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盘点2020年韩国娱乐圈十大热点新闻(下)

기사입력 : 2020년12월29일 08:00

최종수정 : 2020년12월30일 07:08

2020年是个特殊的一年,新冠病毒(COVID-19)肺炎疫情持续蔓延,令韩国多个行业受到冲击和转型,娱乐圈便是其中之一。在与2020年告别之际,韩国纽斯频(NEWSPIM)通讯社特别梳理了令人印象深刻的娱乐圈十大新闻,回顾值得记忆的闪光点。

"演歌之风"盛行

                     
《Miss Trot》海报。【图片=TV朝鲜提供】

由韩国有线电视台TV朝鲜制作的演歌选秀节目《Miss Trot》自去年播出以来受到好评,"演歌之风"持续至今年。

当前的音乐节目大多数针对年轻观众,而《Miss Trot》起初放眼中老年观众,随着节目播出,成为男女老幼青睐的"国民音乐节目"。受益于此,节目最高收视率达35.7%,这对有线电视台来说堪称"收视奇迹"。

不仅如此,出演该节目的歌手也在多领域得到长足发展,先后接到其他电视台的出演邀约和广告邀约,成为炙手可热的演歌新星。

◆朴智宣去世 

                     
朴智宣。【图片=网络】

韩国知名谐星朴智宣11月2日被发现死于首尔市麻浦区家中。尤其是第二天就是她的生日,引发粉丝留言深感惋惜。

警方表示,当天接到朴智宣家属报警,随后警方前往其住处发现,朴智宣与母亲已经死亡。两人于当月5日长眠于仁川家庭公园。 

警方在调查过程中发现可认为是遗书的字条,写有"女儿平时遭受病痛折磨十分痛苦,愿同女儿离去"等内容。

朴智宣生于1984年11月3日,2007年出演KBS电视台节目《爆笑俱乐部》,并通过同一电视台搞笑节目《搞笑演唱会》正式出道 。

◆防弹少年团夺公告牌单曲榜冠军 

防弹少年团。【图片=纽斯频】

韩国男团防弹少年团(BTS)备受全球关注,成员们的演唱会虽受疫情影响被迫叫停,但他们仍通过优秀的音乐作品为粉丝们送上惊喜。

今年9月1日,防弹少年团发布的歌曲《Dynamite》位居美国公告牌单曲排行榜榜首,成公告牌62年来的1109首歌曲中,第43首"空降"冠军单曲。

尤其是本次也是团体开创韩国音乐先河,打破PSY《江南Style》在单曲榜单排名第二的成绩。此前,这首歌曲就凭借高人气打破了视频网站优兔(YouTube)点阅率最快破亿次的纪录。 

《Dynamite》是成员们继今年2月发布第4张正规专辑《MAP OF THE SOUL:7》后,时隔6个月发布新曲。

本月1日,防弹少年团再凭借新专辑《BE》主打曲《Life Goes On》登顶公告牌百强单曲榜。

《Life Goes On》是团体于11月20日发布的全新迷你专辑《BE》中的主打曲,歌曲除副歌外,大部分用韩语演唱,也成为首个登顶该排行榜的韩语歌。不仅如此,团体参与伴唱的混音版《Savage Love》也曾登顶该榜单。 

格莱美主办方美国录音学院(Recording Academy)发布了第63届颁奖典礼歌手与组合的入围名单,防弹少年团入围"最佳流行对唱/组合奖"。

至此,防弹少年团成为首个率先入围美国三大音乐颁奖典礼的韩国歌手。团体连续3年获得全美音乐奖(AMAs)奖项,连续4年获得公告牌音乐奖(BBMAs)奖项;若本次成功获得"最佳流行对唱/组合奖",那么防弹少年团将实现"大满贯"。

此外,团体还入选美国《时代周刊》"年度最佳艺人(Entertainer of the Year)",这是他们第二次登上《时代周刊》"年度人物"评选。 

韩国艺人"再出道"

SSAK3【图片=MBC提供】

MBC电视台《闲着干嘛呢》是韩国家喻户晓的综艺节目,通过主持人刘在锡和节目组的动员,让本已出道且知名度颇高的艺人"再次出道",包括刘在锡、李孝利和Rain组成的男女混合团体SSAK3以及李孝利、严正花、Jessi、MAMAMOO成员华莎组成的女团退款远征队。

两个团体从无到有,从选歌到出道,观众们看到了他们的努力以及在舞台上用心展现完美一面。 

该台另一档综艺节目《我独自生活》中的成员朴娜莱、韩惠珍以及MAMAMOO华莎共同出演的姊妹节目《女人们的隐秘派对》也备受瞩目,节目在优兔(YouTube)播出以来,成员们用搞笑功底再次吸引网友们的目光。 

