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에티오피아 대표커피 '하라'는 멸종위기
"방치하면 수십년 내 커피농경지 60%는 소실돼"
[서울=뉴스핌] 조재완 인턴기자 = 아프리카 최대 커피 생산국 에티오피아가 지구온난화로 고통받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과 계속되는 가뭄으로 극심한 타격을 받고 있는 수많은 에티오피아 커피농장들이 갈수록 고산지대로 내몰리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4일 보도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에티오피아에서 커피는 독보적인 수출 품목이다. 에티오피아가 커피로 벌어들인 돈은 2016-17년 생산연도 기준 8억6000만달러(한화 9206억원) 이상이다.
하지만 계속되는 기온 상승으로 커피산업은 위기에 직면해 있다. 에티오피아 비정부기구인 '환경·기후변화 및 커피숲 포럼'(Environment, Climate Change and Coffee Forest Forum·ECCCFF)에 따르면 동에티오피아 커피 재배 구역의 평균 기온은 지난 30년간 1.3도 상승했다.
가뭄도 나날이 심각해지고 병충해까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커피는 습도와 기온에 모두 민감하다.
결과적으로 수천헥타르의 전통적인 커피 농지가 매년 소실되고 있다. 에티오피아 커피산업의 전망에 대한 우려도 높을 수밖에 없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농부들에게 더 높은 지대에서 커피를 재배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권고 높이는 최고 해발 3200m다. 표준적인 커피재배 고도보다 약 1000m 높다. 고지대로의 농사지 이전으로 현재 직면한 기후변화 압박은 당분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본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커피 재배지를 마냥 잃기만 하는 건 아니다. 기후변화로 이전에는 농사가 불가능했던 지역이 재배 적합지로 바뀌기도 했다. '에티오피아 커피·차 홍보개발청'(Ethiopia Coffee and Tea Development Marketing Authority·ECTDMA) 공무원인 벌하누 체가예(Birhanu Tsegaye)는 이 같은 변화는 "기후변화와 싸우고 있는 에티오피아에 기회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압박을 받고 있는 커피 산지는 에티오피아 전역에 있다.
커피 주산지인 오로미아주와 SNNP(Southern Nations, Nationalities, and Peoples' Region)주의 대규모 농지를 관리하는 메타드(METAD)사 아만 아디뉴(Aman Adinew) 대표는 남부 지방의 기후변화가 커피 수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한다. 에티오피아 함벨라와 게데브 커피 농지의 수확 시기는 예년보다 한 달 가량 늦춰졌다. 보통 11월에서 12월 경 수확하나 콩이 익지 않아 미뤄진 것이다.
아디뉴 대표는 "강수량이 부족한 탓에 해가 바뀌었는데도 커피콩이 아직도 초록빛"이라며 "전반적인 생산 과정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북아메리카와 아시아, 유럽 각 지역 거래처들과의 수출 계약까지 위반하는 상황에 놓였다"고 토로했다.
◆ '커피 종사' 5명 중 1명꼴…90%는 영세농민
에티오피아 1억명 인구 중 직·간접적으로 커피산업에 종사하는 인구는 20%에 이른다. 국민 5명 중 1명이 커피로 먹고 산다. 이 중 90%는 영세농가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에티오피아 산업통상자원부 발표에 따르면 2016~17년 생산연도 총 커피 수출량은 22만t(톤) 이상이다. 딱히 시장이 하강 국면에 있다고 보긴 어려울 정도로 커피 수출시장은 지난 5년간 등락을 거듭했다.
상당한 규모의 전통적 농사부지를 잃고 있는 반면, 새로운 재배지 역시 매년 수천에서 수만헥타르씩 더해지며 손실을 상쇄해왔다.
기존 농지를 살리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도 이뤄지고 있다. 정부는 농가 교육에 적극 나섰다. 그늘막이 돼주는 나무를 이용해 온도를 유지하고 관개 시설을 적극 이용하는 방법을 교육하고 수확 후엔 더 나은 개량 품종을 쓰도록 돕고 있다. 기후변화 저항력이 크고 병충해에 강한 다양한 품종도 선보이고 있다.
다만 현 수준의 지원은 커피산업이 직면한 위기를 타개할 근본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다. 농가들이 고지대로 이전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 '커피재배지 60%' 수십년 내 사라져…'하라'는 멸종위기
타데세 울드매리엄(Tadese Woldemariam) ECCCFF 기술 고문은 경작이 익숙지 않은 새로운 지대에서 시작하는 커피 재배에 더욱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그는 "전통적인 농경지가 사라져가며 수천년 역사의 커피 재배문화 역시 소실돼 가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이어 "산악지대에서의 커피 재배역사는 아주 짧다. 고지대 농사는 지속가능한 고품종 커피 원두를 생산할 수 있는 환경이 뒷받침될 때만 가능한 대안"이라고 지적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이젠 시간과의 싸움이다. 커피 생산에 적합한 지대는 매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울드매리엄은 "21세기 말엔 대부분의 커피 재배지, 특히 해발 1500m 미만의 농지에선 커피를 경작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미 커피 농사가 불가능해진 지역들, 특히 에티오피아 동부에선 커피나무 대신 카트나무를 키우고 있다. 아프리카 북동부 지역 수백만명이 소비하는 카트 잎은 향정신성 약효가 있어 약한 흥분제를 제조하는 데 쓰인다. 일년에 한번밖에 수확하지 못하는 커피와 달리, 가뭄 저항력이 강한 카트는 일년에 3번 수확 가능하다.
울드매리엄은 이 같은 기후변화 추이라면 전통적인 에티오피아 커피 재배지의 60%는 향후 수십년 내에 사라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농지 이전이 커피 맛과 품질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언급하며 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빠른 조치가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사라져가는 일부 커피 품종들로 인한 손실을 메울 방법을 찾고 있다. 새로운 커피 품종으로 신규 시장을 공략할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한 품종 중에는 동에티오피아산 인기 커피인 하라(Harar)도 있다. 하라는 예가체프, 시다모 등과 함께 에티오피아 커피를 대표하는 품종이다.
ECTDMA는 "세계 인구 최다국인 중국을 주목하고 있다"며 "특히 에티오피아 커피를 주기적으로 소비할 젊은 세대 위주로 틈새시장을 만들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체가예는 설명했다.
chojw@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