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조합장선거] 전북 109개 농·수·산림조합장 당선인 한 눈에 보기

기사입력 : 2019년03월14일 09:54

최종수정 : 2019년03월14일 09:54

19개 조합 무투표 당선...최고령 72세, 최연소 42세

[전주=뉴스핌] 이백수 기자 = 전라북도 내 농·수·산림조합은 농협 92개, 수협 4개, 산림조합 13개소 등 모두 109개 조합으로 9574개 법인을 포함해 모두 27만544명이 조합원으로 등록돼 있다.

13일 치러진 제2회 전국동시 조합장 선거 당선인 가운데 최고령은 72세의 고창부안축협 김사중 당선인이고, 최연소 당선인은 42세로 재선된 전북인삼농협 조합장이다.

또 전북도내 109개 조합 가운데 △김기수 서군산농협 △고계곤 군산원예농협 △김병옥 익산농협 △최사식 황등농협 △박기열 남원농협 △서영교 운봉농협 △이안기 지리산낙농협 △△강원구 백산농협 △김광식 김제원협 △김투호 동진강낙농축협 △김운회 봉동농협 △이재욱 상관농협 △유해광 소양농협 △송제근 무진장축협 △김용준 장수농협 △김갑선 해리농협 △최우식 남부안농협 △윤영창 남원산림조합 △임필환 완주 산림조합 등 19명의 조합장이 단독 출마해 무투표로 당선됐다.

전북 당선인 현황은 다음과 같다.(범례:나이, 직업, 득표수, 득표율) 

▲농협

△전주농업협동조합 = 임인규(64, 현 전주농협 조합장, 3243, 69.77%)

△북전주농업협동조합 = 이우광(56, 전 북전주농협 이사, 672, 51.45%)

△전주원예농업협동조합 = 김우철(69, 현 전주원협 조합장, 828, 59.69%)

△전주김제완주축산업협동조합 = 김창수(56, 현 전주김제완주축협 조합장, 1,201, 55.93%)

△군산농업협동조합 = 박형기(69, 전 군산농협 조합장, 1429, 47.72%)

△대야농업협동조합= 민윤기(67, 현 대야농업협동조합장, 646, 54.19%)

△동군산농업협동조합 = 박영근(67, 전 동군산농협 이사, 552, 27.92%)

△서군산농업협동조합 = 김기수(62, 현 서군산농협조합장, 무투표 당선)

△옥구농업협동조합 = 전봉구(53, 전 옥구농협 비상임감사, 668, 52.06%)

△옥산농업협동조합 = 박규석(61, 전 옥산농협 상무, 452, 61.91%)

△회현농업협동조합 = 김기동(63, 전 회현농협 상임이사, 452, 46.21%)

△군산원예농업협동조합 = 고계곤(59, 전 군산원예농협 전무, 무투표 당선)

△금마농업협동조합 = 백낙진(53, 현 금마농협 조합장, 756, 69.35%)

△낭산농업협동조합 = 김학림((53,,전 낭산농협 이사, 532, 52.41%)

△망성농업협동조합 = 조두호(67, 전 망성농협조합장, 478, 54.69%)

△북익산농업협동조합 = 장복식((70, 현 북익산농업협동조합장, 1110, 60.92%)

△삼기농업협동조합 = 박기배(60, 현 삼기농협 조합장, 742, 82.44%)

△서익산농업협동조합 = 임철석(64, 현 서익산농협 조합장, 372, 30.36%)

△성당농업협동조합 = 허정천(58, 현 성당면 번영회장, 358, 39.64%)

△여산농업협동조합 = 정우창(56, 전 여산 농협 감사, 576, 59.38%)

△오산농업협동조합 = 채병덕(60, 전 오산농협이사, 684, 61.23%)

△왕궁농업협동조합 = 배정욱(65, 현 왕궁농업협동조합 조합장, 623, 53.66%)

△익산농업협동조합 = 김병옥(59, 현익산농협 조합장, 무투표 당선)

△황등농업협동조합 = 최사식(66, 현 황등농업협동조합 조합장, 무투표 당선)

△익산원예농업협동조합 = 김봉학((68, 현 익산원예농업협동조합 조합장, 926, 74.37%)

△익산군산축산업협동조합 = 심재집(68, 전 익산군산축협조합장, 689, 46.80%)

△샘골농업협동조합 = 허수종(48, 현 샘골농업협동조합 조합장, 1550, 55.57%)

