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시설 확대 및 센터 설치 논의
예산 삭감 비판과 정책명 명확화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도 유보통합 추진 지원을 위한 특별위원회는 17일 제3차 회의를 열고 경남형 유보통합 정책의 실효성과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경기도교육청의 사례를 언급하며 경남도와 도교육청이 긴밀하게 협력해 정책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경상남도 유보통합 추진 지원을 위한 특별위원회가 17일 경남도의회에서 3차 회의를 열고 경남형 유보통합 정책의 실효성과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사진=경남도의회] 2025.09.17 |
위원회는 2026년 예산 편성과 관련해 장애아 보육시설 확충 필요성을 지적하고, 창원·진주·거제·양산·합천을 제외한 시군에도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한, 학교 유휴부지를 활용해 센터를 조성하는 방안에 대해 도교육청의 의견을 물었다.
정수만 의원(국민의힘·거제1)은 최근 발달지연 아동이 어린이집에서 퇴소한 사례를 언급하며 "제도와 현실 간 괴리를 도와 도교육청이 적극 해결해 모든 아동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보육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강용범 의원(국민의힘·창원8)은 "발달지연 아동의 장애 판정이 늦어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며 이를 충분히 고려해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도가 유보통합 사업을 적극 추진하는 만큼 경남도와 교육청도 전향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정부가 편성한 8,331억 원 규모의 유보통합 예산을 확보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일수 의원(국민의힘·거창2)은 경남교육청이 유보통합 시범사업 예산을 근거 없이 삭감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정책 안착을 위해 시범사업 범위를 확대하고, 도민의 눈높이에 맞춰 사업명을 보다 명확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치환 위원장(국민의힘·비례)은 "경기도교육청은 수요 맞춤형 유보통합 모델 구축에 적극 나서고 있다"며 "경남도 역시 유보 3법 개정만 기다리지 말고 능동적으로 경남형 통합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위원회는 이번 회의에서 나온 논의를 토대로 향후 활동에 반영해 집행부와 협력하고, 실효성 있는 대안 마련을 지속적으로 점검·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경남도의회 유보통합 특별위는 지난 3월 출범 이후 도내 유보통합 현황 점검과 정책 발굴을 위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