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별 기능과 역량 통합해 전문성과 효율성 강화"
MNO CIC, 상품·영업 중심으로 재편…네트워크·B2B 기능 통합
AI CIC, 시장 변화 대응 위한 프로젝트형 유연 조직으로 구성
스태프 조직도 GC센터·Comm센터 신설 등 현업 집중 지원 체제로 개편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SK텔레콤이 고객 신뢰 회복과 AI 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을 위해 내년부터 통신(MNO)과 AI를 축으로 CIC(사내회사) 체제를 도입하는 조직 개편 및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고 13일 밝혔다.
정재헌 SK텔레콤 대표는 "CIC 체제는 각 사업 특성에 최적화된 업무 방식과 의사결정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선택"이라며 "MNO 사업의 고객 신뢰 회복과 AI 사업의 실질적 성과를 이루겠다"고 강조했다.
MNO CIC(한명진 CIC장)는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마케팅·영업·상품 등 관련 기능을 재편한다. 마케팅 조직을 상품·서비스와 영업 중심으로 구성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엔터프라이즈(B2B) 사업에는 기술 지원 기능을 전진 배치해 솔루션 품질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네트워크 조직도 인프라 기반 AT·DT 실행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재구성해 본원적 경쟁력 강화를 추진한다.
![]() |
| SK텔레콤 로고. [사진=SK텔레콤] |
지난 9월 출범한 AI CIC(정석근·유경상 공동 CIC장)는 핵심 사업과 기술 조직을 중심으로 정예화한다. 조직 내 팀 단위 조직은 시장 변화에 맞춰 수시로 통합·분리되는 프로젝트 기반 형태로 운영해 민첩성을 확보한다. 사업 영역은 B2C AI(에이닷), B2B AI(인더스트리얼 AI·데이터플랫폼·AI 클라우드·피지컬 AI), 디지털플랫폼(메시징·인증·결제), AI 데이터센터(AI DC)로 재편된다. 기술 분야는 플랫폼 및 서비스 개발 조직과 파운데이션 모델 등 AI 모델 개발 조직을 중심으로 정비한다.
양대 CIC를 지원하는 스태프 조직도 확충된다. 통합보안센터는 인력을 확대해 보안 역량을 강화하고, 대외협력(CR)과 PR 기능을 통합한 Comm센터를 신설한다. 주요 경영진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GC(General Counsel)센터도 신설되며, Corporate센터(CFO)는 전략 기능을 통합해 역할을 확장한다.
임원 인사는 책임 경영 강화를 목표로 전면적인 리더십 변화에 초점을 맞췄다.
SK텔레콤은 "양대 CIC 체제에서 실질적인 사업 성과와 회사의 성장을 모색하기 위해 실행력과 전문성을 두루 갖춘 인재 발탁이라는 기준에 따라 임원을 선임했다"며 "특히 임원의 실질적 책임과 역할 강화를 위해 임원 규모를 강소화하고, 향후 경영 환경 및 전략 방향에 따른 수시 인사를 통해 전사적인 조직 유연성도 높인다는 계획"이라고 전했다.
신임 임원은 김석원 MNO CIC Product&Brand본부 Brand담당을 비롯해 총 11명이다. SK브로드밴드 조직에서도 김영범 PR실장 등 3명이 신규 임원으로 선임됐다. SK텔레콤은 이번 조직 개편과 인사를 통해 통신사업의 신뢰 회복과 AI 분야에서의 성과 창출 속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dconnec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