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글로벌정치

속보

더보기

[팬데믹 현황] 전세계 확진 340만명 넘겨…사망자 24만명↑ (3일 오전 9시 32분)

기사입력 : 2020년05월03일 16:01

최종수정 : 2020년05월03일 16:01

워렌 버핏 "어떤 것도 미국을 막을 수 없다" 낙관
세계 항공산업, 코로나19 직격…"정부 지원없으면 85%파산"
의료 전문가들, 도쿄올림픽 정상개최 어렵다 지적

[서울=뉴스핌] 김은빈 기자 = 전 세계 코로나19(COVID-19) 누적 확진자 수가 340만명을 돌파했다. 하루 사이 8만1000여명이 추가됐다. 사망자도 24만명을 넘겼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시스템사이언스·엔지니어링 센터(CSSE) 코로나19 상황판에 따르면 한국시간 3일 오전 9시 32분 기준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와 사망자는 각각 342만6129명, 24만3742명으로 전날보다 8만1694명, 4954명 늘었다.

국가·지역별 누적 확진자는 ▲미국 113만2315명 ▲스페인 21만6582명 ▲이탈리아 20만9328명 ▲영국 18만3500명 ▲프랑스 16만8518명 ▲독일 16만4967명 ▲터키 12만4375명 ▲러시아 12만4054명 ▲이란 9만6448명 ▲브라질 9만6559명 등이다.

국가·지역별 누적 사망자는 ▲미국 6만6364명 ▲이탈리아 2만8710명 ▲영국 2만8205명 ▲스페인 2만5100명 ▲프랑스 2만4763명▲벨기에 7765명 ▲독일 6812명 ▲브라질 6750명 ▲이란 6156명 ▲네덜란드 5003명 ▲중국 4637명 등이다.

◆ 버핏 "코로나19 충격 커도 미국 멈출 순 없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미국 동부시간 3일 오전 0시 22분 기준 미국 내 누적 확진자와 사망자는 각각 113만8700명, 6만6400명으로 집계됐다. 존스홉킨스대학의 CSSE 상황판 집계치와는 차이가 있다.

주별 확진자는 ▲뉴욕 31만8134명(이하 사망 2만4035명) ▲뉴저지 12만3717명(7742명) ▲메사추세츠 6만6263명(3846명) ▲일리노이 5만8505명(2576명) ▲캘리포니아 5만3753명(2213명) ▲펜실베이니아 5만1071명(2794명) ▲미시건 4만3191명(4020명) ▲플로리다 3명5455명(1363명) ▲텍사스 3만1433명(875명) ▲코네티컷 2만9287명(2436명) 등이라고 NYT는 전했다.

'투자의 귀재' 워렌 버핏이 코로나19로 인한 광범위한 경제 쇼크를 인정하면서도 미국이 이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란 낙관적인 평가를 내렸다.

2일(현지시각) CNBC에 따르면 워렌 버핏 버크셔 헤서웨이 회장은 이날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열린 연례 주주총회에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타격이 광범위하다고 지적했다. 그가 이끄는 버크셔 헤서웨이도 코로나19 사태로 1분기 497억5000만달러(약 60조894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하지만 버핏 회장은 "어떤 것도 미국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없다"며 "미국의 기적, 미국의 마법은 항상 우세했고 다시 그렇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버핏 회장은 "2차 세계대전 때도 이 점을 확신했다"며 "9·11 때도, 쿠바 미사일 위기 때도, 금융위기 때도 이를 확신했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언제 태어날지, 어디서 태어날지를 골라야 한다면 1720년이나 1820년, 1920년을 선택할 것인가"라며 "여러분은 오늘날 미국을 고를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 만들어진 이후 사람들은 이곳에 오길 원했다"고 했다.

버핏 회장은 "미국에 나의 남은 인생을 걸겠다"고도 말했다. 다만 그는 "당신은 미국에 걸 수는 있지만 어떻게 걸어야 할지는 신중해야 한다"며 "시장은 뭐든지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주주총회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처음으로 주주들의 현장 참석 없이 온라인 중계로 이뤄졌다.

일본 도쿄 올림픽 박물관에서 마스크를 쓴채 걷고 있는 시민. [사진= 로이터 뉴스핌]

◆ 세계 항공산업, 정부 지원없으면 85% 연내 파산 우려"

아랍에미리트(UAE)의 대표 항공사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으로 위기에 처한 항공산업을 정부가 지원하지 않는다면 연내에 85%가 파산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1일(현지시간)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중동 최대 항공사인 UAE 에티하드항공과 에티하드항공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29일 화상으로 열린 미-UAE 경제공동위원회에서 이런 비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그러면서 항공 여객·화물 수요가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수준으로 원상회복하려면 3년이 걸릴 수 있다고 예상했다.

