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경제 과학기술

속보

더보기

[VivaTech 2025] ⑫ FutureSense "Revolutionizing the Food Industry with Blockchain and AI"

기사입력 : 2025년06월04일 18:29

최종수정 : 2025년06월04일 18:29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Sejong=NewsPim] Reporter Kyoungtae Yi = The food industry has traditionally been considered a conservative field, but the wave of digital transformation is covering this industry without exception. In this trend, the company at the forefront of innovation is 'FutureSense.' By providing digital trust throughout the entire food distribution process through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blockchain, and Web3, FutureSense is redefining the industry and has been receiving global attention with rapid growth since its establishment in 2020.

FutureSense's flagship service Food4Chain is a cloud-based integrated platform for food manufacturers and global distribution networks. It analyzes the entire process from production, distribution, to consumption through AI and big data technology, and core information is securely stored in its self-developed hybrid blockchain.

The traceab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es a transparent tracking system capable of responding to international regulations such as FDA and EU. FutureSense records food history in the form of Provenance NFT, allowing any consumer to easily check the history with a smartphone. Adding inventory and loss rate management services, it minimizes the disposal rate of products nearing expiration through AI-based demand forecasting and maximizes the utilization of food assets.

FutureSense's flagship service Food4Chain [Photo=FutureSense] 2025.06.03 biggerthanseoul@newspim.com

FutureSense has secured real-time data reliability through its self-designed hybrid blockchain, further strengthening transparency and freshness management in food distribution. It also provides demand analysis and loss rate control through predictive models, as well as customized product recommendation functions.

All these technologies go beyond simple digitization and are also utilized as ESG management tools. By automatically calculating food waste to analyze causes such as raw material loss, defect rates, and production shutdowns and deriving improvement points, it supports companies' carbon neutrality strategy establishment.

FutureSense is proving its technological capabilities by participating in major global stages including CES 2025, and expansion into overseas markets such as the US and Europe is also being accelerated. They are jointly developing global regulatory compliance certification systems with organizations like the US FDA.

Technical excellence is confirmed by numbers. After adoption by food manufacturers, results have shown 95% reduction in food traceability tracking time, 95% reduction in manual Excel work time, and 30% reduction in food waste. Leading domestic food companies such as CJ CheilJedang and Sajo Daelim are also showing interest in Food4Chain supply chain digitization.

FutureSense is a team that combines technological completeness and global sensibility, founded by experts from ConsenSys, a top blockchain industry company. With approximately 14 employees, they have secured demonstration cases of applying blockchain technology to various industries (food, healthcare, carbon trading, etc.), giving them significant growth potential.

Particularly, the spread of ESG management, strengthening of food regulations, and increasing consumer-centered safety demands align precisely with the values FutureSense pursues. These changes will be a powerful driving force for FutureSense to establish itself as a game changer in the food industry beyond being a simple solution provider.

FutureSense is rewriting the structure of the food industry with blockchain and AI. Trust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responsibility through sustainability, influence through global expansion. Based on these three pillars, FutureSense is drawing the future of the digital food ecosystem.

biggerthanseoul@newspim.com 

 

[VivaTech 2025] ⑫ FutureSense « Révolutionner l'industrie alimentaire avec la blockchain et l'IA »

[Sejong=NewsPim] Journaliste Kyoungtae Yi = L'industrie alimentaire a traditionnellement été considérée comme un domaine conservateur, mais la vague de transformation numérique couvre cette industrie sans exception. Dans cette tendance, l'entreprise à l'avant-garde de l'innovation est 'FutureSense.' En fournissant une confiance numérique à travers tout le processus de distribution alimentaire grâce à des technologies de pointe telles que l'intelligence artificielle (IA), la blockchain et le Web3, FutureSense redéfinit l'industrie et reçoit une attention mondiale avec une croissance rapide depuis sa création en 2020.

Le service phare de FutureSense, Food4Chain, est une plateforme intégrée basée sur le cloud pour les fabricants alimentaires et les réseaux de distribution mondiaux. Il analyse l'ensemble du processus de la production, distribution, à la consommation grâce à la technologie IA et big data, et les informations principales sont stockées en sécurité dans sa blockchain hybride auto-développée.

Le service de gestion de traçabilité fournit un système de suivi transparent capable de répondre aux réglementations internationales telles que la FDA et l'UE. FutureSense enregistre l'historique alimentaire sous forme de NFT de Provenance, permettant à tout consommateur de vérifier facilement l'historique avec un smartphone. En ajoutant les services de gestion d'inventaire et de taux de perte, il minimise le taux d'élimination des produits approchant de l'expiration grâce à la prévision de demande basée sur l'IA et maximise l'utilisation des actifs alimentaires.