△신태인농업협동조합 = 김성주(60, 전 신태인농협 상무, 635, 32.85%)

△정읍농업협동조합 = 유남영(63, 현 NH농협금융지주 이사, 3330, 71.58%)

△칠보농업협동조합 = 권혁빈(61, 현 칠보농업협동조합장, 1250, 57.81%)

△태인농업협동조합 = 한상곤(52, 전 태인농협 전무, 717, 59.60%)

△황토현농업협동조합 = 김재기(61, 전 황토현농협 이사, 1277, 52.18%)

△정읍원예농업협동조합 = 이대건(58, 전 정읍원예농협 이사, 354, 38.94%)

△남원농업협동조합 = 박기열(65, 현 남원농협 조합장, 무투표 당선)

△운봉농업협동조합 = 서영교(61, 현 운봉농협 조합장, 무투표 당선)

△지리산농업협동조합 = 정대환(47, 전 지리산농협 이사, 777, 34.74%)

△춘향골농업협동조합 = 이기열(55, 전 춘향골농협 감사, 1353, 45.50%)

△남원원예농업협동조합 = 이정기(61, 전 남원원협 이사, 409, 35.47%)

△남원축산업협동조합 = 강병무(66, 현 남원축협조합장, 378, 30.78%)

△전북지리산낙농농업협동조합 = 이안기(66, 현전북지리산낙농협 조합장, 무투표 당선)

△공덕농업협동조합 = 문홍길(61, 현 공덕농협 조합장, 791, 71.00%)

△광활농업협동조합 = 신광식(49, 현광활농협 조합장, 658, 71.28%)

△금만농업협동조합 = 최승운(54, 현 금만농협 조합장, 971, 57.86%)

△금산농업협동조합 = 이민섭(68, 현 금산농협 조합장, 701, 60.90%)

△김제농업협동조합 = 이정용(62, 현 김제농협 조합장, 2126, 78.62%)

△동김제농업협동조합 = 최진오(56, 전 동김제농협 조합장, 1167, 52.63%)

△백구농업협동조합 = 이영철(68, 전 백구농협 이사, 376, 36.15%)

△백산농업협동조합 = 강원구(59, 현 백산농협 조합장, 무투표 당선)

△용지농업협동조합 = 박광양(66, 현 용지농협 조합장, 649, 58.41%)

△진봉농업협동조합 = 노종열(60, 현 진봉농협 조합장, 525, 45.49%)

△김제원예농업협동조합 = 김광식(57, 전 김제원협 비상임감사, 무투표 당선()

△전북한우협동조합 = 김창희(61, 현 전북한우협동조합장, 32, 60.37%)

△동진강낙농축산업협동조합 = 김투호(59, 현 조합장, 무투표 당선)

△고산농업협동조합 = 국영석(56, 현 고산농협 조합장, 1128, 55.37%)

△구이농업협동조합 = 안광욱(61, 현 구이농협 조합장, 603, 55.21%)

△봉동농업협동조합 = 김운회(60, 현 봉동농협 조합장, 무투표 당선)

△삼례농업협동조합 = 강신학(52, 현 농업기술자협회 전북 사무처장, 699, 40.35%)

△상관농업협동조합 = 이재욱(53, 현 상관농협 조합장, 무투표 당선)

△소양농업협동조합 = 유해광(57, 현 소양농협 조합장, 무투표 당선)

△용진농업협동조합 = 정완철(71, 현 용진농협 조합장, 769, 59.01%)

△운주농업협동조합 = 윤여설(47, 전 운주농협 이사, 294, 30.15%)

△이서농업협동조합 = 송영욱(53, 전 이서농협 이사, 390, 38.27%)

△화산농업협동조합 = 김종채(53, 현 화산농협 조합장, 773, 74.54%)

△부귀농업협동조합 = 정종옥(60, 현 부귀농협 조합장, 968, 80.86%)

△진안농업협동조합 = 허남규(62, 현 진안농협 조합장, 1892, 61.15%)

△무진장축산업협동조합 = 송제근(64, 전) 장수축협 조합장, 무투표 당선)

△전북인삼농협 = 신인성(42, 현 전북인삼농협 조합장, 421, 51.97%)

△구천동농업협동조합 = 양승욱(50, 현 구천동농협 조합장, 924, 50.85%)

△무주농업협동조합 = 곽동열(55, 현 무주농협 조합장, 2055, 62.90%)

