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전틱 워크플로우' 등 최신 AI 기법 적용해 개인화 경험 강화
'노트·브리핑' 서비스 출시로 일상 속 활용도 확대
'T전화·B tv·티맵' 등 외부 플랫폼 접목으로 이용자 저변 넓혀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SK텔레콤의 AI 서비스 '에이닷'이 월간 활성이용자수(MAU) 1000만 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10월 550만 명에서 1년 만에 두 배 가까이 성장하며, AI 서비스의 대중화를 견인하고 있다.
21일 SK텔레콤은 자사 AI 서비스 '에이닷'의 MAU가 올해 9월 기준 1000만 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는 앱·웹 이용자 450만 명과 '전화·B tv·티맵' 등 외부 서비스 내 기능 이용자 550만 명을 합산한 수치다.
SK텔레콤은 이번 성과를 'AI 생태계 확장 전략'의 결실로 평가했다. '에이닷'이 단일 앱을 넘어 다양한 플랫폼과 연결되며, 이용자의 일상 속으로 확산된 결과라는 설명이다.
![]() |
SK텔레콤 AI 서비스 '에이닷'의 '월간 활성이용자수' 추이. [자료=SK텔레콤] |
'AI 생태계 확장 전략'은 고객이 생활 전반에서 끊김 없이 AI를 경험할 수 있도록, 에이닷을 중심으로 여러 서비스와 플랫폼을 통합하는 전략이다. SK텔레콤은 에이닷의 내부 기능 고도화와 외부 서비스 연동을 병행하며 이용자 접점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노트'와 '브리핑' 기능을 베타 버전으로 선보이며 활용 범위를 넓혔다. 출시 직후 한 달 만에 실사용자가 약 100만 명 늘어나며 높은 관심을 얻었다.
올해 8월에는 '4.0 업데이트'를 통해 최신 AI 기법인 '에이전틱 워크플로우(Agentic Workflow)'를 도입했다. 사용자의 요청을 단순 수행하는 것을 넘어, 대화 맥락과 기록을 분석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에이닷은 더욱 개인화된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게 됐으며, 업데이트 이후 MAU가 100만 명 이상 추가로 증가했다.
SK텔레콤은 AI 에이전트 기술을 기반으로 한 통화 서비스도 강화하고 있다. 2023년 9월 안드로이드용 '전화' 앱에 통화 녹음·요약 기능을 추가한 데 이어 같은 해 10월에는 iOS 버전에도 기능을 적용했다. 최근에는 'T전화'와 에이닷을 결합한 '에이닷 전화'를 출시해 이용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또한 'B tv'와 '티맵(TMAP)' 등 일상 플랫폼에 에이닷을 탑재해, AI 서비스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도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SK텔레콤은 국내외 기업과 협력해 AI 생태계를 넓히는 전략도 병행 중이다. 지난달 글로벌 일정공유 플랫폼 기업 '타임트리(TimeTree)'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해당 앱에 에이닷의 AI 에이전트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협력을 진행 중이다.
SK텔레콤은 이번 1000만 MAU 달성을 계기로 에이닷의 AI 생태계 확장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내부 서비스 고도화 ▲외부 플랫폼 적용 ▲파트너십 확대를 통해 에이닷을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온 국민의 AI 서비스'로 발전시킨다는 구상이다.
김용훈 SK텔레콤 에이닷사업부장은 "에이닷이 다양한 접점에서 고객의 호평을 받으며 MAU 1000만 명을 돌파한 것은 '온 국민의 AI 서비스'로 도약하는 전환점"이라며 "앞으로도 고객의 일상 전반에서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AI 경험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