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크로 전략 인기...에쿼티헤지 전략은 부진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글로벌 금융시장이 올해 들어 급격한 변동성을 연출하면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과를 보인 헤지펀드들로 자금 유입이 봇물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헤지펀드 조사업체 헤지펀드리서치(HFR)에 따르면 올 1분기 헤지펀드로 유입된 자금은 198억달러(약 25조원)로 2015년 2분기 이후 최대 분기 유입액을 기록했다.
그 중에서도 운용액이 50억달러가 넘는 대형 헤지펀드들이 168억달러를 흡수하며 높은 인기를 증명해 보였다. 운용액이 10억~50억달러 수준인 펀드로는 23억달러가 유입됐고, 10억달러 미만의 헤지펀드로는 7억2300만달러의 자금이 들어왔다.
천정 부지 인플레이션과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주요 주식 및 채권 시장이 1분기 중 5~10% 수준의 하락을 경험하는 사이 헤지펀드들이 기록한 수익 성과와 자본 보전 능력은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글로벌 대형 펀드들의 성적을 보여주는 HFRI 500 펀드가중종합지수는 1분기 중 0.3% 올라 같은 기간 900bp(1bp=0.01%p) 넘게 떨어진 나스닥지수나 500bp 이상 밀린 S&P500지수 대비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총 2000개 이상의 펀드를 분석하는 HFRI의 펀드가중종합지수도 같은 기간 0.78% 하락하는데 그쳐 비교적 선방했다는 평가다. 해당 지수는 3월 중에만 1.4% 올랐고 작년에는 10% 넘는 수익을 올렸다.
HFR은 글로벌 헤지펀드 업계 내 전체 자본이 3월 말 기준으로 4조달러가 넘는 수준이며, 코로나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0년 1분기 3조달러 밑으로 떨어진 이후 지난 8개분기 동안 자산 규모는 30% 넘게 불어났다고 강조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 트레이더 [사진=로이터 뉴스핌] |
◆ 매크로 전략 인기…에쿼티헤지 전략은 부진
특히 이러한 헤지펀드 자금 유입과 성과는 변동장에서 강세를 보이는 매크로 전략 중심의 헤지펀드들이 주도했다.
글로벌 매크로 전략이란 환율이나 금리 등 거시(macro) 변수에 대한 세계 각국의 정책 변화를 예상해 채권 외환 상품시장 등에 투자, 고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으로 시장 변동성이 커질수록 수익이 극대화되는 특징이 있다.
HFRI 500 매크로지수는 1분기 중 9% 넘는 수익을 올렸다. 특히 HFRI 500 매크로의 시스템분산형지수(Systemic Diversified Index)는 12% 가까이 올랐고, 상품지수(Commodity Index)는 24%가 치솟았다.
관련 펀드 수익과 신규 자금 유입에 따라 거시전략 관련 헤지펀드 자산 규모는 1분기 중 400억달러가 늘었고, 그 중에서도 추세를 추종하는 추세추종매매(CTA)가 특히 강세를 보였다.
HFR 분석에 따르면 CTA는 1분기 중 278억달러 수준의 수익을 올렸고, 33억달러의 신규 자금을 유치했다.
올해 들어 금리 변동성도 극도로 고조되면서 신용 및 금리에 민감한 채권 기반 상대가치 차익거래(RVA) 전략으로도 149억달러의 자금이 유입돼 전체 운용액이 1조달러를 넘겼다.
지난 1분기 중 HFRI 500 상대가치형(RV) 지수는 1.73% 올랐고, 그 중 멀티전략형 지수는 7.1% 뛰었다.
반면 롱숏 스타일이 주특기인 에쿼티헤지 전략은 1분기 중 4% 넘게 빠졌고, 이벤트 참여형 전략은 2.1% 손실을 기록했다.
에쿼티헤지 전략 중에서는 헬스케어와 기술주 관련 전략들이 각각 8.5%, 6.4% 떨어지며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다. 반대로 에너지와 원자재 지수는 9% 넘게 올랐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