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수석보좌관회의서 토론…"노동시장 양극화 고착화" 지적
[서울=뉴스핌] 박찬제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노동시장 이중구조 문제 해결과 노동자의 사망사고 근절을 위한 제도 개선 강구책을 주문했다. 대통령실은 문제의 원인에 대해 토론하며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31일 오후 이 대통령 주재 수석보좌관회의 브리핑에서 "비공개 회의에서 노동시장 양극화 진단과 대책에 대한 토론이 이뤄졌다"며 "문진영 사회수석이 노동시장 양극화 개념과 실태를 발제했다"고 소개했다.
![]() |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3차 비상경제점검TF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30 photo@newspim.com |
그는 "공기업 분야의 하청과 재하청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조적인 근로조건 격차 문제에 대해 깊이 있는 토의가 이어졌다"며 "민간기업과 공공기관,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 방송사 비정규직 근로환경 개선 방안은 물론이고 경제적인 대응책도 논의했다"고 밝혔다.
강 대변인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노동시장 양극화가 매우 고도화되고 구조적으로도 고착화 됐다"며 "같은 노동이 다른 대우를 받는 현실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와 정책선도, 입법적 노력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라고 짚었다.
강 대변인은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구체적 대책이 나왔느냐'는 취재진 물음에 "이미 알고 있었던 하청의 재하청 문제에서 고(故) 김용균 노동자 문제나 이런 일이 왜 발생하는지, 임극격차가 얼마나 되는지를 보고했다"고 답했다. 또 "같은 노동을 하는데 어떤 방식으로 이런 격차를 줄일 수 있는지와 입법, 정책적 노력, 사회인식 변화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오갔다"고 덧붙였다.
강 대변인은 '노동시장 이중구조 문제에 대해 논의하게 된 취지가 궁금하다'는 질문에는 "수석보좌관회의는 대통령이 오랫동안 철학적으로 가져온 것이나 오래된 구태를 고치는 과정에서 필요한 아이디어를 모으는 것"이라며 "최근 관심사 중 하나가 노동문제 양극화가 있었고 산업의 죽음 문제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나아가 "으런 것이 왜 극복되지 앟는지, 연결된 게 아닌가라는 (이 대통령의) 궁금증이 있었다"며 "예를 들어 고 김용균 노동자의 안타까운 죽음에 하청의 재하청 문제가 연결된 것 아닌가라는 부분에 대한 점검이 이뤄졌다"고 강조했다.
pcja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