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문화·연예 문화·연예일반

속보

더보기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는 '조형아트서울 2021' 16일 개막

기사입력 : 2021년05월03일 14:05

최종수정 : 2021년05월03일 14:05

국내외 700여명 작가 참여, 2500여점 작품 선봬
국내 2022 프리즈 상륙 대비, 신진 작가 작품 홍보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조형아트서울 2021'이 코로나19 상황에서도 흔들림 없이 '새로운 시대'를 기다리며 오는 16일부터 19일까지 코엑스 1층 B홀에서 개막한다.

지난해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도 관람객 2만명을 동원하며 성황리에 막을 내린 조형아트서울은 올해 '새로운 시대'를 테마로 문을 연다. 코로나19를 기점으로 달라진 아트페어의 의미를 담으면서 내년에 코엑스에서 개최될 세계 3대 아트페어 중 하나인 영국 프리즈를 앞둔 각오를 비친다. 청작화랑, 서정아트센터, 비앙 갤러리, 이정 갤러리, 갤러리 화이트원, 갤러리 오&송파리 등 89개 갤러리와 단체가 참여하며 국내외 작가 700여명의 조각, 유리, 미디어아트, 설치, 회화 등 2500여점 작품을 선보인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2020 조형아트서울 전시장 [사진=조형아트서울] 2021.05.03 89hklee@newspim.com

신준원 조형아트서울 대표는 3일 서울 달개비 컨퍼런스에서 열린 '조형아트서울 2021' 간담회에서 전시 주제 '새로운 시대'와 관련해 언급했다. 

신준원 대표는 "코로나 시대로 새로운 국면을 맞았고, 이와 더불어 영국 프리즈가 내년에 국내에 들어온다는 이야기가 있어 향후 달라질 미술 환경을 앞두고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비대면 시대를 맞아 '조형아트서울'은 온라인과 모바일을 활용한 소통을 강화한다. 이번 전시는 공식 홈페이지를 새롭게 리뉴얼해 온라인쇼를 개최한다. 이곳에서는 '조형아트서울'이 강조하고 싶은 작품들을 행사 종료 이후까지 참여작가와 작품을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현장 티켓뿐만 아니라 모바일 티켓을 발행도 진행한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권치규(KWON Chi Gyu) 이수목(Circlation) 2,320 x 800 x 5,000 (H) mm, 1ea, 800 x 800 x 2,000 (H) mm, 2ea, stainless steel, Urethane Paint, 2020 [사진=조형아트서울] 2021.05.03 89hklee@newspim.com

내년 프리즈 개최 전 K-Art의 대비를 위해 신진작가 33인의 특별전 'K-Pop Sculpture 33인전'이 마련됐다. 참여 작가는 김성복, 권치규, 박찬걸 교수가 추천한 33명으로 김병규, 김지영, 김재호, 신채훈, 박지선, 오누리, 신필균, 변경수 등이 참여한다. 

신준원 대표는 "내년 영국의 프리즈 아트페어가 코엑스에 상륙해 국내 작가들도 세계무대로 전진할 기회로 보인다"면서도 "프리즈를 대비해 신진작가들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전시"라고 소개했다. 이어 "독립운동가 33인의 정신을 담아 기획했다"며 "한국조각을 세계에 알릴 조각가들이 되기를 염원한다"고 덧붙였다.

조형아트서울 운영위원장 손성례 대표는 "조형아트서울 2021은 신진작가들을 위한 등용문"이라며 "더 많은 기회가 닿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김병규 KIM BYUNG KYU 유희-그녀 Play-Her 500x200x200mm Stainless Steel Marble.2021 [사진=조형아트서울] 2021.05.03 89hklee@newspim.com

대형조각 특별전도 펼쳐진다. 야외 조각공원에서만 만날 수 있는 대형 조각 작품이 전시되며 이를 필요로 하는 기업에게 실제로 보고 선택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제공한다.

이중 권치규 작가의 '이수목' 작품은 LED잎을 가진 5m 높이의 나무 형태 조각품이다. '이수목'은 물로 인해 생명을 싹틔운다는 의미로 자연의 순환을 의미한다. 보통 물은 위에서 아래로 흐르지만, 나무는 뿌리에서 물을 빨아들이며 아래서 위로 에너지를 확산시킨다. 나무의 에너지를 순환을 형상화하는 이 작품은 실제로 작품의 가장 아래 부분은 앉을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돼 있어 관람객들에게 쉼의 공간을 제공하며 시선을 끌 것으로 보인다.

VIP 특별전도 준비돼 있다. 오민수, 현덕식, 용환천, 김희진, 최창임, 박수진, 이기라, 김선우 작가가 참여한다. 제주도 작가 오민수는 '산수이상'을 통해 햇빛이나 달빛에 비치어 반짝이는 잔물결을 형상화한 작품으로 관객과 만난다.

손 대표는 조형아트서울에 대해 "회화에 치우친 페어를 확장하는 행사"라며 미술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와서 3차원적인 작품을 보며 감동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대형조각도 실내에 좋는게 쉽지 않다"며 "화랑미술제 이후로 좋은 바람이 일고 있는데, 조형아트서울이 미술계에 이러한 흐름의 바톤을 이어주는 좋은 행사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89hklee@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