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업 목적 상정, 중장기 성장 전략 구체화
파트너십 기반 실행력 확대·재무 안정성 보완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하이퍼코퍼레이션은 오는 11월 6일 강남구에서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회사가 보유 중 유형자산, 무형자산 또는 재고자산(디지털자산 포함)의 매각, 유통, 임대 및 관련 용역사업을 사업목적으로 추가한다고 29일 밝혔다. 디지털 자산을 중심으로 한 신사업을 중장기 핵심 전략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조치다.
하이퍼코퍼레이션은 이미 비핵심 사업을 정리하고 신사업 추진 기반을 마련해 왔으며 이번 정관 변경으로 이러한 방향성을 한층 구체화했다. 회사는 앞으로 자본·전략·인재·거버넌스 체제를 고도화하며 디지털 자산 중심 기업으로의 전환 속도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또한 디지털 자산 분야의 전문성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갖춘 전략적 투자자와의 협력 범위를 넓히고 단순한 자금 조달을 넘어 트레저리 사업의 실행 체계와 장기 성장 동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 |
하이퍼코퍼레이션 로고. [사진=하이퍼코퍼레이션] |
재무적 기반도 점진적으로 보완되고 있다. 회사는 지난 6월 무상감자를 통해 자본잠식을 해소했으며 400억원 규모 전환사채(CB) 발행을 마쳤다. 현재 진행 중인 370억 원 규모 유상증자는 정관 변경 이후 신사업 추진 기반이 완비되는 대로 납입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회사 측은 "시장과 투자자 환경에 맞춰 최적의 형태로 유상증자를 문제없이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상석 하이퍼코퍼레이션 대표는 "비트코인을 비롯한 디지털 자산은 글로벌 시장에서 전략적 투자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하이퍼코퍼레이션은 정관 변경을 계기로 트레저리 전략을 본격화해 기업가치와 신뢰를 함께 높여가겠다"고 말했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