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덧 봄, 여름이 지나고 이제 가을이 왔다. 지금까지의 우리 삶에 사계절이 한두 번 지난 것도 아닌데 다시금 찬바람이 불어올 때면 괜스레 추억에 젖어들곤 한다. 찬 공기와 함께 왠지 어릴 적 시골집의 지푸라기 태우는 냄새가 코끝을 스치는 것만 같다. 도심 속 한 가운데에 서 있는데도 이렇게 느껴지는 기억이란 참 깊고 깊은 것이다.
아주 깊숙한 기억속의 이야기를 우리는 바람으로, 햇살로, 빗방물로 느끼며 살아가는 것이 인생 아닐까 한다. 정확히 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삶의 순간에 만났던 음악에 웃고 울었던 기억을 나 또는 당신이 안고 있듯이 말이다. 이렇게 아주 오랜 기억을, 역사를 가진 악기를 만나고 싶은 가을이 왔다. 기억을 추억으로, 추억이란 글자엔 가을을 담아 가야금 연주자를 만나보기로 결심한다.
아마도 여러분이 국악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악기는 드라마에 많이 나오는 가야금, 해금 등이 아닐까 한다. 해금(2현으로 이뤄진 선율 악기)은 흔히 아쟁(8현으로 이뤄진 선율악기)과 헷갈려 하기도 하니 단언컨대 가장 대중적인 국악기는 가야금이라 할 수 있겠다. 가야금은 오동나무로 만들며 12개의 현은 명주실로 만든다. 연주시 왼손은 줄을 흔들고 누르며 오른손은 줄을 뜯거나 밀며 퉁기는 것으로 소리를 낸다. 흔히 12현과 25현 연주를 많이 하며 12현은 전통의 산조 연주시, 25현은 현대곡 연주시 활용된다. 우륵이 만들었다고도 하지만 기록엘 따르면 가야국의 가실왕이 만들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가장 오랜 역사를 안고 지금까지 숨 쉬며 살아온 가야금을 연주하는 젊은 국악인, 김보라를 초가을 남산에서 만났다.
김보라는 화장기 없는 수수한 얼굴에 맑은 눈빛이 인상적인 연주자다. 단풍이 화려해지는 본격적인 가을이 온다면 그녀와 가야금은 이 계절의 색감을 더 아름답게 보이게 하겠구나 생각했다.
“태어나서 기억이 생길 때 즈음부터 피아노를 꾸준히 배웠어요. 제 아주 오랜 기억 속에 피아노가 있는 걸 보면 가야금에게 조금 미안하기도 합니다. (웃음) 초등학교에 가서는 바이올린도 배웠구요. 확실한 건 아주 어릴 적부터 제 스스로 계속해서 음악을 할 것이란 생각을 했어요. 언제나 음악을 사랑했어요. 그게 국악이 될 거란 생각은 사실 못했지만... 중학교때 판소리 하는 친구랑 친해지게 됐는데 그 친구가 참 멋진 소리를 가졌었어요. 우리 소리가 처음으로 제 귀에 매력적이게 들렸거든요. 그 때 그 친구를 따라 국악원에 갔어요. 그 날 처음으로 가야금 소리를 듣게 됐는데, 웃기죠, 판소리로 흥미를 갖고 가야금으로 정착하다니. 그만큼 그 순간 모든 걸 잊게 할 만큼 매력적인 선율이었어요.”
전주예술고등학교를 거쳐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졸업하고 전문사까지 수료했다. 가야금을 공연하고 연구하는 김보라는 현재 박사과정 또한 준비 중이다.
“요즘은 공연 활동에 주력하기보다 음악과 다른 분야를 접목해 저만이 할 수 있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다 생각해요. 여러 방면으로 생각 중에 있는데 제가 인문학에 관심이 많아요. 흥미 위주의 문화가 대중문화의 중심을 잡고 있지만 사실 그 모든 바탕엔 인문학이 있거든요. 인문학이야 말로 가야금과 가장 잘 어울리는 학문이라고 생각하기도 하구요. 철학과 역사,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을 만들 수 있게 한 모든 이야기를 늘 사랑하고 있어요.”
김보라의 말에는 친절함과 따뜻함이 묻어있다. 방금 채색한 빛의 따뜻함이라고 할 수 없다. 아주 어릴 적부터 칠하고 칠해진 따뜻함이 분명하다고 느껴진다. 그런 그녀는 무대에서 인사에 자신의 이런 성향을 담아낸다. 아마도 현재 활동하는 연주자 중 가장 듣기 편한 목소리와 어투로 무대를 설명하는 국악인이 아닐까 한다.
“연주자라면 사람들이 어떤 것을 좋아하는지 알아야하고, 제가 지금 무엇을 보고 있는지 확실히 인지해야한다고 생각해요. 사람들이 제 무대를 보고 잊는 게 아니라 보고 달라지는 공연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그 날의 기분부터, 혹은 내일을 다르게 만들어 줄 수 있는 그런 공연이요. 사실 무대에서 말을 한다는 게 아직은 많이 어색해요. 하지만 다짐해봐요. 예를 들면 판소리를 할 때 고수는 노래하는 사람이 더 잘할 수 있게 추임새로서 힘을 실어줘요. 도움을 주는 역할이죠. 가야금이 무대의 중심이라면 관객과 친해지기 위해 제 말이 고수가 돼 주는 거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기계적인 소리 없이 맑은 목소리로 그리고 자연의 악기로 밝은 느낌을 주고 싶다는 김보라. 인간문화재 제 23호 가야금 산조 및 병창 전수자로서 우리 전통음악을 지키는 일, 그대로 보존하고 전승하는 일에 앞장서며 자신만의 가야금 선율을 만들고 싶다는 그녀. 김보라는 아마 이 가을 지나 다음 가을이 되면 보다 더 깊은 우리의 역사와 우리 문화를 선율에 쌓을 것이다. 그 선율에 우리들의 추억을 앉힐 자리 한 켠 건네줄 것이다.
변상문 국방국악문화진흥회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