朱镇模河正宇手机被黑 

河正宇。【图片=纽斯频】

2019年年底至今年年初,一欺诈团伙先后入侵韩国演员朱镇模、河正宇等8位艺人手机,并利用手机内的隐私敲诈了其中5名受害人共计6.1亿韩元(约合人民币360万元)。

今年9月24日,以恐吓被起诉的金某及丈夫朴某分别判处有期徒刑5年和2年零6个月;金某妹妹被判处1年零4个月缓期执行3年,其丈夫文某被判处1年零6个月有期徒刑。 

主犯金某以及她的丈夫朴某不服一审判决提出上诉,同时检方也认为一审判决量刑过轻而提出了上诉。此案还有几名案犯因身在国外没有落网,目前韩国警方仍在追查这些未落网的案犯。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李정부 국정 5개년 책자 나왔다 [서울=뉴스핌] 윤채영 지혜진 기자 = 이재명 정부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이 담긴 책자가 발간된 것으로 20일 확인됐다. 이날 뉴스핌이 확보한 '이재명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 책자에는 123대 국정과제에 대한 주요 내용과 구체적인 입법 방향 등이 담겼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국민보고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8.13 photo@newspim.com 국정기획위원회가 지난 13일 1호 과제로 발표한 개헌에는 대통령 권력 구조 개편도 포함됐다. ▲4년 연임제 및 결선투표제 도입 ▲감사원 국회소속 이관 ▲대통령 거부권 제한 ▲비상명령 및 계엄 선포 시 국회 통제권 강화 ▲국무총리 국회 추천제 도입 ▲중립성 요구 기관장 임명 시 국회 동의 의무화를 추진하겠다고 명시했다. 또 5·18 광주 민주화운동 정신 등 헌법 전문 수록과 검찰 영장 청구권 독점 폐지, 안전권 등 기본권 강화 및 확대, 지방자치와 균형발전을 위한 논의기구 신설, 행정수도 명문화 등이 개헌 과제로 포함됐다. 개헌을 위한 국민투표법 개정도 추진된다. 헌법불합치 결정을 받은 재외국민 투표 관련 규정을 개정해 국민투표법 위헌을 해소하겠다는 계획이다. 개헌 찬반 투표는 2026년 지방선거나 2028년 국회의원 선거 때 실시하겠다고 명시했다. [서울=뉴스핌] 뉴스핌이 확보한 이재명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 책자. 2025.8.20 ycy1486@newspim.com 이번 책자에는 국정기획위가 지난 13일 대국민보고대회에서 공개한 123대 국정과제보다 훨씬 세부적인 내용이 담겼다. 당초 국정위는 이날 국정운영 5개년 계획도 공개하려 했다가, 돌연 비공개 결정을 내렸다. 비공개 결정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의중이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위 소속으로 활동했던 한 위원은 뉴스핌과 통화에서 "갑자기 보안을 강조하면서 내부 자료는 절대 공개하지 말라고 했다"며 "이유는 모른다"고 전했다.  ycy1486@newspim.com 2025-08-20 15:55
사진
美, 인텔 이어 삼성도 지분 내놔라?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법(CHIPS Act)상 보조금을 활용해 인텔 지분 확보를 추진 중인 가운데, 삼성전자와 대만 TSMC 등 다른 반도체 기업에도 같은 방식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삼성전자, 마이크론, TSMC 등 미국 내 공장 건설과 투자를 진행 중인 반도체 기업들을 상대로, 조 바이든 전임 행정부 시절 약속된 정부 보조금 제공과 맞바꿔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현실화하면 글로벌 반도체 업계에 파장이 불가피하다. 미국 정부에 지분을 넘기고 싶지 않다면 보조금을 포기해야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기업들의 순익 전망과 투자 계획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미국의 산업정책이 정권에 따라 오락가락한다는 업계의 불만과 비난 또한 커질 수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성격상 귀담아 들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 러트닉 장관은 CNBC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거래에서 실질적 이익을 얻어야 한다고 본다"며 "왜 1천억 달러 규모의 기업에 돈을 줘야 하는가. 우리는 약속한 보조금을 지급하되, 그 대가로 지분을 받아 미국 납세자들에게 혜택을 돌릴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인텔 지분 10%를 확보할 경우 최대 주주가 될 수 있지만, 러트닉 장관은 "경영권에 개입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조치는 전례가 없는 것이며, "이는 대기업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 확대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게 될 것"이란 진단이다.  로이터는 "마이크론은 인텔에 이어 반도체법 보조금을 가장 많이 받는 미국 기업이며, 삼성전자와 TSMC 역시 주요 수혜 대상"이라며 "이번 검토는 미국 정부가 반도체 산업에 대한 직접적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6월에도 비슷한 조치가 있었는데, 트럼프 정부는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승인 조건으로 '황금주(golden share)'를 확보해 주요 경영 결정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됐다. 삼성전자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 건설 현장. [사진=삼성전자] wonjc6@newspim.com   2025-08-20 08:31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