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문화

속보

더보기

코로나19 치료 효과 입증 중의학, 중국 선인의 역병 퇴치법

기사입력 : 2020년04월24일 16:40

최종수정 : 2020년08월20일 09:51

[서울=뉴스핌] 정리 주옥함 기자 = 중국 중의연구원(中醫研究院)이 펴낸 <중국역병사감>에서의 불완전 통계에 따르면 서한(西漢)부터 청말(清末)까지 중국에서는 최소 321차례의 대형 역병이 발생했다. 역병이 발생할 때마다 당시의 사회를 전율하게 했지만 수천년 동안 중국인들이 역병에 대항하는 길도 모색해냈다.

동한(東漢) 말년에 장중경(張仲景)은 <상한잡병론>은 저술하여 당시 역병인 상한을 더 이상 치명적인 질병이 아니게 만들었고, 장중경도 그것으로 인해 후손들에게 의성(醫聖)이라고 존칭되었다. 사진은 장중징(張宗景)의 조각상이다.[사진=금교]

◆중의학(中醫) 이론의 탄생

중국의 역병 관련 최초의 기록은 상(商)나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소둔은허문자을편(小屯殷墟文字乙編)>에는 이런 이야기가 실려 있다. 하늘과 땅과 소통하는 무당이 점을 치고 있는데, 그가 묻는 것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이 역병이 확산될 것인가? 다른 하나는 상왕(商王)이 역병에 감염될 것인가? 당시의 왕도에서 상왕이 감염될 위험이 있을 정도로 대규모의 감염 사건이 발생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때 사람들은 사나운 전염병에 맞서 하늘의 벌로 귀결될 수밖에 없었고, 무술과 귀신설은 황제부터 민간인까지 모두 인정하는 해석이었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그리고 역병과의 끊임없는 대결 과정에서 의학은 점차 무술을 압도하며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서기 154년 전후 역병이 기승을 부릴 무렵 허난(河南) 난양(南陽)의 장가(張家)에서 '중경(仲景)'이라는 남자아이가 태어났다. 벼슬한 아버지 장종한(張宗漢)은 아들이 자신과 같이 중관이 될 것을 기원했으나 그가 의학에 푹 빠질 줄은 몰랐다. 10살 때 장중경은 장백조(張伯祖) 의사를 따라 의학을 배우기 시작했다. 수 십 년 후 장중경은 <상한잡병론(伤寒杂病论)>이란 책를 써내어 의학에 큰 성공을 이뤘다. 책에서 요약된 변증논치(병증의 성질과 원인 등을 분석판단하여 상응하는 치료를 하다) 원칙은 중의학 진료의 핵심으로 자리잡았다.

여기서 얘기하는 '상한(傷寒)'이란 용어는 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그것과 약간 다른데, 그 주된 증상은 발열이고 전염성이 강하며, 실은 당시 일종의 역병을 가리킨다. 장중경이 <상한잡병론>에 기재한 바에 따르면, 불과 10년 만에 장씨 가문은 인구의 3분의 1밖에 남지 않았고, 그중 7할은 모두 이런 역병에 걸려 죽었다고 했다.

나중에 <상한잡병론>은 저술되어 상한 역병을 치료하는 119개의 처방을 기록하여 상한을 더 이상 치사적인 질병이 아니게 하였다. 그중 갈근황련탕(葛根黃連湯), 소시호탕(小柴胡湯) 등은 지금도 풍한감기(风寒感冒)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그후 중의학 전승이 넓어지자 동진(東晉) 의학자 갈홍(葛洪)은 <주후비급방(肘后备急方)>에서 천연두, 황달, 쯔쯔가무시병 등 감염병 치료 방법을 언급했고 당(唐)나라 유명 의사 손사막(孫思邈)은 <천금요방(千金要方)>에서 감염병 치료 방법을 많이 정리했을 뿐만 아니라 훈약법(熏藥)으로 공기소독, 우물에 약물을 투입하여 물을 소독하는 등 소독법을 제안했다.

      
역병 관련 내용을 기록한 중국 고대 의학서적이다.[사진=금교]

국가 힘의 개입

수호지진모죽간(睡虎地秦墓竹簡)에는 진(秦)나라의 전염병 격리 제도를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복역 중인 한 범인이 나병에 걸린 것을 발견되자 현지 관리들은 그를 '여소(疠所)'라는 곳으로 신속히 옮겨 격리시켰다. 이는 아마도 출토 문헌에서 볼 수 있는 정부가 전염병 방어를 한 비교적 이른 기록일 것이다.

