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9/22 중국증시종합] 풍력발전·전력 섹터 강세 속 '혼조 마감'

기사입력 : 2021년09월22일 17:23

최종수정 : 2021년09월22일 18:58

상하이종합 상승, 선전·창업판 하락 마감
상하이·선전 거래액 44거래일째 1조 위안선
2015년 43거래일의 역대 최장 기록 갈아치워

상하이종합지수 3628.49 (+14.52, +0.40%)

선전성분지수 14277.08 (-82.28, -0.57%)

창업판지수 3164.33 (-28.93, -0.91%)

[서울=뉴스핌] 조윤선 기자 =중추절(중국의 추석, 9월 19~21일) 연휴가 끝난 후, 첫 거래일인 22일 중국 A주 3대 지수가 혼조 마감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4% 오른 3628.49포인트를 기록했다. 반면 선전성분지수는 0.57% 내린 14277.08포인트로, 창업판지수도 0.91% 하락한 3164.33포인트로 장을 마쳤다.

상하이와 선전 양대 증시 거래액은 1조 1527억 위안으로 44거래일 연속 1조 위안을 웃돌았다. 이로써 지난 2015년 5월 8일~7월 8일까지 43거래일 연속 상하이·선전 거래대금 1조 위안 돌파라는 역대 최장 기록을 깼다.

섹터 중에서는 풍력발전 섹터가 무더기 상한가를 기록하며 강세를 주도했다. 상해전력(600021), 절강신에너지(浙江新能·600032), 화능국제전력(600011), 절능풍력발전(601016), 중전전기(中電電機·603988), GCL에너지(002015), 동방전기(600875) 등 다수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하며 거래를 마쳤다.

최근 베이징에서 열린 '제4회 풍력개발기업 리더 좌담회'에서 국가에너지국이 공개한 풍력발전 사업 계획이 해당 섹터에 호재가 됐다.

이날 국가에너지국은 14차 5개년(2021~2025년) 계획 기간 추진할 사업 내용으로 △ 3북 지역(동북·화북·서북지역)의 풍력발전 기지 최적화와 규범화 개발 △ 서남지역의 수력발전을 연계한 수력·풍력·태양광 종합기지 개발 △ 동남지역의 근거리 풍력발전소 개발 및 농촌지역 풍력발전 확대 사업인 '천향만촌어풍계획(千鄉萬村馭風計劃)' 시행 △ 동부 연해지역 해상풍력발전 집중 개발 △ 노후 풍력발전소 개조 등을 언급했다.

광대증권(光大證券)은 향후 늘어나는 수요가 풍력발전 섹터의 상승 동력이 될 것으로 진단했다. 청정에너지 기지와 해상풍력발전기지 건설, 농촌의 풍력발전 보급 확대 등 사업 추진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노력 속 향후 5년간 풍력발전 설비 설치 용량이 연간 50GW(기가와트) 이상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전력 섹터도 눈에 띄는 상승세를 나타냈다. 대표적으로 하남평고전기(600312), 허계전기(許繼電氣·000400), 혜천열전(惠天熱電·000692), 국투전력(600886), 창란전기(002879) 등 다수 종목이 상한가를 쳤다.

전력 섹터 관련 잇단 정책 호재가 해당 섹터의 주가 상승 동력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16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단위 GDP당 에너지 소비 및 총량 더블 컨트롤 제도 보완 방안'에 관한 통지를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해당 방안 시행에 따라 태양광, 풍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가 급격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광둥성을 예로 들면, 석탄 화력발전 규모를 합리적인 수준으로 통제하는 대신 해상풍력발전, 태양광발전 등 신재생에너지를 대대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앞서 10일 국가에너지국이 발표한 농촌지역 풍력발전 확대 사업인 '천향만촌어풍계획(千鄉萬村馭風計劃)'도 전력 섹터에 호재가 됐다.

'천향만촌어풍계획'은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분산형 풍력발전 사업을 대대적으로 추진하는 계획이다. 중국풍력에너지협회는 전국 69만 곳의 농촌 중 10만 곳에 지역마다 200㎡의 부지에 2대의 5MW(메가와트) 규모 풍력발전기를 설치한다면, 전국적으로 1000GW(기가와트, 1GW=1000MW) 규모의 풍력발전 설비용량을 갖출 것으로 추산했다.

이밖에도 석탄, 가스, 방위산업, 석유, 공사기계, 물류, 철강, 부동산 등 섹터가 강세를 연출했다.

반면 고량주 섹터는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대표적으로 고정공주(000596), 양하양조(002304)가 5% 이상의 낙폭을 보이며 하락 마감했고, 업계 대장주인 귀주모태(600519)도 3% 가까이 하락한 1637.69위안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외에도 농업, 은행, 보험, 관광, 식품음료, 증권 등 섹터가 약세를 나타냈다.

안신증권(安信證券)은 중추절 연휴 기간 미국 뉴욕 증시를 비롯한 세계 증시가 일제히 급락하면서 전 세계적인 위험 회피 심리 고조로 A주 증시도 단기간 등락을 거듭하며 조정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의 통화정책 방향을 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와 미국의 부채한도 상향 문제 등 외부 요인은 단기적인 것으로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작을 것으로 예상했다. 따라서 중추절 연휴 이후 나타나는 조정장이 오히려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판단, 탄소중립과 관련한 태양광, 신재생에너지 분야를 비롯해 방위산업, 전기차, 반도체, 증권, 전정특신(專精特新, 전문성·정밀성·특수성·혁신성)을 갖춘 중소기업 등에 주목할 것을 조언했다.

한편, 중국 A주 증시는 중추절 연휴를 마치고 22일 개장했지만 홍콩 증시는 이날 휴장이었던 관계로, 홍콩을 거쳐 본토 A주로 투자하는 후·선강퉁 거래는 23일부터 재개된다. 

[그래픽=텐센트증권] 9월 22일 상하이종합지수 주가 추이.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