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범준 기자] 서울대학교는 13일 '2017학년도 2학기 서울대학교 교육상' 수상자 10명을 선정하고 서울대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시상식을 진행했다.
이번 수상자는 ▲최윤영(53) 독어독문학과 교수 ▲강윤희(48) 인류학과 부교수 ▲이우영(61) 수리과학부 교수 ▲김광열(61)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이광근(52) 컴퓨터공학부 교수 ▲김기선(62) 식물생산과학부 교수 ▲이동근(53)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 ▲임자혁(41) 서양화과 부교수 ▲정종호(52) 국제대학원 교수 ▲이 진(54) 치의학대학원 교수다.
서울대 교육상은 5년 이상 재직 교수 중 수준 높은 강의, 창의적인 교육법, 열성적인 학생 지도 등으로 동료 교수들과 학생들에게 귀감이 되는 교수가 선정된다. 서울대는 지난 2005년부터 매년 시상해오고 있다.
![]() |
성낙인 서울대학교 총장(한 가운데)이 13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2017학년도 2학기 서울대학교 교육상' 시상식을 진행하고 수상자 10명의 교수들과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제공] |
최윤영 교수는 학문의 세계 교양과목 '여성과 문학'을 개발하고 본교의 젠더 관련 교양과목을 선도했다. 또 인문대학 학생생활문화원 초대원장으로서 학생들의 학업과 생활, 진로 지도에 기여했다.
강윤희 교수는 언어인류학 분야의 심화 강좌를 신규 개발해 인류학 교육의 체계 수립에 기여했다. 또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는 교수법과 피드백을 통해 최고의 강의라는 호평을 받고 있다.
이우영 교수는 본질, 의의, 역사, 응용 및 미해결 난제에 대한 흥미로운 강의를 통해 학생들에게 "수학이 친근하다, 수학이 흥미롭다, 수학은 도전할만한 가치가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헌신했다는 평이다.
김광열 교수는 소속 학과 외에 타 학부 강의 등 모든 강의에 열정적으로 임하면서 교육자의 모범을 보여주고 있다. 과목당 200~300페이지 분량의 강의노트와 강의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개발, 학생들과의 소통 등 성실한 강의로 정평이 나 있다.
이광근 교수는 컴퓨터공학 전공생들은 물론 비전공생들까지도 컴퓨터과학을 쉽게 익힐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 지난 2012년부터 개설한 교양과목 '컴퓨터과학이 여는 세계'는 학생들이 컴퓨터과학의 근본적이고 핵심적인 지식을 이해하고 융합형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는 평이다.
김기선 교수는 30여년 간 본교에 재직하면서 학문 후속세대 양성에 힘써 왔다. 지난 1998년부터 개설한 교양과목 '생활원예'는 20여년 간 매 학기 책임 강의시간을 초과하는 등 열정적인 강의라는 평을 얻는다.
이동근 교수는 국내 경관생태학 및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을 선도했다. 특히 학기 중 학습한 이론을 바탕으로 방학 중 국내외 현장 사회봉사 등 효과적인 교육과 사회공헌을 실천하고 있다.
임자혁 교수는 미술 실기 교육에서 학생 개인에 초점을 맞추되, 크리틱(비평) 중심의 다양한 수업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작가이자 관객으로서 작품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자유롭게 감상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노력했다.
정종호 교수는 지난 2005년 '국제대학원 하계 중국현지연수'를 기획해 대학원생들을 위한 몰입형 현지실습 교육프로그램을 최초로 도입했다. 학생들을 위한 국제화 교육 프로그램 기반을 구축했다는 평이다.
이 진 교수는 치의학대학원의 독특한 교육체계인 학·석사통합과정과 복합학위과정의 설계 및 개설에 핵심적인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얻는다. 특히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는가' 보다 '학생들이 무엇을 할 수 있게 되는가'를 중시하는 성과기반교육을 지향하는 학생주도 프로젝트 수업을 신설했다.
[뉴스핌 Newspim] 김범준 기자 (nun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