그리고 정사(正史)에서 정부의 공식적인 전염병 퇴치에 관한 기록은 서한에서 시작되었다. 원시(元始) 2년, 경기 지역에 심각한 가뭄과 누리 재해가 발생하여 전염병이 뒤따라왔다. 한평제(漢平帝)는 정부에서 전문적인 집을 마련하고 약물을 구입하여 전염병 환자를 치료하라고 하사하였다. 이는 중국 역사상 일찍 등장한 공립 임시 전염병 격리 병원에 관한 기록이다.

남조(南朝) 시기까지는 '육질관(六疾觀)' '별방(別坊)' 등 격리기구가 생겼다. 당나라에는 '병방(病坊)'을 두고 송(宋)나라에는 '안락방(安樂坊)'을 두었는데, 보통 중앙정부에서 전염병 심각도에 따라 경비를 지급하고 지방 정부에서 약물을 구입하고 스님을 모집해 병환을 치료했다.

효과적인 격리와 더불어 당나라 이후 정부에서 의료진을 조직해 구치한 것은 역병을 이겨낼 수 있는 근본적인 보장이 되었다. 정통(正統) 14년(1449년) 양주(扬州)에 역병이 발생하자 명영종(明英宗)은 40여 명의 어의를 파견해 역병구로 달려가 백성을 구했다. 그리고 역사 기록에 따르면, 역병 기간동안 정부에서 처방이나 약을 무료로 제공했다.

그리고 명청(明清)시기까지, 전염병 예방치료에 획기적인 돌파구가 마련됐다. 인두접종법(人痘接种法)을 통해 전염병 '천연두'를 완치했는데 천연두 환자의 두창(痘瘡) 딱지를 갈아 가루로 만든 뒤 건강한 사람의 콧구멍에 불어 넣어 감염시켜 천연두에 대한 면역력을 얻게 한다. 사료에 따르면 명나라부터 과학적인 인두접종법은 이미 민간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공중위생 제도의 시작

방역 업무에서 고대 정부는 도시 공중위생 관리와 시설 건설에도 중시했다. 허베이(河北) 이현(易縣)에서 출토된 전국시대 연하도(燕下都, 연나라의 수도)의 도제(陶製) 도관은 바로 중국 초기의 지하 배수설비이다. 송나라 온혁(溫革)이 저술한 <쇄쇄록(瑣碎錄)>에서도 "도랑를 뚫으면 악취를 깨끗이 없앨 수 있어 역병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기재됐다.

하지만 '공중위생'이라는 개념이 널리 보급된 것은 역시 청나라 말기의 일이었다.

아편전쟁(鴉片戰爭) 이후 서양의학이 중국에 대규모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이후 양무운동(洋務運動)에서, 특히 북양(北洋)해군의 건설 과정에서 서양 의학당(西醫學堂)이 부대시설이 되었고, 이는 중국이 자주적으로 서양 의학 병원을 설립한 시작이 되었다.

광서(光緒) 31년(1905년), 중국 최초의 중앙위생행정기구인 위생과(사)가 설립되어 의학당의 설치, 의사에 대한 심사평사, 그리고 검역계획, 위생보건 장정의 심사 결정 등을 주관했다. 1906년 위생과는 위생사로 격상되었고 민정부(民政部) 소속으로 방역위생, 의약검사, 병원 설치 등을 처리했다.

위생과(사)의 설립은 전국적으로 제도적인 위생행정의 출발을 상징하고 위생행정은 국가제도로 상승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가위생행정기구가 설립된 지 얼마 되지 않아 1910년 말 동북지역에서 페스트 전염병이 폭발했다. 중국인 의사 우롄더(伍連德)는 처음으로 중국에서 현대 공중위생의 이론과 방법을 전면적으로 적용하여 이 큰 역병을 퇴치했다. 뒤늦게 청정부(清政府)는 봉천만국페스트연구회(奉天萬國鼠疫研究會)를 조직해 총 12개국 34명의 대표가 참가해 많은 국제통행의 방역준칙을 확정했으며 국제방역협력의 토대를 마련했다. 한편 청정부는 중국의 첫 전국적인 위생방역법규인 <민정부에서 작성한 방역 정관(民政部擬定防疫章程)>을 공포하고 각 성에서 '역병이 발생할 때 이 정관에 따라 처리하라'고 요구했다. 이로써 국가 차원의 공중위생체계는 최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글/쉬위양(徐语杨)

