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R&D 데이 개최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앞으로 2~3년 내에 가능한 많은 파이프라인을 확보하자는 전략을 세웠습니다."
김용주 리가켐바이오 대표가 2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리가켐바이오 글로벌 R&D 데이 2025'에서 "이미 임상에 들어가 있는 5개의 파이프라인에 이어, 2027년까지 15개를 임상에 진입시킬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 |
김용주 리가켐바이오 대표가 1일 열린 '글로벌 R&D데이'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김 대표는 "물론 우리가 20개의 파이프라인 전부에 대해 임상을 끝내지는 않겠지만, 2027년까지 15개 이상의 추가 과제를 전임상 또는 임상 단계로 진입시키는 것이 목표"라며 "일부 과제는 기술이전 등 사업개발을 통해 상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했다.
김 대표는 ▲이중항체 ADC(항체약물접합체)와 ▲듀얼 페이로드 ADC ▲면역조절항체결합체(AIC) 등을 중심으로 파이프라인 확대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펩타이드약물접합체(PDC) 분야까지 개발을 확장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PDC는 ADC를 잇는 차세대 항암제로 꼽힌다.
김 대표는 새로운 페이로드를 찾겠다는 의지도 드러냈다.
그는 "하나의 페이로드를 계속 사용하면 내성이 생긴다"며 "페이로드에 많은 링커를 매달면 매달수록 항체의 특성을 잃어버린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회사 설립 이래로 계속된 연구과제로, 새로운 페이로드를 찾는 일이 굉장히 어렵지만 반드시 또 해야하는 일"이라며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파트너사들과 계속 찾을 계획"이라고 전했다.
s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