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스포츠 해외스포츠

속보

더보기

'첫 겨울 월드컵' 카타르, 300조원 투입 '최첨단 구축'

기사입력 : 2022년11월24일 20:07

최종수정 : 2022년11월24일 20:09

[서울=뉴스핌] 박두호 기자 = 카타르 월드컵은 최초라는 수식과 어울린다.

중동에서 열리는 첫 월드컵이자 처음으로 겨울에 열린 월드컵이기도 하다. 그동안 중동 국가에서 월드컵이 열리기 힘들었던 것은 온도 때문이다. 여름 낮 기온이 평균 섭씨 40도이며, 겨울에도 30도를 훌쩍 넘는다. 그렇지만 카타르는 최첨단 시스템으로 월드컵 경기장을 개편했다.

[카타르 로이터=뉴스핌] 박두호 기자= 카타르 월드컵 경기장 전경. 2022.11.24 walnut_park@newspim.com

카타르의 월드컵 경기장 8개 중 스타디움947을 제외한 7개 경기장이 냉방 시스템이 구축돼 있어 21도를 유지한다. 월드컵 경기장에는 200개 가량의 구멍에서 차가운 에어컨이 뿜어져 나오는 것이다. 전기를 낭비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지만 카타르는 사막을 이용했다. 사막에서 쏟아지는 햇빛으로 전기를 만들고 이를 냉각수로 돌려 전력 낭비를 줄였다.

또 카타르는 최초 '반자동 오프사이드 판독기술'(SAOT·Semi-automated offside technology)을 도입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스포츠연구소와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가 개발한 기술로 경기장 지붕 아래에 카메라 12대를 설치해 경기장에 있는 선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신체 부위도 측정할 수 있다. 공인구인 '알 랄라'에도 과학 기술이 접목됐다. 공안에 공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관성측정장치(IMU)가 탑재돼있다.

오프사이드가 의심되는 상황이 나오면 오프사이드 판독기술은 VAR 판독관에게 자동으로 오프사이드 경고 신호를 보내고, 판독관은 선수들의 위치를 추적해 오프사이드를 확인한다. 오프사이드 판독기술은 오프사이드 라인과 선수 위치를 3D 그래픽으로도 보여주기 때문에 더 정교하게 판독할 수 있다. 축구 팬들도 오프사이드 판정을 신뢰할 수 있게 됐다.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전경. 2022.11.24 walnut_park@newspim.com [사진= 카타르월드컵 조직위]

첨단 기술 도입은 실제 경기에도 영향을 주었다. 아르헨티나와 사우디아라비아 경기에서 아르헨티나는 4골을 넣었으나 3골이 오프사이드 판정을 받았다. 사람이 판정을 보는 것보다 더 정교하게 판독한 결과다. 사우디아라비아도 오프사이트 트랩을 수비 전술로 활용해 기술과 전술이 맞아 떨어진 것도 승리 요인 중 하나다. 

카타르 경기장은 냉방 시스템, 오프사이드 판독 기술이 갖춰진 최첨단 시설이다. 여기에 경기장 내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AI 기술까지 적용했다. AI 기술을 활용한 안면 인식 기술은 경기장 내 위험 인물을 사전에 차단한다. 경기장에 출입하는 관중과 신원 확인 어플리케이션에 올려진 여권 정보를 대조해 신원을 확인한다. 또 군중 밀집 정도를 측정해 압사 사고도 예방한다. 카타르 경기장에는 1만 5000대에서 2만 대 가량의 보안 카메라가 설치돼 있으며 중앙 통제센터는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기장 안전을 지킨다.