에미레이트항공과 에티하드항공은 UAE 정부의 방침에 따라 3월25일 모든 운항을 중단한 뒤 지난달 초부터 UAE 내 외국인의 귀국을 위해 일부 노선을 편도만 운항 중이다.

국제공항협의회(ACI)와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1일 낸 공동 성명에서 항공업계의 위기와 관련해 각국 정부가 신속히 항공 업계를 지원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이들 단체는 "세계적으로 6550명이 종사하는 항공업계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악전고투하고 있다"라며 "각국 정부는 세금과 수수료 유예, 장기 융자, 공적 자금 투입과 같은 재정 지원을 해 달라"라고 촉구했다.

IATA는 올해 전 세계적으로 비행기표 판매금액이 3140억 달러(약 385조원) 줄어 지난해의 45%에 그치고 항공 업계와 유관 산업 종사자 2천500만명이 실직할 위험에 직면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일본 도쿄 올림픽 박물관에서 마스크를 쓴채 걷고 있는 시민. [사진= 로이터 뉴스핌]

◆ 日 의료전문가 "도쿄올림픽 내년 개최 어렵다"

코로나19가 종식되지 않는다면 내년 7월로 연기된 도쿄올림픽이 개최되기 어렵다는 지적이 의료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왔다.

200여개국이 넘는 나라에서 선수들이 모이는 대형 이벤트를 개최하기 위해선, 일본 뿐만 아니라 전세계에서 코로나19가 종식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3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세계보건기구(WHO) 중증인플루엔자 가이드위원으로 활동하는 스기야 노리오(菅谷憲夫) 게이오(慶応)의대 객원교수는 "내년 도쿄올림픽 개최는 여려울 거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은 내년까지 코로나19를 종식시킬 수 있어도 아프리카나 브라질, 의료격차가 큰 미국 같은 나라에서는 내년에도 코로나19가 유행할 가능성이 있다"며 "일본은 훈련이 가능하고 아프리카 선수는 그렇지 못한 건 공평하지 않다"고 말했다.

당초 올해 예정됐던 올림픽은 1년 뒤엔 2021년 7월로 예정돼 있지만 일본 정부도 신중론을 보이고 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지난달 29일 참의원(상원) 예산위원회에서 "선수도 관객도 안심하고 참가할 수 있는 완전한 형태로 개최하는 걸 목표로 한다"며 "코로나19가 종식되지 않은 상황에선 완전한 형태로 실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완전한 형태로 개최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은 '백신 개발'이다. 요코쿠라 요시타케(横倉義武) 일본의사회 회장은 지난달 28일 외신기자협회 기자회견에서 "유효한 백신이 개발되지 않으면 올림픽 개최는 어렵지 않을까 싶다"는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WHO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8개의 백신 후보가 임상시험 단계에 있으며, 전 세계에서 94개의 후보에 대한 임상시험 전 단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개발된 백신이 전세계에서 활용될 수 있느냐다. 니키 요시히토(二木芳人) 쇼와(昭和)의대 객원교수는 "연내에도 백신은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개발보다 더 큰 과제는 전 세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가로, 일본 같은 부유한 나라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동남아 빈국에서도 사용되려면 3년 정도 걸린다"고 지적했다.

니키 교수는 "코로나19가 계절성을 가진 바이러스일 경우 한 시즌 유행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며 "올림픽을 도저히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WHO 선임고문을 맡고 있는 시부야 겐지(渋谷健司) 영국 킹스칼리지 런던 교수는 "전세계에서 감염세가 진정되기 전까지 올림픽 개최는 상당한 도전"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방문한 관광객에 대해 적극적으로 바이러스 검사를 실시해 양성 반응일 경우 격리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는 있지만 "실현 가능성은 한정돼 있다"고 했다.

