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부활 1500억달러·대미 투자 펀드 2000억 달러
구체적 지원 방식 언급 안해…금융 공기업 참여 검토중
2000억달러 대미 투자 펀드 구체적 투자처 미국과 협의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 주효…반도체·이차전지·바이오 투자 유효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31일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세협상 타결 조건으로 제시된 3500억달러(약 487조원) 규모의 투자금 구성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국보다 먼저 관세협상을 타결한 일본과 유럽연합(EU)의 투자 규모보다는 적지만, 경제 규모 등을 고려했을 때 적지 않은 수준이기에 구체적 투자 방향이 나오기 전까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 |
[서울=뉴스핌]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0일 저녁(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주미한국대사관에서 '한-미 통상협의 결과브리핑'에서 발표문을 낭독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2025.07.31 photo@newspim.com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오후 9시30분(현지시간)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1500억달러는 조선업 분야, 2000억달러는 핵심광물 등 경제안보 분야 지원을 위한 대미 금융 패키지라고 설명했다.
이번 한미 관세 협상은 이른바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로 불리는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 카드가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제조업'을 내세워 협력의 질로 미국 협상단을 설득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조선 협력펀드'를 통한 미국 투자가 이뤄질 전망이다. 선박 건조와 MRO(유지 보수 정비), 조선 기자재 등 조선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한국 기업이 구체적인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정부도 구체적인 지원 방식에 대해서는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조선 협력 펀드와 관련한 투자 금융 지원에는 한국수출입은행, 한국무역보험공사 등 금융 공기업이 참여하는 방식이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긴급브리핑에서 "(펀드에서) 에쿼티(자기자본), 직접투자 비율은 높지 않을 것"이라며 "대부분 대출과 보증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나머지 2000억달러는 대미 투자 펀드 조성에 활용된다. 구 부총리는 '해당 펀드가 우리 기업들이 경쟁력을 보유한 분야를 위한 투자금'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인 투자처는 미국 측과 협의를 거쳐 확정할 계획이다.
김 실장은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 등을 예시로 들며 "우리 기업이 파트너로 참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평가했다. 앞으로 국내 기업의 미국 진출 기회가 열렸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2000억달러를 어떻게 조달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 검토는 향후 협의를 거쳐 진행될 예정이다. 다만 해당 투자에 대해서는 직접투자보다는 국내 금융기관을 통한 보증이 주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김 실장은 "비율로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직접투자는 매우 낮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이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직후 본인의 SNS에 "투자펀드 수익의 90%는 미국이 가져간다"고 적었다. 이에 대해 김 실장은 "내부적으로는 재투자 개념일 것 같다"며 "이익이 나는데 돈은 우리가 대고 이익의 90%를 미국이 가져간다는 것은 정상적 문명국가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방식"이라고 반박했다.
우리보다 관세협상을 먼저 체결한 일본도 5500억달러(약 759조원)의 대미 투자펀드 조성과 관련해 출자는 1~2%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공기업 융자, 융자 보증 형식이 될 것으로 설명하기도 했다.
![]() |
[서울=뉴스핌] 한-미 통상협의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9일(현지시간)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및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미국 상무부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통상협의를 하고 있다.[사진=기획재정부] 2025.07.30 photo@newspim.com |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