카타르는 성공적인 월드컵을 치르기 위해 2010년 월드컵 유치 결정 이후 12년 동안 약 300조 원을 들여 준비했다.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부터 2018년 러시아 월드컵 개최 비용을 모두 합친 비용보다도 4배나 많은 규모다.

walnut_park@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부지법 난동' 4명 오늘 선고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지난 1월 서울서부지법 난동 사태 당시 언론사 취재진을 폭행하거나, 법원에 난입하는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들에 대한 법원의 선고가 16일 내려진다. 서울서부지법 형사합의11부(재판장 김우현)는 이날 오전 10시 우 모 씨 등 4명의 선고기일을 연다. 지난 1월 19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 청사 유리창과 벽면이 파손되어 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 구속영장이 발부되자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서울서부지법에 난입해 유리창을 깨고 집기를 훼손하는 등 난동을 부려 경찰이 강제진압에 나섰다. [사진=뉴스핌 DB] 우 씨는 지난 1월18일 서부지법에서 취재 중이던 MBC 취재진에게 가방을 휘둘러 전치 2주의 상해를 입힌 혐의를 받는다. 남 모 씨와 이 모 씨는 시위대를 법원 밖으로 이동시키려던 경찰을 폭행한 혐의(공무집행방해 등)를 받는다. 안 모 씨는 서부지법 경내에 들어간 혐의(건조물침입)다. 지난 30일 결심공판에서 검찰은 우 씨, 남 씨, 이 씨에게 징역 1년 6개월, 안 씨에게 징역 1년을 구형했다. 피고인들은 모두 죄를 반성하며 선처를 호소했다. 앞서 '서부지법 난동' 첫 판결이 나온 지난 14일, 서부지법 형사6단독 김진성 판사는 특수건조물침입 등 혐의를 받는 김 모 씨와 소 모 씨에게 징역 1년 6개월과 징역 1년을 각각 선고했다. chogiza@newspim.com 2025-05-16 07:26
사진
사직 전공의 복귀 수요조사 마무리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대한수련병원협의회가 정부에 전공의 복귀를 위한 '5월 추가 모집'을 공식 건의할 예정이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공의 수련병원 단체인 대한수련병원협의회는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복귀 희망 여부를 조사한 설문 결과를 마무리했다.  복지부는 지난 7일 이달 중 복귀를 원하는 사진전공의를 대상으로 복귀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공의 수련은 3월과 9월에 각각 상·하반기 일정을 게시한다. 만일 사직전공의가 하반기 모집에 맞춰 복귀하면 다음 해 2월에 실시되는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이에 일부 사직 전공의들이 복귀할 방안을 요구했고, 복지부가 추가 모집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다만 복지부는 복귀 의사가 확인돼야 추가 모집을 검토하겠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정부가 복귀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는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추가 모집을 실시할 예정이다. 사진은 6일 서울시내 한 대학병원의 의료진 모습. 2025.02.06 yooksa@newspim.com 이에 따라 수련병원협의회는 사직 전공의 복귀 의사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 8일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에 참여한 전공의 중 절반가량은 '조건부 복귀'를 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재논의, 제대 후 복귀 보장 등을 조건으로 내세웠다. 아직까지 실제 복귀 의사를 밝힌 사직 전공의는 미미한 수준이다. 앞서 대한의학회가 시행한 설문 조사에서 복귀 의사를 밝힌 사직 전공의는 300명에 불과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수련 병원에서 근무 중인 전공의는 올해 3월 기준 1672명으로 지난해 전공의 집단 사직 이전 1만3531명 대비 12.4% 수준이다. 전공의 사직 이전의 50%(6765명)까지 돌아오려면 최소 5093명이 돌아와야 한다. 익명을 요청한 한 사직 전공의는 "바뀐 게 없는데 복귀하겠느냐"며 "복귀하지 않겠다는 전공의가 대부분"이라고 상황을 설명했다. 한편, 복지부는 의료 단체들의 설문 조사 결과를 받은 후 추가 모집 결정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다만 복귀 마지노선이 5월인 점을 감안해 조속히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오늘 오후 기준 전달 받은 설문 결과는 없다"며 "설문 조사 결과를 받게 되면 검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sdk1991@newspim.com 2025-05-14 17:1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