이에 올림픽을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스포츠매니지먼트 전문가인 릭 바튼 시큐러스대학 교수는 자사 대학 뉴스레터에서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2021년 하계 올림픽을 중단하는 게 현명하다"며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다른 시간축, 다른 장소에서 발생하는 상황은 불공평한 경기를 만들기 때문에 올림픽 이상에 반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다카야 마사노리(高谷正哲)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 대변인은 블룸버그의 취재에 "조직위로서 계속해서 IOC, WHO와 긴밀히 연계해 가겠다"며 "코로나19와 관련된 상황에 대해선 추측을 바탕으로 논의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kebj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내일부터 전공의 추가 모집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보건복지부가 오는 20일부터 전공의 추가 모집을 허용한다. 복지부는 19일 '전공의 추가 모집 안내 공지'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복지부는 "대한의학회,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대한병원협회 등 수련 현장 건의에 따라 5월 중 전공의 추가 모집을 허용할 계획"이라며 "이번 모집은 오는 20일부터 5월 말까지 모집병원별 자율적으로 진행한다"고 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03.18 mironj19@newspim.com 사직전공의의 지원 자격은 지난 1월 10일 '사직 전공의 복귀 지원 대책'에서 발표한 수련 특례를 동일하게 적용한다. 이번 모집 합격자는 오는 6월 1일부터 수련이 개시된다. 수련 연도는 다음 해 5월 31일까지 적용된다. 한편 사직전공의들은 복귀를 전제로 필수의료패키지 재논의,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 입대한 사직자의 제대 후 TO(정원) 보장을 요구했다. 복지부는 언급된 조건을 대부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필수의료패키지 재논의에 대해서는 기존 발표한 의료개혁 과제 중 구체화가 필요한 과제에 대해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이미 예산에 반영된 과제,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통해 확정된 과제는 차질없이 이행하겠다는 입장이다.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의 경우는 오는 6월 1일부터 수련이 개시되면 인정된다. 사직전공의가 이번 모집에 합격해 수련을 개시할 경우 내년 2월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3월 복귀자와 마찬가지로 수련 기간 단축은 없다. 군입대 전공의를 포함한 복귀 전공의 TO 보장도 수용됐다. 복지부는 이번 모집에 합격하는 사직전공의 TO를 보장한다고 밝혔다. 원 소속 병원·과목·연차의 TO가 기존 승급자 등으로 이미 채워진 경우도 사직자가 복귀하면 정원을 추가 인정한다. 다만, 이미 군입대한 전공의가 제대한 후 수련병원으로 복귀하는 문제는 향후 의료 인력, 병력 자원 수급 상황, 기존 복귀자와 형평성 등을 고려해 검토하겠다고 선을 그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정부가 복귀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는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추가 모집을 실시할 예정이다. 사진은 6일 서울시내 한 대학병원의 의료진 모습. 2025.02.06 yooksa@newspim.com 추가 모집에 대한 정부 입장이 변경된 이유에 대해 복지부는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대한병원협회 등 6개 단체가 전문의 수급 차질을 막고 의료공백 상황을 해결할 수 있도록 사직전공의의 수련 복귀를 위한 추가 모집을 열어줄 것을 건의했다"며 "전공의 복귀 의사를 확인하기 위해 의료계가 자체적으로 실시한 여러 조사에서도 상당수 복귀 의사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복지부는 "고심 끝에 수련 현장 건의를 받아들여 5월 중 수련 재개를 원하는 전공의는 개인의 선택에 따라 수련에 복귀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그밖에 구체적 모집 절차, 지원 자격 등은 병원협회 홈페이지에 공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sdk1991@newspim.com 2025-05-19 16:03
사진
시흥 연쇄 흉기 피습 4명 사상 [시흥=뉴스핌] 노호근 기자 = 경기 시흥시 정왕동 일대에서 하루 사이 4건의 흉기 피습 사건이 연이어 발생해 2명이 숨지고 2명이 중상을 입었다. 경찰은 동일 인물에 의한 연쇄 범행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용의자를 추적 중이다. 경찰로고. [사진=뉴스핌DB] 경찰 등에 따르면 19일 오전 9시 30분께 정왕동 한 편의점에서 60대 여성 점주 A씨가 50대 중국 국적의 남성 B씨가 휘두른 흉기에 찔려 병원으로 이송됐다. A씨는 목과 복부에 중상을 입었으나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같은 날 오후 1시 30분쯤 편의점 인근 체육공원 주차장에서 70대 남성 C씨가 흉기에 복부를 찔리는 또 다른 사건이 발생했다. C씨 역시 병원으로 옮겨졌으며, 현재 치료 중이다. 또 편의점 근처의 한 원룸 건물 내에서는 남성 2명이 각각 다른 층에서 흉기에 찔린 채 발견됐다. 이들은 모두 현장에서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4건의 사건 발생 장소가 지리적으로 가깝고, 짧은 시간 내 발생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범행 수법에도 유사점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일단 1인의 연쇄 범행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수사를 진행 중이다. 현재 경찰은 사건 현장 인근 폐쇄회로(CC)TV 영상을 확보하고 분석에 착수했으며, 목격자 진술 등을 토대로 용의자의 신원 및 동선을 파악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범행 간 시간 간격과 위치 등을 감안할 때 동일범 소행일 가능성이 있다"며 "신속한 검거를 위해 모든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 사건에 대해 살인 및 살인미수 혐의를 적용해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다. seraro@newspim.com 2025-05-19 16:1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