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주가 상승률 13%, 업계 하락과 대조
거품론의 2가지 의문, 현금흐름으로 '차단'
'연구 공룡'의 오명, 프리미엄으로 바뀐다
토대는 2023년 AI 조직 통합과 단일 체계
이 기사는 11월 25일 오후 4시15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미국 알파벳(구글 모회사, GOOGL)이 인공지능(AI) 주도주 경쟁에서 새 승자로 입지를 다지는 모양새다. 최근 AI 관련주가 일제히 요동쳤음에도 불구하고 홀로 상승세를 유지하며 거품론의 외풍을 피해 갔다.
주식시장을 뒤흔든 AI 설비투자의 거품론 속에서 알파벳이 투자자들의 '신의'를 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간단하다. 실적에서 확인된 AI 설비투자의 재무적 지속가능성과 수익화의 즉시성이다. 거품론을 구성하는 2가지 의문을 현금흐름 하나로 잠재웠다.
◆거품론 차단
알파벳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는 최근 주가 추이가 증명한다. 알파벳 주가는 현재 318.58달러(24일 종가) 이번 달 들어 13%나 올랐다. 같은 기간 주가지수 S&P500이 AI 과열 염려 속에서 2%가량 떨어진 것과 대조적이다. 알파벳의 한 달 기준 상승폭은 26%다.
![]() |
| 24일까지 11월 시세 변동률, (위에서 아래로) 알파벳·애플·S&P500·메타·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엔비디아·오라클 [자료=코이핀] |
다른 하이퍼스케일러 업체와 비교하면 대조상은 더 뚜렷해진다. 이달 들어 아마존은 7% 떨어졌고 마이크로소프트는 8% 하락했다. 메타와 오라클의 낙폭은 5%와 24%다. 하락장 속 피난처 역할을 했다고 조명받는 애플 상승폭 2%를 대폭 뛰어넘는다.
하락장 속에서 알파벳의 시세를 지탱한 1등 공신은 현금흐름에서 읽히는 AI 설비투자의 지속가능성이다. 종전까지 자체 현금으로 투자금을 충당하던 빅테크들이 회사채 발행을 시작한 가운데 홀로 현금흐름 안에서 설비투자를 견실하게 소화하는 역량을 보여줬다.
예로 3분기 알파벳의 설비투자액은 239억5000만달러다. 영업현금흐름의 49%다. 하지만 메타는 65%, 마이크로소프트는 78%, 아마존은 90%다. 알파벳 홀로 현금흐름이 설비투자를 여유 있게 감당하기를 바라는 주식시장의 바람(에드워드 존스 데이브 히거 애널리스트 논평)에 화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잉여현금흐름 추이는 격차를 더 선명하게 그린다. 3분기까지 12개월 동안 알파벳의 연간 잉여현금흐름은 전년동기 대비 32% 늘었다. 그러나 주가가 죽을 쑨 메타는 14% 줄었다. 알파벳은 현금 보유액 1000억달러를 유지하면서도 올해 설비투자 가이던스를 910~930억달러로 높였다.
알파벳의 현금흐름 우위는 재무체력 이상을 상징한다. 현금흐름 우위는 알파벳이 AI 투자를 곧바로 매출로 바꿀 수 있는 사업 구조를 갖췄기에 가능하다. 본업이 현금을 만들고 그 현금이 AI에 투입되며 AI가 다시 본업을 강화해 더 큰 현금을 낳는 이른바 '자기완결형 순환' 구도가 가동 중이다.
![]() |
| 현금보다 부채가 많아진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자료=도이체방크, 11월18일] |
AI 투자는 곧바로 클라우드를 통해 외부 매출로 돌아온다. LLM(대형언어모델) 제미나이와 자체 AI 연산용 반도체 TPU가 클라우드 통합 AI 개발 플래솜 버텍스AI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클라우드의 매출액과 수주잔액(RPO<고객과 체결한 계약 중 아직 매출로 인식되지 않은 금액>을 들어 올린다. 메타의 AI 데이터센터가 자사 광고 플랫폼 개선에만 쓰이는 것과 대조적이다.
이토로의 조시 길버르 애널리스트는 "알파벳은 AI 투자 비용을 현금흐름으로 충당하면서 전 사업 부문이 동시에 성장하고 있다"고 했다. 제미나이 앱의 월간 활성 사용자 수는 7월 4억5000만명에서 10월 6억5000만명으로 급증했다. 오픈AI의 챗GPT의 주간 활성 사용자 8억명에 육박한다.
◆'연구 공룡'의 프리미엄
과거 알파벳은 AI 기술의 원천을 쥐고도 정작 시장에서는 뒤처진 역설 속에 있었다. 핵심 자회사 구글은 현대 생성형 AI의 뼈대가 된 아키텍처 '트랜스포머' 논문을 쓰고 세계 최고 AI 연구소인 딥마인드를 거느렸지만 관련 기술을 서비스로 내놓는 속도는 더뎠다.
이유는 두 가지였다. 검색 광고 매출이 줄어들 것이라는 염려 때문에 생성형 AI를 적극적으로 내세우지 못했고 AI 연구는 딥마인드와 구글 내부 조직인 브레인이 쪼개져 있었다. 2023년 2월 생성형 AI인 바드(Bard) 시연이 실패하자 구글은 '연구만 하는 공룡'이라는 낙인이 찍혔다.
이제 알파벳을 둘러싸고 '연구 공룡'의 프리미엄이 붙기 시작했다는 설명이 나온다. 그 토대는 2023년에 닦였다. 바드의 시연 실패(2023년 2월) 두 달 뒤 두 개로 분리됐던 딥마인드와 브레인을 '구글 딥마인드'로 합치고 데미스 허사비스가 단일 지휘 체계를 세우면서다.
![]() |
| 구글 클라우드 로고 조형물 [사진=블룸버그통신] |
▶②편에서 계속됨
bernard0202@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