△장계농업협동조합 = 곽점룡(61, 현 장계농협 조합장, 2203, 66.65%)

△장수농업협동조합 = 김용준(59, 현 장수농협 조합장, 무투표 당선)

△오수관촌농업협동조합 = 정철석(54, 현 하인건재약업사, 1329, 35.06%)

△임실농업협동조합 = 최동선(55, 전 임실농협 이사, 843, 41.89%)

△임실축산업협동조합 = 한득수(55, 전 임실축협 이사, 745, 53.25%)

△임실치즈축산업협동조합 = 설동섭(64, 현 조합장, 116, 56.03%)

△구림농업협동조합 = 이두용(69, 현 구림농협 조합장, 687, 64.62%)

△동계농업협동조합 = 양준섭(61, 현 동계농협 조합장, 830, 78.44%)

△서순창농업협동조합 = 박상칠(56, 전 서순창농협 감사, 358, 22.13%)

△순창농업협동조합 = 선재식(58, 전 순창농협 근무, 1390, 46.33%)

△순정축산업협동조합 = 고창인(57, 전 순정축협 감사, 927, 44.78%)

△고창농업협동조합 = 유덕근(65, 현 고창농협 조합장, 1553, 45.87%)

△대성농업협동조합 = 김민성(56, 현 대산면민회장, 1072, 45.46%)

△선운산농업협동조합 = 김기육(48, 전 선운산농협 이사, 1286, 46.67%)

△해리농업협동조합 = 김갑선(64, 현 해리농협 조합장, 무투표 당선)

△흥덕농업협동조합 = 백영종(63, 전 흥덕농협 조합장, 1508, 62.10%)

△고창부안축산업협동조합 = 김사중(72, 전 고창부안축협 조합장, 902, 52.53%)

△계화농업협동조합 = 이석훈(59, 현 계화농협 조합장, 650, 41.45%)

△남부안농업협동조합 = 최우식(57, 현 남부안농협 조합장, 무투표 당선)

△변산농업협동조합 = 신왕철(68, 현 변산농협 조합장, 781, 67.56%)

△부안농업협동조합 = 김원철, 현 부안농협 조합장, 3060, 63.89%)

△부안중앙농업협동조합 = 신순식(67, 현 농협중앙회 선거관리위원, 799, 47.05%)

△하서농업협동조합 = 김병호(58, 현 신지마을 이장, 646, 52.56%) 

▲수협

△군산시수산업협동조합 = 김종남(54, 현 신의선외기 대표, 1745, 45.19%)

△김제수산업협동조합 = 김영주(54, 전 군산 서해대학교 강사, 401, 48.31%)

△고창군수산업협동조합 = 김충(58, 전 고창수협 비상임 이사, 846, 50.81%)

△부안수산업협동조합 = 송광복(66, 전 부안수협 비상임감사, 1316, 29.37%)

▲산림조합

△완주군산림조합 = 임필환(58, 현 조합장, 무투표 당선)

△군산산림조합 = 고석빈(67, 현 군산산림조합장, 924,55.16%)

△익산산림조합 = 김수성(57, 전 익산산림조합 상무, 824, 66.99%)

△정읍산림조합 = 장학수(53, 전 전라북도의회 의원, 846, 22.80%)

△남원산림조합 = 윤영창(50, 현 조합장, 무투표 당선)

△김제산림조합 = 함길권(55, 현 김제산림조합장, 744, 66.19%)

