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국 보훈의 달' 6월의 꽃
[서울=뉴스핌] 이영태 외교안보선임기자 =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유흥업소가 문을 닫는 날이 있다. 바로 6월 6일 현충일이다.
최근에는 경기도 어려워지고 현충일의 의미도 퇴색해서인지 영업하는 유흥업소가 많아지긴 했지만 과거에는 룸살롱이나 나이트클럽들도 이날만은 문을 닫고 경건한 하루를 보냈다.
포털에서 현충일 에피소드를 찾아보니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현충일 당일에는 지상파 방송사들이 주요 예능 프로그램을 결방하고 대신 전쟁 영화나 드라마, 다큐멘터리를 편성했다. 최근에는 정규 편성표에 있는 예능은 특별한 경우가 아닌 한 대체적으로 정상 방송하며, 오후 시간대에 특선 영화 등을 방영한다.
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 프로야구 KBO 리그에서도 현충일 당일에는 응원단장과 치어리더 등 응원단의 동원을 자제하는 편이다. 이날에는 아예 응원단이 나오지 않거나 응원단장과 북을 치는 고수 정도만 파견해서 응원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또 현충일에 홈경기를 치르는 팀은 MLB에서 전래된 전투복 무늬의 밀리터리 유니폼을 입고 경기를 치르곤 한다.
그래서 모든 국가기념일 중에서도 가장 경건한 날로 기리는 현충일의 의미와 유래를 살펴봤다.
현충일(顯忠日)은 '충렬을 드러내는 날'이라는 뜻이다. 국토방위에 목숨을 바친 이들의 충성을 기념하는 날이다.
현충일은 1956년 4월 19일 6·25 참전용사를 비롯해 국가를 위해 희생한 이들을 추모하는 의미에서 대통령령 제1145호로 '현충기념일'로 제정됐다. 이후 1975년 1월 27일 대통령령으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돼 '현충일'로 공식 개칭됐다. 1982년 5월 15일에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을 통해 정부기념일로 제정됐다.
현충일은 국가 기념일일 뿐 국경일은 절대 아니다. 국경일은 '국가의 경사스러운 날'을 가리키는 말이다.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애국자들을 추모하는 현충일은 오히려 '국가 추념일'이라 불러야 한다. 6·25전쟁이 발발한 6월이 '호국 보훈의 달'이라 불리는 이유 중 하나이며, 현충일은 '6월의 꽃'이라 불리기도 한다.
현충일은 어디서 유래했을까? 국가보훈부(옛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6월 6일이 현충일로 지정된 것은 망종(亡種, 곡식의 씨를 뿌리는 날)과 관련이 있다.
예로부터 망종은 벼와 같이 수염이 있는 곡식의 종자를 뿌리기에 적당한 때로 알려져왔다. 농경 사회에서 보리를 수확하고 모내기를 시작하는 망종은 가장 좋은 날이라, 국가를 지킨 영웅들에 대한 예를 갖추는 일을 망종에 진행해왔다는 것이다.
옛 기록을 보면 고려 현종 때에는 조정에서 장병들의 뼈를 그들의 집으로 가져가서 제사 지내도록 했고, 조선시대 때는 6월 6일에 병사들의 유해를 매장했다고 한다. 국가보훈부는 고려 현종 5년(1014년) 6월에 반포한 교서를 근거로 현충일을 6월 6일로 정한 것이라 설명한다.
다만 나무위키는 국가보훈부 주장은 음력 6월 6일자 기사를 전제한 것으로 이를 그레고리력으로 변환하면 양력 7월 5일이 된다며 현충일이 양력 6월 6일로 지정된 것과는 관련이 없다고 지적한다.
또 고려 현종이 반포한 교서는 향후 매년 정기적으로 사망한 군인을 추모하는 것을 정례화한다는 내용이 아니라, 타지에서 사망한 병사와 무연고 사망자의 시신을 수습하는 일종의 매뉴얼을 정한 것이라는 점에서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친 이를 추모하는 현충일과는 큰 관련이 없다고 반박했다.
유래야 어찌 됐든 현충일은 지금 우리가 살아 숨쉬고 있는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호국영령들을 기념하는 날이라는 점에서 단순히 쉬는 날만은 아니다.
1년에 단 하루 현충일만이라도 내가 살고 있는 이 나라가 얼마나 소중하고 중요한지 생각하는 시간이 됐으면 좋겠다.
[대전=뉴스핌] 오영균 기자 = 대전도시공사는 지난 25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참배와 봉사활동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봉사활동은 임직원 100여 명이 호국보훈 의미를 되새기기 위해 천안함46용사묘역, 장병묘역 등 총 6개 묘역 5천기 이상 분묘에 태극기를 꽂고 주변 정화활동에 나섰다. [사진=대전도시공사] |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