FutureSense a sécurisé la fiabilité des données en temps réel grâce à sa blockchain hybride auto-conçue, renforçant davantage la transparence et la gestion de la fraîcheur dans la distribution alimentaire. Il fournit également l'analyse de la demande et le contrôle du taux de perte grâce à des modèles prédictifs, ainsi que des fonctions de recommandation de produits personnalisés.

Toutes ces technologies vont au-delà de la simple numérisation et sont également utilisées comme outils de gestion ESG. En calculant automatiquement les déchets alimentaires pour analyser les causes telles que la perte de matières premières, les taux de défaut et les arrêts de production et en dérivant des points d'amélioration, il soutient l'établissement de stratégies de neutralité carbone des entreprises.

FutureSense prouve ses capacités technologiques en participant à des scènes mondiales majeures incluant le CES 2025, et l'expansion vers les marchés étrangers tels que les États-Unis et l'Europe s'accélère également. Ils développent conjointement des systèmes de certification de conformité réglementaire mondiale avec des organisations comme la FDA américaine.

L'excellence technique est confirmée par les chiffres. Après adoption par les fabricants alimentaires, les résultats ont montré 95% de réduction du temps de suivi de traçabilité alimentaire, 95% de réduction du temps de travail Excel manuel, et 30% de réduction des déchets alimentaires. Les principales entreprises alimentaires nationales telles que CJ CheilJedang et Sajo Daelim montrent également de l'intérêt pour la numérisation de la chaîne d'approvisionnement Food4Chain.

FutureSense est une équipe qui combine la complétude technologique et la sensibilité mondiale, fondée par des experts de ConsenSys, une entreprise leader de l'industrie blockchain. Avec environ 14 employés, ils ont sécurisé des cas de démonstration d'application de la technologie blockchain à diverses industries (alimentation, soins de santé, commerce du carbone, etc.), leur donnant un potentiel de croissance significatif.

Particulièrement, la diffusion de la gestion ESG, le renforcement des réglementations alimentaires et l'augmentation des demandes de sécurité centrées sur le consommateur s'alignent précisément avec les valeurs que FutureSense poursuit. Ces changements seront une force motrice puissante pour FutureSense de s'établir comme un révolutionnaire dans l'industrie alimentaire au-delà d'être un simple fournisseur de solutions.

FutureSense réécrit la structure de l'industrie alimentaire avec la blockchain et l'IA. Confiance grâce à l'innovation technologique, responsabilité grâce à la durabilité, influence grâce à l'expansion mondiale. Basé sur ces trois piliers, FutureSense dessine l'avenir de l'écosystème alimentaire numérique.

