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회장 등기이사 복귀 필요"
"기업 경쟁력 위해 컨트롤타워 재건"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삼성전자가 새롭게 도입한 '성과연동 주식보상(PSU)' 제도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장은 "제가 검토한 바로는 위법하거나 부당한 점은 없다"고 밝혔다.
◆ "위법·부당한 점 없다…소통의 문제일 수도"
이 위원장은 21일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준법감시위원회 정례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PSU가 어떤 위법·부당한 점이 있다면 저희 준법감시위에서 반드시 점검하겠지만, 검토한 결과 현재로서는 그런 점이 없다고 판단했다"며 "만약 위법·부당한 점이 있다면 반드시 지적을 하고 시정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만일 위법 부당하지 않음에도 일부에서 문제 제기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소통의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 부분은 좀 더 소통이 원활하게 이뤄지기를 촉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장이 21일 정례회의를 앞두고 기자들과 만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10.21 kji01@newspim.com |
이 위원장은 또 "삼성은 주주, 임직원, 투자자, 채권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인으로 구성돼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임직원 간의 관계만이 전부가 아니다"라며 "비합리적 차별이 있다면 문제가 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상대방을 이해하고 상생하는 측면이 필요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노사 관계는 상대적으로 노동 측이 약자였기 때문에, 준감위는 노동 인권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고 덧붙였다.
PSU는 일정 기간 주가 상승률에 따라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차등 지급하는 장기 인센티브 제도로, 삼성전자는 2028년부터 기준 주가 대비 상승 폭에 따라 자사주를 3년간 분할 지급할 계획이다. 회사는 "직원 성과와 회사 성장의 열매를 공유하기 위한 제도"라고 설명하지만, 노조는 노사 협의 부재와 성과급 불이익, 자사주 소각 회피 의혹 등을 제기하며 반발하고 있다.
◆ "책임경영 위해 등기이사 복귀 필요…건전한 컨트롤타워는 기업 경쟁력"
이 위원장은 이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 필요성에 대해선 "직접 건의하진 못했지만, 책임경영 차원에서 복귀 필요성에 대한 위원회의 일관된 생각은 유지되고 있다"고 전했다.
![]() |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장이 21일 정례회의를 앞두고 기자들과 만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10.21 kji01@newspim.com |
이 회장의 사법 리스크 해소 이후 제기되는 '삼성 컨트롤타워 부활'과 관련해서는 "최윤호 경영진단실장이 굉장히 고생하고 있는 것으로 들었다"며 "인적, 물적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했다.
이어 "위원 중에서도 상당히 많은 분들이 (컨트롤타워 재건에) 공감하는 분위기"라며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신 컨트롤타워가 최고 경영진을 위한 조직이 되거나, 정치권과 결탁된 그런 위험을 내포하는 조직이 되지 않도록 준감위가 최선을 다해 방지하겠다"고 강조했다.
kji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