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6개大 무전공선발 등록 포기자 75.8% ↑
수도권 대학 25% 이상 무전공 선발 인원 늘려
"합격선 예측이 사실상 불가능…입시 혼란 예상"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서울대·고려대·연세대를 비롯한 서울 6개 대학 무전공 전형 합격자 2276명이 등록을 포기했다. 의대 증원에 따른 중복 합격자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등록 포기자가 대거 발생하면서 합격선 하락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부총리가 직접 나서서 무전공 학과 확대를 중점 사업으로 밀어 붙였지만 한계에 도달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 |
서울 6개 대학의 무전공선발 등록 포기자가 지난해 보다 75.8% 증가했다. 사진은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모습. [사진=뉴스핌DB] |
21일 종로학원의 2025학년도 정시 무전공 선발 전형 미등록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정시 합격생 중 등록을 포기한 인원은 지난해(182명) 대비 75.8% 증가했다.
SKY 대학에서 등록을 포기한 인원은 851명으로 지난해(43명) 대비 20배 늘었다. 특히 올해 신설된 고려대 학부대학 유형1 무전공 선발에 733명이 등록을 포기했다. 모집 인원(36명) 대비 2036.1%가 등록을 포기한 셈이다. 무전공 선발은 문·이과 구분 없이 선발하는 유형1과 계열·단과대학 단위로 모집하는 유형2로 나뉜다.
이어 학교별 등록을 포기한 비율은 ▲서강대 AI기반자유전공학부 741.7% ▲서강대 인문학 기반 자유전공학부 693.6% ▲동국대 열린전공학부(인문) 310.0% ▲동국대 열린전공학부(자연) 273.3%명 ▲이화여대 겨열별 통합선발(인문) 30.9% ▲이화여대 겨열별 통합선발(자연)25.2%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21.2% 순이다.
앞서 이 부총리는 지난해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정기 총회에 직접 참석해 무전공 학과 확대를 강조했다. 대학 총장들은 무전공 입학 비율 확대에 대한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었지만 이 부총리는 "물러설 수 없는 원칙"이라고 단호한 입장을 내비친 바 있다.
이어 "그동안 대한민국 고등교육이 학과, 전공으로 분절화됐고, 학생들이 졸업할 때 전공에 맞는 직업을 갖는 비율이 굉장히 낮다"며 "그게 고등교육의 가장 중요한 문제점으로 지적돼 온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무전공 학과를 늘리기 위해 관련 정책도 마련했다. 이 부총리는 지난해 대학혁신지원사업 예산(8852억 원)의 50%(4410억 원)를 인센티브로 활용해 무전공 확대를 유도해왔다.
이에 대학들이 무전공 모집 정원을 크게 늘렸지만 등록을 포기하는 학생 수가 속출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수도권 대학 51곳 중 38곳과 국립대 22곳 중 15곳이 무전공 선발 비율을 25% 이상 확대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무전공 선발 전형에 국한된 문제가 아닌 인문과 자연, 모든 성적대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변수로 부상할 것"이라며 "무전공 선발 전형 미등록 대량 발생으로 합격선 예측은 사실상 불가능할 정도로 입시에 큰 혼란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우려했다.
aaa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