biggerthanseoul@newspim.com 

※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sponsorship from the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트럼프, 韓 4대 그룹 총수들과 골프 [서울=뉴스핌] 송은정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주요 기업 총수들과 함께 한나절 동안 '골프 회동'을 진행했다. 글로벌 통상 현안이 산적한 가운데 열린 자리여서 관세와 대미 투자 관련 의견 교환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왼쪽부터)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사진=뉴스핌DB] 19일 외신에 따르면 18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오전 9시쯤 플로리다주 팜비치의 마러라고 별장을 나와 인근 '트럼프 인터내셔널 골프클럽'으로 이동해 오후 5시쯤까지 라운딩을 즐겼다. 백악관 풀기자단은 "트럼프 대통령이 오전 9시15분 골프장에 도착했다"고 전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등 한국 주요 대기업 총수들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이 이들을 초청했으며, 일본과 대만 주요 기업인들도 함께 자리했다. 한국의 주요 재벌기업 총수들이 집단적으로 미국의 대통령 및 정·관계 주요 인사들과 함께 골프를 즐긴 것은 사상 유례가 없는 일이다. 통상 4인 1조로 진행되는 아마추어 골프 경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누구와 한 조를 이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백악관은 풀기자단의 확인 요청도 거부했다. 골프장 입구는 경호원들에 의해 외부인의 접근이 차단됐다. 골프장 주변도 높은 나무로 빽빽이 둘러싸여 내부 확인은 어려웠던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기업인들과 동반 라운딩을 하지 않았더라도 경기 전후 또는 점심시간이나 휴식시간 등을 활용해 대화를 나눴을 가능성이 있다. 이 자리에서 반도체·자동차·배터리·조선 등 분야에서 이들 기업의 대미 투자 및 관세에 대한 의견이 오갔을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편 마러라고 별장 일대에서는 경찰이 기자와 시민의 접근을 통제하며 "VIP들이 있다"며 경계태세를 유지한 것으로 전해졌다. yuniya@newspim.com 2025-10-19 10:00
사진
김세영, 고향 땅에서 '5년만의 통산 13승' [서울=뉴스핌] 박상욱 기자 = '빨간 바지의 마법사'가 화려한 금의환향 퍼포먼스를 보여줬다. 고향 팬들과 가족의 열렬한 응원을 받은 김세영(31·메디힐)이 고향 땅에서 와이어 투 와이어로 천금 같은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2020년 11월 펠리컨 챔피언십 이후 5년이라는 긴 침묵을 깨고 LPGA 통산 13승을 기록했다. 한국은 올 시즌 6승과 함께 7명째 LPGA 우승자를 배출했다. 김세영은 19일 전남 해남군 파인비치 골프링크스(파72·6785야드)에서 열린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최종일 4라운드에서 5언더파 67타를 적어내 최종 합계 24언더파 264를 기록, 단독 2위 하타오가 나사(일본)를 4타 차로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다. 24언더파는 대회 72홀 최저타 신기록이다. 우승 상금 34만 5000달러(약 4억9000만원)를 보태 통산 1518만 달러의 상금을 쌓아 로레나 오초아(멕시코)를 제치고 역대 상금 10위에 올랐다. 김세영이 19일 열린 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최종일 우승 트로피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LPGA] 이날 4타 차 선두로 출발한 김세영은 초반 불안한 출발을 보였다. 3번 홀에서 짧은 파 퍼트를 놓치며 1번 홀에서 버디를 잡은 노예림에게 2타 차까지 쫓겼다. 그러나 5~7번 홀에서 3연속 버디를 잡아 추격자들의 의지를 꺾었다. 이어 9번 홀(파4)에서 버디를 추가하며 2위와 4타 차로 벌려 우승 가능성을 높였다. 후반에는 추격자들이 타수를 줄이지 못하au 단독 2위 경쟁을 하는 사이 김세영은 편안하게 타수를 지켜가며 우승을 굳히는 상황으로 진행됐다. 후반 첫 4개 홀을 파로 지나간 김세영은 14, 15번 홀에서 버디를 보태 2위로 치고 올라온 셀린 부티에(프랑스)와 6타 차까지 벌려 사실상 우승을 확정했다. 김세영이 19일 열린 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최종일 챔피언 퍼트를 넣은 뒤 기뻐하고 있다. [사진=LPGA SNS동영상 캡처] 해남 옆동네인 전남 영암군에서 태어난 김세영은 한국 국적 선수로는 2021년 고진영 이후 4년 만에 이 대회 챔피언에 올랐다. 2019년에 시작한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은 2023년까지 한국 선수 혹은 한국계 선수들이 우승컵을 가져갔다. 2019년 장하나, 2021년 고진영, 2022년 리디아 고(뉴질랜드), 2023년 이민지(호주)가 우승했고 지난해엔 호주의 해나 그린이 이 대회 최초로 한국 또는 한국계 선수가 아닌 우승자로 이름을 남겼다. 2025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우승자 안세영. [사진=LPGA] 김세영은 2015년 LPGA 투어에 데뷔해 3승을 거두며 신인상을 수상했다. 이후 2020년까지 매년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2019년에는 3승을 쓸어 담았고 2020년에는 메이저 대회인 KPMG 위민스 PGA 챔피언십 우승을 포함해 2승을 달성하며 올해의 선수상까지 거머쥐었다. 특히 김세영은 2018년 7월 손베리 크리크 클래식에서 31언더파(63-65-64-65, 257타)로 우승하며 남녀 통틀어 72홀 역대 최저타 및 최다 언더파 신기록을 세웠다. 이전 기록은 LPGA 애니카 소렌스탐의 27언더파, PGA 어니 엘스의 30언더파였다. 한국 선수들은 이날 대약진했다. 김아림이 이날 6타를 줄이며 공동 3위에 올랐고 안나린과 최혜진은 무려 9타씩 줄여 나란히 공동 7위에 랭크됐다. 김효주와 이소미가 공동 10위에 자리해 한국 선수 6명이 톱10에 진입했다. 고진영도 8타를 줄여 고교생 아마추어 오수민과 함께 공동 19위로 순위를 크게 끌어 올렸다. 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대회 중 은퇴 기념 케이크를 선물 받은 지은희(가운데). [사진=LPGA] 19일 열린 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최종일 캐디로 나선 최나연. [사진=LPGA] 19년 LPGA 투어 생활을 마감하는 은퇴 무대로 이번 대회에 공동 24위로 마친 지은희는 9번 홀에서 현역 마지막 퍼트를 버디로 장식하며 갤러리들의 뜨거운 박수 갈채를 받았다. 루키 윤이나는 3타를 줄이는 데 그쳐 공동 24위로 톱10 진입에 실패했다. 2023년 은퇴한 최나연은 이번 대회에서 이정은5의 캐디로 나서 눈길을 끌었다. psoq1337@newspim.com 2025-10-19 16:1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