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년까지 노후화·수질악화 등 대비
정수센터 용량 증설·상수도관 정비 계획
취수원 이중화로 원수 구입비 4배 절감
업무·시설관리 전반에 4차산업기술 활용
[서울=뉴스핌] 최아영 인턴기자 = 서울시가 수질 사고를 대비해 수돗물 생산량을 확대하고 4차산업기술을 활용한 체계적인 관리·업무 전반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미래 수돗물 수요량을 예측하고 그에 따라 노후·취약 시설을 과학적으로 정비해 수질 사고를 선제 대응한다. 또 한강 등 저렴한 물을 정제해 비용 절감 및 안정적인 공급을 추진한다.
시는 4일 급수환경 및 기후 변화에 대비한 '2040 서울수도정비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수도정비기본계획은 시 상수도 정책의 가장 기본이 되는 종합계획이다. 20년 단위로 목표를 지정해 수도법 제4조에 따라 10년마다 수립하고 5년마다 재검토·보완한다.
[서울=뉴스핌] 서울 구의아리수정수센터의 모습. [사진=서울시] 2022.04.04 youngar@newspim.com |
이번 계획은 2013년에 수립한 '2030 수도정비기본계획'을 대체하며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구체화·실행할 예정이다. ▲기후 변화로 인한 원수 수질 악화 ▲정수센터의 시설 노후화 ▲각종 수질사고 등 잠재적 위험요소를 반영하고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방안이 담겼다.
이를 위해 '시민과 소통하는 고품질의 스마트 아리수'를 비전으로 삼았다. 주 내용으로는 ▲고도정수처리시설 용량 추가 확보 ▲취수원 팔당·한강 이중화 ▲상수도관·정수센터 체계적 정비 ▲4차산업 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업무·시설 관리 등이 있다.
◆ 수돗물 수요량 전망 따른 생산량 확대·한강물 활용
먼저 시는 2040년까지 고도정수처리시설 용량을 80만톤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고도정수처리는 일반 정수처리 과정에 오존처리 및 입상활성탄(숯) 흡착과정을 더한 것으로 수돗물 특유의 맛과 냄새 제거에 탁월하다. 현재 시의 정수처리시설은 모두 고도정수처리과정으로 바뀌었다.
시는 인접 도시에도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다. 2021년 12월 기준 인접 4개 도시(구리·남양주·하남·광명)의 일부 지역에 시 수돗물 일평균 생산량의 4%에 해당하는 13만톤을 공급 중이다. 이에 시는 인접 도시 대규모 개발에 따라 일 최대 수돗물량이 지난해 337만톤에서 2030년 최대 361만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시는 하루 380만톤의 고도정수처리시설 용량을 확보해 약 89%를 가동하고 있다. 이에 용량을 추가 확보해 환경부가 제시하는 정수장 적정 가동률인 75%를 목표로 잡고 미래 수돗물 공급량 증감에 대비한다.
특히 전체의 22%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는 경기 남양주의 '강북아리수정수센터'의 생산량을 25만톤 증설한다. 강북아리수정수센터 생산량 증설은 환경부 승인 문제로 보류됐으나 이번 계획에서는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향후 예상 수요량 대비 부족한 시설 용량을 확보해 더욱 안정적이고 안전한 생산·공급 기반을 조성한다. 물 사용량이 많은 여름철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도 기대된다.
또한 취수원을 이중화해 안정적 확보 및 원수 구입비를 절감한다. '광암아리수정수센터'는 수돗물의 재료인 원수를 한강(톤당 52.7원)보다 4배 이상 비싼 팔당댐(톤당 233.7원)으로부터 단일 공급받았다. 이에 암사취수장으로부터 도수관로를 신설해 값이 저렴한 한강 물도 취수할 예정이다. 이 경우 취수원 한 곳에서 사고가 발생해도 다른 취수원에서 원수를 안전하게 공급받을 수 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수돗물 유충' 불안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23일 오전 서울 영등포 아리수정수센터에서 수질검사를 위해 활성탄지 시설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2020.07.23 pangbin@newspim.com |
◆ 4차산업기술 활용한 체계적 관리·비용 절감
더불어 시설 노후화로 인한 수질 사고에 대비해 수돗물 공급계통과 생산시설의 체계적 정비도 진행한다.
공급계통 수질관리 강화를 위해 2040년까지 사용연수 30년 이상의 장기사용 상수관로 3073km를 단계적으로 교체·정비한다. 수질뿐 아니라 단수 등 각종 사고를 예방하고자 주요 상수관로 84km에 복선화 사업도 병행 추진한다.
생산시설의 장기적인 정비 방안도 수립했다. 현재 서울시가 운영 중인 정수센터 대다수가 1980~90년대에 건설됐다. 이에 사용연수가 30년이 넘고 대형화·밀집화 된 이들 센터를 중장기적으로 개량하고 유지·관리한다는 계획이다. 노후 센터의 정비안은 구체화해 2030년 상반기에 발표할 예정이다.
아울러 상수도 업무 전반에 정보통신기술(ICT),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분석기술 등을 활용한다. AI로 정수센터의 수돗물 생산 공정을 자동화하고 원격검침 계량기를 확대 도입해 실시간 물 사용량을 과학적으로 관리·분석한다.
상수도 시설물 이력도 과학적으로 관리해 시설물 생애주기에 따른 선제적 유지관리를 실현한다. 기존에는 사용 연수에 따른 연차적 유지보수를 시행하는 사후적 대응형 관리를 진행했다. 향후에는 개별 시설물의 안전 진단 결과 및 보수·보강 이력 등에 따라 선제적 관리로 전환해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한다.
한편 시는 올해 주요간선 송수관로 안정화를 위해 '대심도 송수터널' 사업 타당성 조사에 착수한다. 사고에 취약한 송수관로의 지하 40m 이상 대심도 터널화를 통해 수돗물 생산 및 공급에 있어 내외부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비한다는 계획이다.
구아미 상수도사업본부장은 "향후 20년의 상수도는 기후위기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첨단기술을 활용한 시설관리를 실현하는 등 큰 전환의 시기를 맞이할 것"이라며 "고품질 수돗물에 대한 기대감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시민과 소통하는 상수도가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youngar@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