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전신인 호남석유화학입사…그룹 내 최고 석화 전문가
올 상반기에만 1조원 흑자…실적 회복 성과 인정 받아 승진
[서울=뉴스핌] 박지혜 기자 = 김교현 롯데그룹 화학BU장 겸 롯데케미칼 대표이사 사장이 화학군 총괄대표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롯데그룹은 25일 이사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정기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그룹 내 최고 석유화학 전문가로 꼽히는 김 부회장은 코로나19 사태 이전으로 실적을 회복한 성과를 인정받아 승진에 성공했다. 지난해 충남 서산 소재 대산 공장 화재로 적자를 면치 못했던 롯데케미칼은 올해 상반기에만 1조원이 넘는 흑자를 냈다.
롯데 그룹은 기존의 사업 부문(Business Unit·BU) 체제에서 산업군(Head Quater·HQ) 체제로 바꾸기로 했다. 이에 따라 김 부회장은 화학 HQ장이 된다. 수소사업을 비롯한 친환경 신사업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김교현 롯데그룹 화학군 총괄대표 부회장 [사진=롯데그룹] |
◆ LC타이탄 성장이끈 해결사…코로나19 이전으로 실적 회복
김 부회장은 1957년생으로 중앙대 화학공학과를 나왔다. 1984년 롯데케미칼의 전신인 호남석유화학에 입사해 사장까지 오른 '정통 화학맨'이다.
2017년 롯데케미칼 사장에 오른 데는 타이탄의 성장을 이끈 공로가 컸다. 2010년 인수한 말레이시아 LC타이탄은 영업손실과 순손실을 내면서 롯데케미칼의 골칫덩이로 자리잡았다. 이에 2014년 초 당시 부사장이었던 김 부회장은 LC타이탄 대표 자리를 맡으며 수익성을 대폭 끌어올렸다.
이후 2017년부터 2018년까지 롯데케미칼 대표를 맡았다. 2019년부터 롯데그룹 화학BU장을 역임했으며 지난해부터는 롯데케미칼의 통합대표이사도 겸직하고 있다. 지난해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으로부터 재신임을 받아 연임에 성공한 바 있다.
연임이 결정되던 시기였던 지난해 직전연도 대비 매출액이 19.18% 줄면서 혹독한 시기를 겪었으나, 올해 실적 개선을 이끌어냈다.
롯데케미칼은 올해 상반기에 2018년 상반기 이후 3년 만에 반기 영업이익 1조원을 달성했다.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288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8% 증가했다. 매출액은 4조4419억원으로 45.9% 늘었다.
김 부회장은 지난 2월 롯데그룹 화학BU장으로서 2030년까지 친환경 사업 매출 6조원을 달성하고 탄소중립 성장을 추진하겠다는 '그린 프로미스 2030'을 발표했다.
◆ 수소사업 필두로 친환경 신사업 가속화
김 부회장은 수소사업을 필두로 폐플라스틱 재활용 사업 등 친환경 신사업에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김 부회장은 올해 초 신년사를 통해 "회사가 글로벌 석유화학회사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과감한 투자 의사결정과 세계 최고 수준의 운영능력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기존 사업가치를 보존하는 동시에 신사업 기회를 모색하는 일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그룹의 수소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롯데케미칼은 지난 7월 수소사업에 대대적인 투자를 예고했다. 2025년까지 2조원을 투입하고 2030년까지 2조2000억원을 투입해 모두 4조4000억원을 수소에 투자한다는 내용의 '친환경 성장 로드맵'을 발표했다. 2030년까지 탄소중립 성장을 달성해 국내 수소 수요 중 30%를 공급한다는 목표로, 3조원의 매출과 10% 수준의 영업이익율을 실현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지난 9월에는 ESG 위원회를 신설하고 국내 화학사 최초로 500억원 규모의 ESG 전용 펀드를 조성했다. 이는 그린 프로미스 2030 친환경 전략의 실행을 가속화하고 투자를 실행하고자 조성됐다. ESG펀드는 청정수소 생산,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플라스틱 재활용, 에너지 효율화 등 탄소중립 분야에 집중 투자해 친환경 전략 실현을 위한 핵심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김 부회장은 수소사업 청사진을 구체화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 7월 로드맵을 통해 2030년까지 청정수소 60만톤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7만톤 수준의 부생수소를 생산 중이며 이 중 3만톤을 외부에 판매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올해 3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신재생에너지 비용이 비싼 국내에서는 경쟁력 있는 그린수소 생산이 어려워 수소사업 계획 초기부터 해외지역에서 그린수소를 생산해 암모니아 형태로 운반, 국내에 공급하는 밸류체인 모델을 검토했다"며 "현재 말레이시아에서 삼성엔지니어링, 포스코 등과 파트너십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SK가스와 손잡고 연내 합작회사를 설립해 수소충전소 사업을 추진한다. SK가스가 보유한 기존 액화석유가스(LPG) 충전소를 활용해 2025년까지 액체 수소충전소 50개를 구축한 뒤 이를 2030년까지 20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wisdo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