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간 공공기관 사칭 스미싱 207만건, 53.4% 차지
출처 불명확 인터넷 주소는 클릭 말고, 앱 설치 안해야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금융당국은 추석 연휴를 앞두고 국민들에게 사이버사기 피해 최소화를 위한 주의를 요청했다.
![]() |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금융당국은 추석 연휴를 앞두고 국민들에게 사이버사기 피해 최소화를 위한 주의를 요청했다. [표=금융위원회]2025.09.26 dedanhi@newspim.com |
금융위원회와 관계 부처는 26일 발표한 합동자료에서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 조회, 쓰레기 무단투기 과태료 조회 및 명절 선물 구매를 위한 쇼핑몰 사칭 등 다양한 사이버사기 형태를 언급하며 경각심을 높였다. 문자결제사기(스미싱)는 주로 공공기관을 사칭해 금전을 갈취하는 방식으로, 최근 3년간 분석 결과 공공기관을 사칭한 사건이 207만여 건에 달하며, 이는 전체의 53.4%를 차지했다.
이번 추석 명절을 전후해 교통량과 음식물 쓰레기 배출이 증가하는 만큼, 유사한 스미싱 메시지가 다수 유포될 우려가 크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2024년부터는 소셜미디어 및 전자상거래 계정 탈취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계정 정보 입력 시 신중해야 한다.
정부는 사이버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보안 수칙을 생활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과태료나 범칙금 관련 메시지 및 모바일 상품권 관련 문자를 수신했을 경우, 출처가 불명확한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지 말고, 출처를 알 수 없는 앱은 설치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스마트폰에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며, 개인 정보와 금융 정보를 요구하는 메시지에 대해서는 절대 입력하지 말아야 한다. 대화 상대방이 금전이나 정보를 요구할 경우에는 반드시 신원을 확인해야 한다.
정부는 추석 연휴 동안 사이버 안전 대응체계를 24시간 운영하고, 문자결제사기 발생 사례에 대해 신속히 대응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연휴 기간 동안 탐지체계를 운영하며, 신고된 문자사기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금융 피해를 유발하는 사이트 차단 조치를 시행할 예정이다.
방통위는 이동통신 3사와 협력해 22일부터 각 통신사 명의로 경고 메시지를 발송하고 있으며, 금융위원회는 금융 소비자들이 안전하게 금융 거래를 할 수 있도록 안심차단 서비스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경찰청은 사이버사기 피해 신고 시 신속한 수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사이버범죄 피해가 의심되거나 문자결제사기를 포함한 사이버 범죄 피해를 입었다면, 즉시 경찰청에 신고해야 하며, 피해금을 송금한 경우에는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한다. 또한, 의심스러운 문자 메시지나 악성 앱 감염이 의심될 경우 118 상담센터에 연락해 상담받을 수 있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