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 국제세미나 개최
"저층 노후주거지는 도시 자산"
해외 재생 경험 통해 국내 전략 모색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국토연구원이 서울에서 국제세미나를 열고 노후주거지 정비를 도시정책의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해외 주요 도시의 재생 모델과 국내 현실을 연결해 공공성과 지속가능성을 갖춘 정비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 |
| 17일 국토연구원은 '노후주거지 정비방향 국제세미나: 도시의 미래, 원도심에서 시작하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사진=국토연구원] |
17일 국토연구원이 '노후주거지 정비방향 국제세미나: 도시의 미래, 원도심에서 시작하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도시 확장 중심의 기존 정책에서 벗어나, 노후주거지를 기반으로 한 내적 성숙과 사람 중심의 재생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명수 국토연구원 원장직무대행은 개회사를 통해 "노후 저층주거지는 단순한 정비 대상이 아니라 도시와 공동체의 역사가 켜켜이 쌓여 있는 중요한 자산"이라며 "해외 주요 도시의 재생 경험과 한국의 정책적 고민을 연결해 미래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미나에서는 스페인·영국·한국의 노후주거지 재생 경험이 공유됐다. 각국의 접근 방식은 다르지만 '주민의 삶, 공공성, 공동체 회복'을 중심에 둔 재생이라는 공통된 방향성이 확인됐다는 평가가 나왔다.
스페인 사례 발표를 맡은 하비에르 마틸라 아얄라(Xavier Matilla Ayala) 카탈루냐 공과대학 교수는 바르셀로나의 '슈퍼블록(súperilles)' 정책을 소개했다. 그는 공공공간 재편과 보행 환경 향상이 도시의 품격과 회복력을 높이는 핵심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영국의 닐 머피(Neil Murphy) TOWN 창립이사는 코하우징과 커뮤니티 랜드 트러스트(CLT) 등 주민이 주도하는 도시 변화를 새로운 정비 모델로 제시했다. 그는 도시재생을 "주민 공동체가 스스로 형성될 수 있는 조건을 만드는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한국 발표에서는 박정은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이 국내 노후주거지의 한계를 짚었다. 박 연구위원은 저층주택 밀집과 기반시설 부족 등 구조적 문제를 지적하며 맞춤형 종합관리전략, 생활기반시설 확충, 순환형 임대주택 공급, 금융·현장 지원 강화 등을 포함한 정책 중심의 지원체계를 제안했다.
국토연구원은 이번 논의를 바탕으로 공공성·포용성·지속가능성을 담아낸 노후주거지 정비 정책 연구를 강화할 계획이다. 국토연구원 관계자는 "국내외 재생 경험이 공유된 만큼 한국의 노후주거지 재생이 새로운 도시정책으로 발전하도록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