[금교(金橋,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 주관 잡지)=본사 특약]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뉴스핌, AI 기반 맞춤형 MY뉴스 출시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매일 쏟아지는 수만 개의 뉴스 중에서 정작 나에게 필요한 뉴스를 찾기는 쉽지 않다. 이런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국내 최초로 AI(인공지능)로 독자에게 뉴스를 추천해주는 'AI MY뉴스'를 11일 본격 출시했다. AI MY뉴스의 핵심은 지능형 구조에 있다. 그동안 미디어는 독자가 선택한 관심 분야에 의존해 단순히 뉴스를 선별해 제공했다. 그러나 AI MY뉴스는 독자를 이해하고 학습해가며 개인에게 꼭 필요한 뉴스를 골라 제공한다. ◆ AI 추천뉴스·글로벌투자·AI 어시스턴트 출시 'AI 추천뉴스'는 독자가 첫 번째 기사를 클릭하는 순간부터 작동한다. 관심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기사를 읽을 때마다 AI 시스템이 독자의 취향을 기억하고 분석한다. 경제 뉴스를 자주 읽는 독자라면 점차 반도체, 주식, 부동산 등 세부 관심사까지 파악해 더욱 정확한 뉴스를 추천한다. '모닝 브리핑'과 '런치 브리핑'은 바쁜 현대인을 위한 맞춤 서비스다. 모닝 브리핑은 AI가 밤새 분석한 전날과 당일 새벽까지의 주요 뉴스를 5~7개 헤드라인으로 정리해 제공한다. 런치 브리핑은 오전 7시부터 정오까지의 뉴스를 공공·정치, 산업시장, 글로벌, 전국 이슈 등 4개 분야로 나눠 각각 5개씩 핵심 내용을 전달한다. '글로벌 투자' 서비스는 AI MY뉴스의 핵심 콘텐츠다. 뉴스핌 마켓 전문기자들의 고품질 투자분석 'GAM(Global Asset Management)'을 독자에게 제공한다. '글로벌 브리핑'은 미국 증권시장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날마다 시장 개요부터 투자자 관점까지 4개 섹션으로 체계화된 분석을 제공한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주요 기술주를 별도 추적해 대형 기술주의 시장 영향력을 정밀 분석한다. '파워 특징주 포트폴리오'는 일일 수익률, 변동성, 이동평균 편차 등 핵심 지표를 종합해 수익률 상위 종목을 분석하고, '이 시각 증시 시그널'은 글로벌 이슈를 실시간으로 찾아 미국 증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호로 정리해 제공한다. '주간 연준 인사이트'는 연방준비위원회 공식 브리핑을 투자자 관점에서 재해석하며, '뉴욕증시 전문가 팁'은 매일 뉴욕 현지 증시 전문가들의 생생한 조언을 5개의 구체적인 팁으로 가공해 전달한다. 이 가운데 '뉴스 종목 추적기'는 전 세계 글로벌 뉴스에서 미국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실시간으로 포착한다. S&P500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받을 종목을 각각 5개씩 찾아 구체적인 이유도 내놓는다. 뉴스핌이 새롭게 내놓는 AI MY뉴스 서비스 모습 [자료=뉴스핌DB] 2025.08.08 biggerthanseoul@newspim.com 뉴스핌은 글로벌 AI 검색 기업 퍼플렉시티와 협력해 생활 밀착형 AI 어시스턴트도 제공한다. '뉴스 전략 24시'는 그동안 축적된 뉴스 데이터를 바탕으로 독자의 질문 의도를 파악해 맞춤형 답변과 생활 전략을 제시한다. 미국 증시 투자 전략도 함께 제공해준다. '정책 배달 119'는 정부 정책브리핑의 모든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 상황에 맞는 정책을 찾아 신청 방법까지 안내하는 개인 맞춤형 정책 컨설턴트 역할을 한다. 단순 검색에서 그치지 않고 독자의 행동을 이끌 수 있는 현실적인 답변을 제시한다. 뉴스핌의 모든 기사는 50개 국어로 번역돼 국내 거주 외국인과 해외 독자들도 모국어로 한국 뉴스를 접할 수 있다.  ◆ "독자와 함께 성장하는 새로운 미디어 경험의 시작" 민병복 뉴스핌 회장은 "AI MY뉴스는 정보 홍수 시대에 진정으로 필요한 뉴스를 선별해 전달하는 새로운 미디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며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국민 모두의 삶에 힘이 되는 뉴스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민 회장은 "AI MY뉴스는 독자와 함께 성장하며 개인의 삶에 진정한 가치를 더하는 새로운 미디어 경험의 시작"이라며 "AI를 활용해 새로운 결과를 도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직접 AI로 콘텐츠를 만들어 국민 모두가 제한 없이 무료 서비스를 바로 활용할 수 있게 했다"고 말했다. 이번 AI MY뉴스 서비스는 첫 버전(V 1.0)이다. 우선 모바일 웹페이지에서 서비스가 제공된다. 뉴스핌은 국민을 대상으로 맞춤형 콘텐츠 수요를 직접 파악해 국민이 원하는 서비스를 지속 개발해나갈 예정이다.  분야별 독자들의 성향을 파악해 다양한 콘텐츠 설계 아이디어를 받아 매월 지속적인 콘텐츠 업데이트에 나설 예정이다.  이어 이미 서비스에 나선 AI 아나운서 글로벌 투자 콘텐츠는 물론, 다양한 영상 콘텐츠도 선보일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뉴스핌은 국내를 뛰어넘어 세계 시장에서 AI를 잘 활용하는 글로벌 뉴스통신사로 도약하는 데 속도를 낼 예정이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2025-08-11 12:54
