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주·유해란·고진영·최혜진, 한화 인터내셔널 크라운 출전
23∼26일 고양 뉴코리아CC에서 신설 월드팀 등 8개팀 경쟁
[서울=뉴스핌] 박상욱 기자 = 여자 골프 최강국을 가리는 국가대항전 '한화 라이프플러스 인터내셔널 크라운'(총상금 200만 달러)이 7년 만에 한국에서 열린다. 이 대회는 LPGA가 주관하고 한화가 타이틀 스폰서로 참여하는 국가 대항전이다
메이저 챔피언 5명을 포함한 세계 톱랭커 32명이 오는 23일부터 나흘간 경기 고양시 뉴코리아 컨트리클럽(파72·6542야드)에서 국가의 이름을 걸고 샷대결을 펼친다. 2014년 창설된 이후 올해로 5회째를 맞는 이 대회는 4인 1조로 구성된 8개 나라(팀)가 출전한다.
![]() |
2025년 인터내셔널 크라운에 참가하는 올해 메이저 대회 챔피언들. [사진=대회 조직위원회] |
그동안 스페인(2014), 미국(2016), 한국(2018), 태국(2023)이 차례로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2018년 인천 잭니클라우스 골프클럽에서 안방 우승을 차지했던 한국은 이번에도 홈 코스의 이점을 앞세워 7년 만의 정상 탈환을 노린다. 지난 대회(2023년 샌프란시스코)에서 4강 진출에 실패했던 아쉬움도 함께 씻겠다는 각오다.
![]() |
2018년 인천 잭니클라우스 골프클럽에서 안방 우승을 일군 한국 대표팀. [사진=대회 조직위원회] |
한국은 세계랭킹 8위의 김효주, 유해란(14위), 고진영(22위), 최혜진(21위)이 나선다. 모두 LPGA 투어 풀타임 멤버다. 특히 김효주는 올 5월 뉴코리아CC에서 열린 LET 아람코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해 이번 대회 코스에 익숙하다. 지난주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에서도 최혜진이 공동 7위, 김효주가 공동 10위를 기록하며 샷 감각을 끌어올렸다.
![]() |
2025년 인터내셔널 크라운 한국 대표팀. 왼쪽부터 김효주, 유해란, 고진영, 최혜진. [사진=대회 조직위원회] |
이번 대회에는 3번 시드 한국을 비롯해 미국, 일본, 호주, 태국, 스웨덴, 중국, 그리고 새로 신설된 월드팀까지 총 8개 팀이 출전한다. 7번 시드 월드팀은 세계랭킹을 기준으로 단일 국가를 대표하기 어려운 선수들을 묶은 연합군이다. 리디아 고(뉴질랜드), 찰리 헐(잉글랜드), 브룩 헨더슨(캐나다), 슈웨이링(대만)으로 만만치 않은 다크호스다.
세계랭킹 1위 지노 티띠꾼이 이끄는 5번 시드 태국은 대회 2연패를 노린다. 1번 시드 미국은 부상으로 빠진 넬리 코르다 대신 에인절 인, 릴리아 부, 노예림, 로렌 코글린이 출전한다. 2번 시드 일본은 야마시타 미유, 다케다 리오, 사이고 마오, 후루에 아야카가 나선다. 야마시타와 사이고는 올해 메이저대회 우승을 경험한 강자다. 4번 시드 호주는 세계랭킹 3위 이민지와 에비앙 챔피언십 우승자 그레이스 김이 주축을 이룬다. 시드는 국가별 상위 4명의 세계랭킹 합산으로 주어지며 스웨덴이 6번, 중국이 8번 시드에 배정됐다.
![]() |
2023년 인터내셔널 크라운에 참가했던 지노 티띠쿤. [사진=LPGA] |
대회 방식은 조별리그와 토너먼트로 나뉜다. 8개 팀이 4개국씩 2개 조로 나뉘어 포볼(2인 1조, 각자 공으로 경기 후 좋은 성적을 팀 점수로 반영) 방식으로 사흘간 맞붙는다. 승점은 승 1점, 무승부 0.5점, 패 0점이며, 각 조 상위 2개국이 4강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준결승과 결승에서는 싱글 매치플레이 2경기와 포섬(두 선수가 하나의 공을 번갈아 치는 방식) 1경기로 승부를 가른다. 먼저 2승을 거둔 팀이 승리한다.
한국은 B조에서 일본, 스웨덴, 월드팀과 함께 편성됐다. 첫날(23일) 스웨덴, 둘째 날(24일) 월드팀, 마지막 날(25일) 일본과 차례로 맞붙는다. A조에는 미국, 호주, 태국, 중국이 포함됐다. 우승팀에는 상금 50만 달러(약 7억1000만 원)가 주어진다.
psoq133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