lbs096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딥시크 부당하게 데이터 수집했을 수도"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오픈AI는 중국 딥시크(DeepSeek)가 부당하게 회사의 데이터를 수집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2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오픈AI는 딥시크가 오픈AI 기술로 생성한 데이터를 사용해 자체 시스템에 비슷한 기술을 훈련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AI 업계에서 훈련에 사용되는 디스틸레이션(distillation) 기법은 흔하지만, 오픈AI는 서비스 약관에 같은 시장에서 경쟁할 기술을 만들어내기 위해 오픈AI의 시스템이 생성해 낸 데이터를 사용하지 못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오픈AI의 리즈 부르주아 대변인은 NYT에 보내 이메일에서 "우리는 중국의 조직들이 미국 AI 모델을 복제하기 위해 디스틸레이션으로 알려진 것을 포함한 방법을 사용해 활발히 작업 중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그것을 인지하고 있으며 딥시크가 부적절하게 우리 모델을 디스틸레이션 했다는 징조를 검토하고 있고 더 많은 것을 알게 되면 공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딥시크는 지난주 R1 모델을 내놓으며 전 세계 AI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고 믿어온 실리콘밸리를 충격에 빠뜨렸다. 딥시크는 R1 모델 개발에 단 2개월의 시간과 600만 달러 미만의 자금이 소요됐다고 밝히며 그동안 실리콘밸리의 천문학적인 투자를 무색하게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딥시크의 개발이 긍정적이라면서도 미국 기업들에 경종을 울렸다고 평가했다. 이날 상원 인사청문회에 나선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지명자는 딥시크가 도난당한 미국 기술과 첨단 미국 반도체를 활용해 저렴하게 강력한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었다면서 미국이 AI 분야에서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해 사이버 보안에 대한 미국 표준과 유사하게 글로벌 표준을 창출하기 위한 모델을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픈AI 챗GPT와 딥시크.[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01.28 mj72284@newspim.com mj72284@newspim.com 2025-01-30 03:07
사진
여야, 설 이후 전력망법 등 입법 본격화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설 연휴 이후 국회의 민생 행보에 관심이 집중된다. 우선 여야는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을 포함한 주요 에너지·산업 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위해 협상에 들어갈 예정이다. '12·29 여객기 참사 진상규명과 피해자 및 유가족 피해 구제를 위한 특별위원회(여객기 참사 특위)'와 국정협의회 등도 본격 가동될 전망이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다사다난했던 2024년 갑진년(甲辰年)이 저물고 있다. '푸른 용의 해' 우리는 더 높게 비상하는 한 해가 되길 바랐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4·10 총선 결과로 22대 국회의 '여소야대' 국면부터 이상기후로 인한 농산물 등 물가 상승까지 서민들의 부담은 가중됐다. 초유의 12·3 비상계엄 사태와 이어진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까지 쉴 틈 없는 아픔의 연속이었다. 다가오는 2025년 을사년(乙巳年)은 푸른 뱀의 기운으로 우리 모두가 꺾이지 않고 희망의 한 해가 되길 기대해 본다. 사진은 서울 여의도 서울달에서 바라본 국회 모습. 2024.12.31 mironj19@newspim.com 29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 정책위의장은 지난 22일 국회에서 만나 '첨단산업 에너지 3법(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해상풍력발전 보급 촉진 특별법·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 처리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회동을 마친 뒤 "지난해 11월에 합의했던 법안이 있다"며 "처리하기로 합의했던 법안 63건 중 본회의에서 통과된 게 24건이고, 나머지 법안 39건은 아마 더불어민주당도 합의 처리하는 데 특별한 그것(이견)은 없는 것 같다"고 밝혔다.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은 정부 차원의 개입으로 전력망 구축 사업 인허가 절차를 대폭 개선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해상풍력 특별법은 민간사업자가 주도하던 해상풍력 사업을 정부 주도 방식으로 전환하는 내용이다. 고준위 방폐장법은 원자력 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준위 폐기물(사용후핵연료)을 영구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안을 담고 있다. 다만 에너지 3법과 함께 '미래 먹거리 4법'으로 불리는 반도체산업 특별법은 '주52시간 근무제 예외(화이트칼라 이그젬션) 조항'을 두고 추가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국민의힘은 '반도체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예외 조항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민주당은 다음 달 초 토론회를 열고 최종 입장을 결정할 예정이다. 지난해 12월 29일 무안국제공항에서 일어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관련 국회 특별위원회도 활동을 이어간다. 여객기 참사 특위는 오는 2월 6일 전체회의를 열고 국토교통부·행정안전부·보건복지부 등을 상대로 현안 질의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여야는 국정협의회 가동을 위한 논의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12·3 비상계엄 사태 후 국정 혼란 수습을 위해 마련된 국정협의회는 지난 9일 첫 실무회의를 열고 참석자 및 공식 명칭 등을 확정했다. 협의회 참석자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 민주당 대표 등 4명이다. 그러나 여야가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며 협의회는 사실상 좌초된 상태다. 양당 정책위의장은 지난 22일 국정협의회 실무 협의를 진행했으나, 성과를 얻지 못했다. 여야가 설 이후 본격적인 민생 행보에 나설 경우 협의회 가동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국회-정부-국정협의체 실무협의가 열리고 있다. 이날 실무협의에는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 등이 참석했다. 2025.01.09 pangbin@newspim.com rkgml925@newspim.com 2025-01-29 07: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