사진
다음달 10일 2차 소비쿠폰 기준 나온다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행정안전부가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기준을 이르면 내달 초 발표할 예정이다. 상위 10% 구분 기준은 부동산 및 금융소득 등을 살펴 이달 중 기준 수립 준비에 나선다. 한순기 행안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8일 정부세종청사 행정안전부에서 열린 민생회복 소비쿠폰 간담회에서 "9월 10일 정도에 2차 (소비쿠폰) 기준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 실장에 따르면 2차 지급 기준 준비는 이달 중 시작된다. 그는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을 만나 기준을 짜야 한다"며 "2021년 사례를 보면 1인가구는 특례를 가산했고, 맞벌이가구는 뺐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류기찬 인턴기자 = 한국신용데이터(KCD)가 4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카드 매출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시작된 지난 21일부터 27일까지 자영업자 매출 증감률은 전주 대비 평균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오후 서울 시내의 한 매장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가능 안내문이 붙어있다. 2025.08.04 ryuchan0925@newspim.com 한 실장은 "고액 자산가인데 건보료만 적게 내는 경우도 있다"며 "(행안부의) 부동산 데이터나 국세청 금융소득 데이터를 활용해 직장 가입자 중 고액 자산가를 선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7일까지 소비쿠폰 지급 현황에 따르면 전체 신청자는 4818만명으로, 전체 지급대상자의 95.2%가 신청을 마쳤다. 지급액은 8조7232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용 현황은 신용·체크카드 지급액 5조8608억원 가운데 절반가량인 3조404억원(51.9%)이 소비됐다. 이날 처음 공개된 지역별 신용·체크카드 소비율을 보면 서울보다 지역이 높은 편이었다. 제주가 57.2%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인천 54.7%, 울산 54.6%, 광주 54.5%, 충북 54.1%, 대전 54.0%, 부산 53.7% 등이었다. 한 실장은 "비수도권에 3만원·5만원 더 준 부분도 있지만, 지역 영세소상공인 매출로 이어져 의미 있는 숫자"라며 "10%포인트(p) 차이는 아니지만 2~3%p라도 높은 것은 그만큼 비수도권이 어려웠다는 방증이자 (소비쿠폰이) 사용되고 있다는 신호"라고 말했다. 행안부는 2차 소비쿠폰 지급을 위한 예산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한 실장은 "사업 전체 13조9000억원 가운데 1조8000억원만 지방(예산)이고 나머지 12조1000억원가량이 국비다"라며 "(국비에서) 8조1000억원을 먼저 내렸고, 기획재정부 협조를 구해 이달 중순 정도에 4조1000억원을 조속하게 받기로 했다"고 말했다. [자료=행정안전부] 2025.08.08 sheep@newspim.com 한 실장은 "(소비쿠폰 2차 지급에 앞서) 지방채 발행이 필요 충분 조건은 아니고 충분조건 정도 될 것"이라며 "(지방재정법 통과는) 9월 본회의까지 하도록 목표를 잡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추가경정예산안(추경)에는 민생쿠폰 관련 연구용역 예산 2억원도 담겼다. 소비쿠폰 등 현금성 지원에 대한 효과를 철저하게 분석한다는 취지다. 한 실장은 "민생쿠폰 추경에 연구용역비 2억원이 담겼다"며 "과거 2020~2021년 효과가 있냐 없냐 등 많은 비판이 있었다. 연구 용역을 제대로 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세정책연구원이나 KDI 등과 연구한다는 것이 행안부 현재 계획이다. 행안부는 하나로마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역을 확대한다는 계획도 이날 밝혔다. 그간 도서산간지역 소비쿠폰 사용처가 제한적이라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된데 따른 것이다.  한 실장은 "면 단위에서 동네에 마트 등이 전혀 없는 경우가 있어 하나로마트 121곳에서 현재 사용 가능하다"면서도 "현장을 가 보니 마트가 있어도 너무 영세해 고기나 채소 등 신선식품을 사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현재 시장·군수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하고 있고, 빠른 시일 내로 하나로마트 사용처를 추가 지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실장은 또 "추가 소비 진작 대책을 관계부처와 많이 만들고 있다"며 "행안부는 수도권 기업, 공기업, 관공서 등과 비수도권 간 자매결연을 맺는 소비진작 대책을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8-08 16:11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