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위축·수출 감소, 기업 리스크 부각
비용절감·주력사업 집중 전략 확대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하반기 경영여건이 상반기보다 나아질 것이란 기업 응답이 악화 응답의 두 배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 부진과 수출 감소가 경영상 주요 리스크로 지목됐으며, 기업들은 비용 절감과 주력사업 집중에 나설 방침이다.
한국경제인협회는 매출 상위 1000대 기업 중 152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하반기 기업경영여건 조사'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 |
2025년 하반기 기업경영여건 전망 [사진=한경협] |
응답 기업의 53.3%는 하반기 경영여건이 상반기와 비슷하다고 봤다. 개선될 것이란 응답은 30.2%, 악화될 것이란 응답은 16.5%였다.
경영여건이 악화될 것으로 본 기업 중 40%는 개선 시점을 내년 1분기로 예상했다. 다음은 내년 3분기 이후(24.0%), 내년 2분기(16.0%) 순이었다.
하반기 주요 리스크로는 내수 부진과 경기 침체 지속(25.7%)이 가장 많았다. 이어 글로벌 수요 둔화와 수출 부진(14.1%), 통상환경 불확실성(14.1%), 원자재 수급과 가격 상승(14.1%)이 뒤를 이었다.
실제 기업이 체감하는 애로사항으로는 수출 감소(20.4%)가 가장 높았다. 원자재·에너지 가격 상승(19.7%), 내수 부진(18.4%)도 비중이 컸다.
한경협은 "내수와 수출이 동반 위축되며 매출 감소와 재고 누적 등 기업 어려움이 커졌다"고 밝혔다.
하반기 경영 전략으로는 비용 절감과 운영 효율화(28.0%)가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주력사업 집중(19.1%), 해외시장 진출 강화(16.4%), 경영리스크 관리(13.5%) 순이었다. 디지털 전환·자동화(7.6%), 인재 역량 강화(3.9%)에 대한 계획도 일부 있었다.
한경협은 "단기 비용 통제와 중장기 시장 확대를 병행하려는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 |
하반기 경영 리스크 요인, 최근 경영 애로 요인 [사진=한경협] |
하반기 기업활력 제고를 위한 단기 과제로는 공급망 안정화(20.1%)가 우선 꼽혔다. 수출 지원과 통상 불확실성 해소(16.4%)가 그 뒤를 이었다. 이어 기업활동 규제 완화(14.5%), 소비 활성화 정책(13.2%), 세제·금융지원 확대(11.2%) 등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중장기 과제로는 미래 성장동력 발굴과 산업구조 고도화(24.7%)가 1순위로 나타났다. 통상 전략 강화(20.7%), 인구구조 대응(12.5%), 지역균형 발전(12.2%)도 주요 과제로 지목됐다.
한경협은 "기업들은 단기 대응과 함께 장기 산업 전환 전략 마련도 병행되길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기업들은 현재 내수 둔화와 불확실한 대외환경 속에서 기존 전략의 재점검에 집중하고 있다"며 "정부는 규제 개선과 내수 활성화 정책을 보다 체계적이고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