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무더운 여름이 계속되고 있다. 찌는 듯한 더위에 비 소식에라도 희망을 걸어보지만 이마저도 쉬이 더위를 사그라지게 하진 못하고 있다. 무더위에 사람들은 짜증지수가 오르기도 하고 에어컨을 찾아 눈 앞에 건물로만 들어가려 발만 바쁠 따름이다.
문득 이 가장 지독한 폭염 속에서 우리는 어떤 음악으로 마음을 달래야 하는 걸까 생각했다. 눈을 감고 시원한 물줄기를 상상해본다. 정자 아래 앉아 뜨거운 햇살을 피하고 저 흐르는 물에 발을 담가보려 할 때 내 곁에 어떤 소리가 흘렀으면 좋을까. 유유자적한 대금 소리가 내 귓가를 스친다면 그 순간의 풍류(風流)를 내 귓가에 잡아볼 수 있지 않을까.
대금은 본래 신라시대의 대표적인 악기 중 하나로, 젓대라고도 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횡적, 즉 악기를 가로로 두고 부르는 관악기이다. 대나무관에 취구(입김을 불어 놓는 구멍) 1개, 청공(얇은 갈대 속막을 붙이는 구멍) 1개, 지공(손가락으로 막고 여는 구멍) 6개가 있으며 지공 아래에는 음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칠성공으로 이루어져 있다.
무더운 여름, 연일 공연으로 전국 각지를 다니고 있는 대금 연주자 김하연을 만난 건 그런 하루 중 하나였다. 큰 키에 시원한 입매, 단정한 목소리, 곧은 자세의 김하연은 참 여름에 잘 어울리는 연주자라고 생각했다. 한 여름, 그녀의 대금 소리는 어디에서 울리고 있을까 궁금했다.
“요즘 많이 덥죠, 저는 창경궁에서 공연을 시작했어요. 실내악팀 ‘나뷔’예요, 지쳐있는 사람들에게 나비가 날아들어 희망찬 빛을 찾아준다고 이름을 지었어요. 더운 날이 계속 되니까 정말 지쳐계신 분들 많이 오세요. 나뷔라는 이름으로 창경궁에서 공연하니 이 날씨와 우리 공연이 꽤 잘 어울리네 하고 있어요. 그리고 팀원들이랑 작사도 하고 작곡도 하면서 지내요. 아, 물론 그저 마음 맞는 언니들과 함께 만든 그룹 하나연도 여전히 활동 하구요. 군부대도 열심히 다니구요.”
대금연주자 김하연을 알게 된 건 주변 그녀 또래의 젊은 국악인들이 하나같이 이 연주자의 성실함을 칭찬해서였다.
“사실 제가 센터욕심이 좀 있어서 원하는 무대는 놓치고 싶지 않아서라도 더 열심히 해요. 어릴때부터 공연을 할 때도 그랬던 거 같아요. 초등학교때도 6학년 언니들이 축제 공연 한다고 하는데 너무 그 무대에 올라가고 싶은 거예요. 선생님께 정말 잘할테니 무대에 올려달라고 했었거든요. 그때 열심히 연습해서 무대 올라가고 센터에 섰는데 지금 생각하면 좀 부끄러워서 왜그랬나 싶다가, 또 무대에 서고 싶은 마음 예나 지금이나 똑같은 걸 보면 여전하구나 싶기도 하고 그래요.”
해맑은 웃음으로 센터욕심 있는 연주자라고 스스로 소개하는 국악인, 김하연은 국립국악중학교, 국립국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단국대학교에서 대금을 전공했다.
“집안에서 음악을 전공하는 사람은 저 뿐이예요. 어릴 때부터 아무래도 음악을 접할 기회가 많진 않았는데, 초등학교 3학년때 학교에서 가야금 병창 공연을 하는 걸 보고 ‘아, 나는 저걸 해야겠다’ 생각이 들더라구요. 그때 가족들 엄청 졸라서 국악을 시작하게 됐죠. 대금으로 최종 전공을 결정하게 된 건 중학교 합격하면서 대금연주를 보니 가장 자세가 바르고 곧은 모습이더라구요. 정직해 보여서 선택하게 됐어요.”
그렇다. 대금은 아주 곧은 자세로, 80여 센티미터의 악기를 바르게 들며 부는 관악기이다. 대금은 신라시대 설화인 만파식적의 대표적인 악기로, 호국적 의미를 지니는 악기로 알려 있다. ‘왕이 이 악기를 부니 적병이 물러나고, 질병이 낫고, 가뭄에는 비가 오고, 모든 근심과 걱정이 해결되었다.’는 설화가 삼국사기 악지에 실려 있기도 하다. 대나무로 만들어진 악기로 피리와 함께 만파식적 설화로 언급된다.
“최근에 목표가 생겼어요. 저도 그랬는데 아마 전통과 현대 사이에서 많은 국악인들이 갈등하고 있을 거예요. 고민 끝에 공부를 새로 시작했는데요, 작곡 공부예요. 이 공부를 계속 하면서 나만의 곡을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부대 공연엘 가면 만파식적을 자주 연주하고 있는데, 지친 사람들의 마음을 위로해주었다는 설화 속 음악이잖아요. 제 악기가 이야기를 갖고 있다는 것도 좋았고, 그러면서 제 곡에 대한 욕심도 생긴 거 같아요. 이야기가 있는 악기를 전공한다는데 자부심을 많이 느꼈어요. 이걸 표현하면서 성장하고 싶어요.”
김하연과 대화를 하며 간간히 대금 연주를 들었다. 대금의 음색은 가히 단아하면서 진중한 소리가 흐른다. 허나 맑고 곱다고만 표현을 하기엔 그 흐름에 우리내 삶의 슬픔이 채색돼있는 것 같고, 낮고 무겁다 표현을 하기엔 우리가 사는 이 나라의 아름다운 풍경이 절로 녹아든다고 생각했다. 대금연주자 김하연도 그러했다. 밝음 웃음 속에 음악에 대한 깊은 고민을 담고 있었고, 진지한 눈빛 속엔 자신의 미래를 향한 설레임을 담고 있었다.
이토록 젊은 국악인이 우리의 국악을 사랑하고 있고, 연구하고 있다 생각하니 눈 앞에 선선한 바람이 스쳐 지나가는 것만 같았다. 잠시라도 땀이 식어드는 기분이었다. 한여름에 잘 어울리는 대금 연주를 들었으니 이제 그녀의 가을과 겨울을 기대하며 이 여름 대금 소리를 귓가에 묻어 보아야겠다 결심했다. 오늘도 여전히 날은 덥고 젊은 국악인 김하연의 열정은 더 뜨거워지고 있다.
변상문 국방국악문화진흥회 이사장