황을 언급할 의도는 없었다. 어떤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말할 생각은 없었다"며 발언 수위를 조정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중국의 반응은 냉랭했다. 국제사회가 대만 문제에 섣불리 개입하지 못하게 반면교사로 삼을 요량으로 강경일변도의 자세를 풀지 않고 있다.
![]() |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정상회담 후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osy75@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